• 제목/요약/키워드: how to read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36초

Effects of Chunking on Reading Comprehension of EFL Learners: Silent vs. Oral Reading

  • Chu, Hera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3호
    • /
    • pp.19-34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FL learners' chunking ability both in oral and silent reading affects reading comprehension, and how the chunking ability in silent reading relates to that of oral read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0 Korean university students taking a required 'English Reading' course. Chunking is a technique of grouping words into meaningful syntactic units for better understanding. Chunking was measured from pauses in oral reading.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articipants who can chunk properly both orally and silently display better comprehension of texts in general. However, chunking in silent reading was found to be a stronger indicator of improved reading comprehension. Also, the chunking skills in silent reading showed a statistically strong correlation with those observed in oral reading, suggesting that the chunking ability in silent reading may develop in parallel with that of oral reading. Oral as well as silent reading should be continuously practiced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of all levels of EFL learners, including low levels of learners. There is also a need to encourage students to read aloud with appropriate prosodic cues to help them read in meaningful units of words, therefore increasing EFL learners' comprehension not only in reading but also in listening.

  • PDF

대사증후군 성인의 영양표시 이용실태 및 관련요인 (Factors Relating to Use of Food Labels among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 김묘성;김정순;유정옥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12
    • /
    • 2012
  • Objectives: Dietary modifications are common treatment strategies for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but it is unclear how often these individuals read food labe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read food labels when buying packaged foods and to determine factors related to label use. Methods: From the database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V), 1,335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and 3,696 those without were se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distributions, $X^2$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read food labels less than individuals without it when they purchase packaged foods(12.5% vs 29.0%). Among those without metabolic syndrome, food label use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participants who were women, younger, educated, and trying to control weight. Conclusions: Strategies to use food label as a diet management tool for metabolic syndrome are needed.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입원생활 안내 동영상의 효과 (The Effect of a Hospital Life Guidance Movie for Elderly In-patients)

  • 정현철;성거미;전미양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2-148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how a hospital life guidance movie enhanced the understanding of hospital life by elderly in-patients.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tched a movie on guidance for hospital life while an in-patient control group read corresponding guidance booklets. Th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from the respective programs for the two groups were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Results: The group which watched the movie had a better understanding of hospital life than the group which read the booklets. The patients who watched the movie also expressed more satisfaction with their guide program than the patients who only read the booklets. Understanding of hospital life had relevance to satisfaction with the given progra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a movie on hospital life provides better guidance which helps the prospective patients understand and adapt better to their hospital life. Therefore, this type of movie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medium to provide guidance to elderly in-patients.

독자 중심의 신문 제작과 독자의 실제 열독률 (What did They Read in the Newspapers?: A New Method of Measuring Readership)

  • 박재영;전형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5권
    • /
    • pp.211-249
    • /
    • 2006
  • 이 연구는 독자가 어떤 기사를 얼마나 읽는지를 구체적으로 탐색했다. 설문 응답 형태로 열독 의식이나 태도를 조사한 과거 연구와 달리, 이 연구는 독자에게 신문을 보여주면서 각 기사에 대한 열독 여부와 열독 정도 등 '행태'를 측정했다. 최근 국내 신문사들이 독자 중심의 제작을 표방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독자의 구체적인 열독행태는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이 이 연구의 문제의식이었다. 신문 종합섹션 전체 기사의 절반 이상을 열독하는 독자는 6.2%였으며 경제섹션의 이 비율은 4.1%였다. 종합섹션에서 단 1개의 기사도 열독하지 않는 독자는 1.1%였으며 경제섹션의 이 비율은 26.5%였다. 종합1, $3{\sim}5$면, 사회 $1{\sim}2$면, 여론 $2{\sim}3$면의 열독률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문화1면, 국제 2면, 경제섹션 4면, 스포츠 2면, 피플 1면의 열독률은 낮았다. 또 사회면 4개의 머리기사 열독률은 종합면 6개의 열독률보다 높았고, 특히 사회 2면 머리기사 열독률은 종합1면 머리기사 열독률보다 높았다. $20{\sim}30$대 젊은 독자는 40대 이상의 장년층 독자보다 종합 $1{\sim}4$면과 사설면의 머리기사를 현저히 덜 읽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기호의 서술: 어떻게 읽고 이해할 것인가? (Symbol Statement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How to Read and Understand Them?)

  • 백대현;이진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2호
    • /
    • pp.165-180
    • /
    • 2011
  • 수학 학습에서 기호는 용어의 수학적 의미를 함축적으로 표현하여 용어와 관련된 학습 내용을 간결하게 나타낸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기호는 기호를 처음 접하는 학생이 기호의 수학적 의미를 읽고 이해할 수 있게 제시되었다.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도 대부분의 기호는 읽고 이해할 수 있게 서술되었지만 교과서에 따라 기호 자체의 서술과 기호와 관련된 내용이 명확하지 않거나 서로 다르게 제시된 사례가 있다. 본 논문은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기호를 읽고 이해할 수 있게 서술하는 것과 관련하여 교수 학습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논의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독서에 대한 해석수준이 초등학생의 독서량과 독서의 재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Construal Level of Read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lume of Reading and Pleasure of Reading)

  • 김이영;어윤경
    • 인지과학
    • /
    • 제30권4호
    • /
    • pp.219-238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독서를 장려할 수 있는 심리적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목표 달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 해석수준을 조작하여 독서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면서 평소 독서 선호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그리고 평소 독서량이 많은 집단과 적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독서를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추상적 해석수준 집단과 독서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구체적 해석수준 집단으로 구분한 후, 2주 동안의 독서량과 독서가 얼마나 재미있었는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해석수준의 주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구체적 수준의 해석을 한 집단이 추상적 수준의 해석을 한 집단보다 독서량이 많았다. 또한 평소 독서 선호도가 낮은 집단은 독서에 대해 구체적 수준의 해석을 할 때 독서량과 독서에 대한 재미가 증진되지만, 평소 독서 선호도가 높은 집단은 해석수준에 관계없이 독서량이 많고, 독서에 대한 재미가 높은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아울러 평소 독서량이 적은 집단은 독서를 구체적 수준으로 해석할 때 독서량이 증가하고, 독서에 대한 재미가 증진되지만, 평소 독서량이 많은 집단은 독서를 추상적 수준으로 해석할 때 독서에 대한 재미가 증진되는 상호작용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행동경제학적 연구에서 다루어져 왔던 해석수준의 효과를 독서라는 교육적 지도 분야로 확장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평소 어떤 일을 선호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평소 어떤 일의 성과가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에게 어떤 해석수준을 가지게 하는 것이 그 일에 대한 동기부여를 증진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 보여주었다는 측면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이 있다.

동물매개치료를 통한 독서부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독서증진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Effect of Reading Enhancement and the Selfrespect Improvement of Children through an Animalassisted Therapy)

  • 허순영;홍현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81-198
    • /
    • 2013
  • 이 연구는 동물매개치료 중에서 'Read to Dogs'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독서증진에 실제로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실행연구, 설문지법, 미술치료기법 중 HTP의 나무그림, KFD의 움직임이 있는 가족그림의 사전, 사후검사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보조견을 통한 책읽기 프로그램은 독서부진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서관이나 학교 현장에서 독서부진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시대의 고전 서사 읽기 (Reading Korean Classical Narrative in Digital Era)

  • 서유경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16호
    • /
    • pp.91-116
    • /
    • 2008
  • This Study aims to research how we read Korean classical narrative in the digital era and the culture digital made. The meaning of reading Korean classical narrative in digital culture can be divided in four category; first, reading the old narrative text that made and enjoyed a long time ago in digital era, second, reading the old narrative text that made in the old times not as th book but by the media environment that the digital technology made up, third, reading the extended and modified media text by the digital technology from the original old narrative text, fourth, reading the text by the digital technology seeking for the original narrative text as archetype. And it is inspect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digital era and how to read the four type of Korean classical narrative through the example. So we can consider about the characteristic of enjoying Korean classical narrative and method of reading the diversified Korean classical narrative by the digital. Finally, it is conclusion that we must think over the original text of Korean classical narrative and adhere classicality. And we learned we should research more abundant Korean classical narrative text.

한국어의 리듬 단위에 관한 연구 - 문법 구조와 관련하여 (A Study on Rhythmic Units in Korean -with Respect to Syntactic Structure-)

  • Kim, Sun-Mi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6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224-228
    • /
    • 1996
  • This paper is intended as a study on how an utterance is divided into rhythmic units in Standard Korean with respect to its syntactic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data in this study I used 150 sentences which contained similar number of words and various syntactic structures. Those sentences were read by 7 speakers of Seoul dialect in a conversation style. Each sentence was read twice in a normal speed and twice in a fast speed. As a total, 4200 sentences were recorded. Then listening to them, the author marked the sentences with two kinds of boundaries i.e. strong and weak.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rhythmic units and syntactic structure I devised a framework of grammatical symbols. Each symbol is designed to have both syntactic and morphological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So I assigned those grammatical symbols to the sentences. Having sentences marked with grammatical symbols on the one hand, and with the rhythmic boundaries on the other hand, 1 could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rhythmic units and syntactic structure; which syntactic structures are likely to be pronounced as one rhythmic unit, and which are on the rhythmic boundar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