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ing policy

검색결과 928건 처리시간 0.036초

일제강점기 조선시가지계획령에 고시된 부산 소재 도시공원의 변천 (Transitions of Urban Parks in Busan noticed by the Chosun Planning Ordinanc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김영하;윤국빈;강영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5
    • /
    • 2017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계획된 부산 도시공원 32개소를 대상으로 도시의 성장과 발전에 따른 공원의 변화과정을 고찰했다. 특히, 도시공원의 변화과정을 도시계획적 관점에서 검토하기 위해 부산시에서 편찬된 도시계획사 관련 서적, 부산시보 고시공고, 도시공원 유원지 녹지현황 내부 자료, 결재문서 등을 조사 분석했다. 그 결과, 일제강점기 일본 거류지역 일본인에 의해 조성된 대정공원, 고관공원, 용두산공원은 시가지 공원계획 이전부터 공원으로 이용되었으며, 이러한 공원을 포함한 1944년 법적으로 명시한 32개소의 공원은 방재기능을 고려하여 계획되었다. 해방이후, 한국전쟁의 혼란한 시기와 도시계획 재정비로 인해 공원부지는 무허가 건축물 난립, 주택건설, 상업지, 공공청사 및 학교 건립 등으로 이용되었으며, 그에 반해 도심지에 위치한 도로공원과 대부분의 소공원은 폐지되었다. 하지만, 그린부산 정책과 더불어 일제강점기 당시 도심 외곽에 계획된 미집행 공원은 도시 성장으로 도심지에 위치한 주요 공원으로 자리 잡아, 쾌적한 도시형성을 위한 공원사업으로 연지공원, 양정공원, 당곡공원이 조성되고 있다. 이렇게 일제강점기에 계획된 32개소의 공원은 부산 도시형성 과정의 시대상을 반영하여 폐지 또는 조성되었다. 폐지된 공원은 개발압력에 토지매입 효율성이 낮다고 판단된 공원이며, 조성되고 있는 공원은 개발이 용이하지 못했던 위치에 입지한 공원이다. 따라서, 공원이 사회공통자본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공원 부지의 토지매입 여건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홈네트워킹 서비스 현황 및 발전 방향: 국내 사이버 타운 사례분석 (Recent Home Networking Services Development and Future Directions: Case analysis of Korean Smart Apartment Complexes)

  • 송영화;한현수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6권2호
    • /
    • pp.269-284
    • /
    • 2004
  • 지역 정보화의 중요성은 정보기술을 이용한 경쟁력 향상 차원에서 정부의 주요 IT정책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지역 정보화의 경제성 문제는 정보화 마스터 플랜 실행의 가장 큰 장애 요인이었다. 한편 지역 정보화와 관련된 최근 동향은 KT의 광대역 인프라 보급과 건설회사의 차별화된 경쟁우위 확보 필요성이 결합 되어 진행되는 사이버 아파트의 활발한 보급과 이와 연계된 인터넷 컨텐츠 서비스의 결합 모델이다. 본 연구의 동기는 이러한 새로운 산업 컨버전스 비즈니스 모델의 하나인 홈네트워킹 서비스의 수익성 향상을 위한 가치 탐색의 필요성에 기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사이버 타운 서베이와 각종 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비즈니스 모델 관점에서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방향은 비즈니스 모델을 구성하는 정보통신, 건설, 인터넷 비즈니스 컨텐츠 등의 개별 요소를 각각 정리하고 이들의 결합된 아케텍처와 수익성 창출을 위한 가치 요소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발전 방향을 예상하였다. 본 연구의 특징은 이제까지 문헌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산업 컨버전스 비즈니스 모델의 하나인 홈 네트워킹 서비스에 대하여 비즈니스 이론을 바탕으로 정부 및 비즈니스 참여 조직의 가치 요소, 역할 및 수익성에 대한 시사점을 체계적으로 제시한 데 있다.

사물인터넷 동향분석을 통한 Co-creation기반 스마트시티 구축 방안 (A Development Plan for Co-creation-based Smart City through the Trend Analysis of Internet of Things)

  • 박주섭;홍순구;김나랑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67-78
    • /
    • 2016
  • 최근 세계 각국은 교통난, 주택난, 에너지 부족 등 많은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는 사물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도시 자원의 효율적 통제 및 재사용을 통한 지속가능성, 편리성 및 친환경성을 갖춘 스마트시티의 구축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물인터넷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 사물인터넷 활용분야 가운데 하나인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비정형 데이터 분석의 하나인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전자신문 기사를 분석하였고 외국의 스마트시티 구축 사례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빅데이터, 클라우드, 플랫폼, 센서 등이 스마트시티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스마트시티의 성공적 구축을 위해서는 첫째, 도시내 이해관계자들이 모두 협력하여 가치사슬 전 과정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야 한다. 둘째,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하여야 하고 공공분야 데이터를 지금보다 더 적극적으로 개방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제시하여 후속 연구를 유발하였다는 학문적 기여도가 있다. 또한 실제 지방정부 및 행정기관에서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정책 수립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실무적인 기여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기술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전자신문' 기사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전체 동향을 반영하는 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대전지역 노후화된 아파트의 재건축과 리모델링에 대한 선호도 분석 (Preference Analysis on the Reconstruction and Remodeling of Old Aged Apartment in Daejeon Area)

  • 박선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80-186
    • /
    • 2016
  • 우리나라의 경우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1970년대 이후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주택부족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고, 정부의 주도로 공동주택인 아파트를 꾸준히 건설하였으며, 민간 건설업체에서도 주택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아파트를 대단지 형태로 건설하였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건축된 아파트는 세월이 경과함에 따라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열화 됨으로서 아파트 건축물이 초기에 가진 물리적인 성능 유지하기 어렵게 되며, 시대가 변화에 따라 아파트에 요구되는 기능과 형식이 변화하게 된다. 현재 아파트를 재건축하기 위해서는 건축년도와 안전진단 결과가 재건축에 해당하여야 하며, 이러한 조건이 만족하더라도 "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시행령" 제28조에 의거 아파트 전체 토지 지분 보유자의 75%가 재건축에 동의해야 재건축 할 수 있다. 즉 현재의 관련 법규에 의하면 아파트를 비롯한 주택의 재건축에 있어서 거주하는 주민들의 생각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 5개구에 위치하고 있는 25년 이상된 아파트에 실제로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재건축과 리모델링에 대한 선호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25년 이상된 아파트에서 거주하는 주민들은 거주자 생활 편의 개선을 위해서 리모델링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재건축을 선호한 주된 요인으로는 수익성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리모델링을 선호한 주된 이유는 시간 단축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계획시스템 개선방안 -환경생태계획 도입을 중심으로 - (Improving of Planning System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Focus on Introducing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 최희선;권영한
    • 환경정책연구
    • /
    • 제8권3호
    • /
    • pp.27-51
    • /
    • 2009
  • 본 연구는 도시화 과정의 하나로 일어나는 개발사업이 지속가능한 형태로 추진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현재 대규모 개발사업인 신도시를 중심으로 적용하고 있는 환경생태계획의 실태와 문제점을 심층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도시 관련 개발사업 중 크게 구분할 수 있는 도시개발사업(도시개발법에 근거)과 택지개발사업(택지개발촉진법에 근거)의 입지 및 개발방식의 차별성을 고려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선행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설정한 원칙과 문제점에 근거하여 환경생태계획 대상 사업 규모를 설정하였으며, 환경생태계획의 절차적 개선방안에서는 크게 입지 및 지구지정 단계, 개발계획단계, 실시계획 단계, 사후관리 단계로 구분하여 문헌과 전문가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계획체계 측면 개선을 고려한 환경생태계획의 내용적 범위는 계획의 개요, 환경생태구상, 공간구조 골격 구상, 도시환경 재생 및 영향 저감계획으로 구분하여 도출되었다. 특히 도시개발사업은 복원 혹은 새롭게 창출해야 하는 조성녹지 확보와 이를 고려한 생태적 연결성 확보, 그리고 생태면적률 확보가 택지개발사업은 보전지역과 환경용량, 광역녹지축 등의 고려가 차별성 있게 고려되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환경생태계획과 개발계획, 환경성평가 각각의 기능과 연계성을 정립하였으며, 이들 간의 연계성 정립을 통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토지개발이 가능한 형태로 발전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아동친화도시 구축을 위한 아동권리와 행복감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비교연구 (A Study on Children's Rights and Happiness for Building Child Friendly Cities - Comparative study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김웅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85-491
    • /
    • 2017
  • 아동친화도시는 아동이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지역사회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아동권리가 보장된 환경이 조성될 때에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권리와 행복감의 관계에 대해서 검증하여 아동이 살기 좋은 아동친화도시구축을 위해 지원해야할 사항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받은 W지역의 초등학생과 중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아동권리인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로,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권리는 건강과 사회서비스, 교육환경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권리는 학교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초등학생의 경우는 가정환경, 안전과 보호, 교육환경이 중요하게 부각되며, 중학생은 건강과 사회서비스, 안전과 보호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친화도시 구축을 위해 보건, 복지, 교육, 안전 등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융복합적 개입과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GIS 기반 경기도 광역영역의 부지지진응답 특성 및 연계 지진 취약지역 분석 (Regional Assessment of Seismic Site Effects and Induced Vulnerable Area in Gyeonggi-do, South Korea, Using GIS)

  • 김한샘;선창국;조형익;남지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9-35
    • /
    • 2018
  • 최근 경주지진과 포항지진과 같이 중규모 이상 지진이 빈번이 발생함에 따라 피해기능성이 커질 수 있는 중서부 도시 지역들에 대한 종합적 지진재해 대책 수립의 필수기본 정보인 지역적 부지고유 지진응답 공간정보 예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정량적 부지고유 지반응답 특성 파악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대상 확장영역 내 전략적 지반조사 자료의 확보 및 연계적 부지특성 파악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진취약지역 도출 및 부지고유 지진응답특성 분석을 위한 위사결정 프레임웍을 제시하였다. 시추조사 자료 및 수치표고모델 등의 지표피복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지반지진공학적 연계활용을 위한 GIS 플랫폼 기반의 Geo-Data를 구축하였다. 지구통계학적 공간보간 기법의 최적화 설계를 통해 지층분포 특성 및 연계 취약도 성분 도출을 위한 지반 공간그리드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진지반응답 매개변수의 공간구역화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경기도 지역의 정량적 부지효과를 고려한 경기도 맞춤형 지진방재대책 수립을 위한 기저 정보로서 활용하였다.

강남 개발과 강남적 도시성의 형성 - 반공 권위주의 발전국가의 공간선택성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Gangnam and the Formation of Gangnam-style Urbanism : On the Spatial Selectivity of the Anti-Communist Authoritarian Developmental State)

  • 지주형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07-330
    • /
    • 2016
  • 이 논문은 한국의 압축도시화의 한 사례이자 표준으로서 서울의 강남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남 및 강남 스타일의 도시화는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그 이전의 한국의 도시화 양상 및 서구의 도시와 구별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현대 한국의 삶에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하나의 모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매우 크다. 하지만 그럼에도 강남의 독특한 도시성(urbanism)이 어떠한 사회적 조건에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선망이 되는 물질적 풍경이자 생활양식으로서의 강남적 도시성의 특징을 서술한다. 강남적 도시성은 물질적 공간의 측면에서 중상층이 주거와 자산증식을 위해 소유하는 고급 고층 아파트 단지를 특징으로 하고, 사회문화적 생활양식의 측면에서 정치적 보수성, 사적몰입과 공적 무관심, 학력, 외모, 패션 등에서의 경쟁, 유흥문화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강남적 도시성의 원형은 한국 반공 권위주의 발전국가 전략의 공간선택성 속에서 매우 짧은 시간에 압축적으로 형성되었다. 즉 그것은 북한과 대치상황 및 서울로의 인구집중 속에서 강북개발과 영등포개발을 억제하고 강남개발과 아파트를 통해 인구를 급히 분산하고 수용해야 했던 반공주의 국가의 필요성, 서민과 도시빈민을 도시개발에서 공간적으로 배제하는 권위주의 국가의 특성, 그리고 예외공간과 가격왜곡을 통해 건설자본과 중산층에 특혜를 부여하고 강남의 아파트 건설과 불균등 발전을 촉진한 발전국가의 선별적 주택산업정책이 결합되어 만들어낸 공간 선택성에 의해 상당 부분 설명될 수 있다.

  • PDF

한국 여대생의 인터넷을 통한 의류제품 구입시의 인지위험 - 의류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 (Internet Apparel Shopping: Perception of Risk among South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Apparel Major)

  • 고성봉;;;황춘섭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69-87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여대생의 인터넷을 통한 의류제품 구입에 있어서의 위험수용 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한국 서울 소재 대학에서 의류학을 전공하는 2학년 이상의 여학생 324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가 조사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조사는 2005년 3월에 실시되었고, 자료분석에는 요인분석, 판별분석이 활용되었다. 구매과정에 있어서 분실제품의 추적 가능성 여부와 같은 배달의 안전성 문제가 구매자의 큰 관심사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37.7%의 응답자에게는 인터넷을 통해서만 구매 가능한 의류브랜드의 선택 가능성 여부가 인터넷 구매율에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결과, 인지위험은 1) 인터넷 구매 선택의 선호여부, 2) 배송과정의 문제와 안전부족, 3) 제품의 질과 특성, 4) 반품의 어려움과 5) 가격의 적절성 등 5가지의 위험수용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판별분석의 결과, 비구매자, 소량구매자, 대량구매자를 분별하는데 있어서 1), 2), 3)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응답자의 연령대에 따라 요인 1)과 요인 3)이 다르게 나타났고, 모든 응답자에게 있어서 첨단 패션의 선택 가능성 여부와 배송 및 안전과 관련된 위험수용성 여부가 인터넷 시장 점유율에 중대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적인 제품 확인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양질의 제품배송과 충분하고도 정확한 제품특성정보의 전달여부가 인터넷을 통한 의류제품 구입의 동기 부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인터넷 의류시장의 강력한 경쟁력 형성의 열쇠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주차원단위 분석을 통한 주택의 주차수요산정기법 연구 (Calculation Methods of Parking Demand for Housing Using Parking Basic Units Analysis)

  • 이영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49-157
    • /
    • 2008
  • 급격한 도시화는 다양한 교통문제를 유발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주차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할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주차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주차수요 산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주차수요 산정을 위한 기준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주차원단위는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주차원단위의 새로운 기준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를 통해 기존 주차원단위 산정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많은 시설물들이 주차수요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주차원단위에 대해 검토하고 새로운 주차수요 산정 모형을 구축하였다. 주차원단위의 평균에 의한 방법과 회귀분석에 의해 산정하는 기존 두 가지 방법으로 주차원단위를 산정하여 적용하는 경우 조사대상 시설물 중 많은 시설물의 주차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주택가의 주차문제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시설물이 주차수요를 만족하도록 주차원단위를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인지를 주차원단위 누적분포 분석을 통해 검토한 결과 88%의 시설물이 주차수요를 만족하도록 주차원단위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시설물 중 88%가 주차수요를 만족하도록 주차원단위를 적용한 결과 연면적이 커질수록 주차수요가 과대 추정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나타나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새로운 비선형 주차수요 산정 모형을 구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