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ing affordability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9초

미국 도심에 거주하는 55세 이상 독신가구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Housing Satisfaction of 55+ Single-Person Householders in U.S. Urban Communities)

  • 이성진;안미라;권현주;김석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27-35
    • /
    • 2015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ousing satisfaction of 55 years and older (55+) single-person householders in U.S. urban communities with the 2011 American Housing Survey Data. Single-person householders younger than 55 years of age (55-) were used as a reference group. Housing Adjustment Theory was used to develop a research framework to depict the relationships of housing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with demographic and housing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ge, health status, government income, race, gender, age of house, housing quality, neighborhood, structure type, and tenure statu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levels of both those aged 55- and 55+. However, for the cohort of 55+, education, census region, housing affordability, and structure size also affected their housing satisfaction. Neighborhood satisfaction had the strongest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of both groups. These variabl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resources and constraints contributing to their housing satisfac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present and future housing trends and challenges of U.S. single householders in U.S. urban communities.

국제인권법 및 인권규범의 주거권 규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ight to Housing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s and Instruments)

  • 김용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14-540
    • /
    • 2013
  • 오늘날 인권은 국제법 체계에서 가장 복잡하면서도 두드러진 쟁점이며, 주거권도 세계인권선언을 비롯하여 국제인권규범에서 기본인권으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85개 국제인권법 및 인권규범을 대상으로 인권으로서 주거권 규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주거권 일반, 노동자의 주거권, 사회적 취약집단의 주거권, 국제지역기구의 주거권으로 나누어 국제규범에 나타난 주거권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한다. 주거권은 보편성, 불가분성, 상호의존성이라는 인권일반의 성격을 마찬가지로 가지고 있으며, 적절한 주거권이란 단순한 물리적 공간의 보장이라는 의미를 넘어 점유의 법적 안정성, 생활편익시설의 이용가능성, 비용의 적정성, 입지의 적합성 등 총체적인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다양한 규범에 나타난 주거권에 대한 접근은 발전권적 관점, 양성평등의 관점, 차별금지의 원칙, 참여권적 관점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인간존엄 및 안정과 평화 속에서 주거생활을 향유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 PDF

한국 청년 임차가구의 주거관 군집에 따른 가구 및 주거 특성 (Household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f Young Renters in South Korea in Relation to Housing Value Clusters)

  • 권현주;이현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43-5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using value clusters of young renters in South Korea and their relationships to household and housing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e 2012 Korea Housing Survey (KHS). The 2012 KHS microdata was used as secondary data. Among the households included in the microdata, 1,196,144 young renter households (between 20 and 34 years of age) in private rental units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en rating scale items measured housing values. Eight of them were grouped into three value factors: Investment, Affordability and Cost Increase. Using these three value factors and perception of homeownership, households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Prospective Home Investor, Settled Renter, Homeowner Wannabe, and Support Needed. The current tenure types, income and expectation for next tenure types of four housing value clusters of young renters reflected Korea's tenure ladder which has home ownership at top followed by Jeon-se rental, monthly rental with deposit and monthly rental without deposit. The households in Prospective Home Investor and Homeowner Wannabe clusters would consider home purchase in the near future. Finally, households in Support Needed Cluster would be the main target to consider i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housing welfare policies and programs to resolve housing problems of young renters, including beginning-stage professionals.

대도시 거주자들의 주거불안정 영향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A Multi-Level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f Residents' Housing Instability in Korean Metropolitan Environments)

  • 이민주
    • 지역연구
    • /
    • 제36권4호
    • /
    • pp.57-67
    • /
    • 2020
  • 최근 대도시를 중심으로 주택가격의 급격한 상승에 따라 서민들의 주거안정도 크게 위협받고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 거주자들의 주거불안정성에 주목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주거비부담능력이 낮은 가구들의 주거불안 경험과 이에 따른 그들의 삶의 변화를 보여주는 데 주목해온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거주지역의 공간적 개방성, 커뮤니티 특성 등 지역특성이 거주자들의 주거불안 경험을 완화 또는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영향력을 실증분석하였다. 대도시 거주자들의 주거불안정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 2017년도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다층로짓모형(Multi-level Logistic Model)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가구의 주거비 부담능력과 같은 가구특성뿐만 아니라 주택 재고, 저렴한 주택 가격, 사회적 관계망 등 지역 특성의 영향력 또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의 공간적 포용성 증진이 주민들의 주거불안정을 완화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을 시사한다.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주거불안정을 도시정책 차원에서 주목하고, 이를 완화해나가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포용주택 공급을 통한 사회적 혼합 가능성 탐색 - 미국의 포용주택 제도를 중심으로 - (Exploring Possibilities of Social Integration in Inclusionary Housing: Focusing on Inclusionary Zoning in the United States)

  • 박미선
    • 지역연구
    • /
    • 제36권4호
    • /
    • pp.43-56
    • /
    • 2020
  • 본 논문은 미국 포용주택 제도를 중심으로 사회적 혼합 달성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계획고권을 활용한 포용주택 제도의 발생 배경과 운영방식, 사회적 혼합 달성의 효과 및 한계를 검토하여 우리나라 주거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시장중심적 정책이 우세한 국가임에도, 주택가격이 높고 부담가능주택이 부족한 대도시 중심으로 포용주택 제도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용적률 보너스를 포함한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었다. 또한 정책대상이 되는 중저소득층이 부담가능하도록 주택을 공급하며 최대한 장기간 저렴하게 유지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확정적이지는 않지만, 사회적 혼합에 긍정적인 효과가 발견되고 특히 아이들의 교육 성취도가 높은 편이나, 유의미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여전히 그 성과가 실험중이다. 포용주택을 직접 해당부지에 건설하는 경우와 인근에 건설하는 경우로 나누어 사례분석한 결과 장단점이 모두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주택가격이 높고 빠르게 상승하는 대도시지역에서 중저소득층을 위한 부담가능한 주택공급 가능성의 단초를 제공한다.

뉴욕시 NYCHA 인필개발에 대한 분석적 고찰 -주거저렴성 및 사회적 건전성 확보를 중심으로- (A Study on NYCHA Infill Development in NYC -Focusing on the Housing Affordability & Social Soundness-)

  • 이우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28-235
    • /
    • 2016
  • 국내 주요 대도시는 도심지 내 고비용의 지가와 개발가능부지의 부족으로 기존 대규모 택지공급방식에 대한 대안의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높은 주택수요와 부족한 공급량에 대한 대응으로 적정가격의 주택을 공급하고 관련 주택기관의 재정적 안정성을 동시에 고민하고 있다. 특히 공공부문은 최근 획일적 공공임대주택의 공급에서 탈피하여 소득 및 수요계층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의 임대주택 공급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가 주목하는 NYCHA(New York City Housing Authority) 인필개발(Infill Development)은 뉴욕시의 거시적인 주거정책인 "Next Generation NYCHA"에 포함된 세부 실행사업이며 이러한 국내 상황과 동일한 맥락적 상황에 대한 대응이다. 이는 공공부문의 주도적 역할을 통해 기존 문제적 공공주택단지의 유휴부지 개발을 통하여 주택공급량을 확대함으로 서민을 위한 주거저렴성 확보와 동시에 만성적 적자에 허덕이는 뉴욕시 주택공사의 재정상태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이 사업을 통해 주변지역으로 부터 고립되어 다양한 사회-경제적 문제점이 노출되는 공공주택단지에 대한 해결방안을 함께 모색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뉴욕시에서 추진 중인 관련 개발사례에 대한 진행과정, 다양한 비평, 세부적 내용을 분석함을 통해 국내에 참조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나아가 국내 공공주택 공급확대를 위한 다양한 사업방식의 개발에 일조하고자 한다.

주거복지정책 유형별 주거비 부담수준 결정요인 분석 -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와 주거급여 수급가구의 비교연구 - (Determinants of Housing-Cost Burden among Subsidized Households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Public Housing Residents and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

  • 박서연;전희정
    • 국토계획
    • /
    • 제54권3호
    • /
    • pp.27-48
    • /
    • 2019
  •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housing welfare policy to ease low-income households' housing-cost burden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However, public housing residents and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still show a high level of housing-cost burden.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current housing welfare policy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both subsidized and unsubsidized households' housing-cost burden.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uses "2017 Korea Housing Survey" and divides groups into public housing residents,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and unsubsidized low-income renters. We compared the level of housing-cost burden by employing t-test and chi-squared analyse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housing-cost burden by employ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between the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the housing cost is the most burdensome for the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group, followed by the unsubsidized low-income renters and public housing residents.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housing-cost burden are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In case of public housing residents, housing characteristics usually affect the housing-cost burden. For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and unsubsidized low-income renters, both housing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housing-cost burden. Looking at the detailed factors, except for the housing tenure and regional average rents that are common factors for all groups, the amount of deposit is an important factor for public housing residents, and household employment status is an important factor for both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and unsubsidized low-income renter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blind spot of the current housing welfare policy. Second,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housing choice voucher program is required.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policy efforts to ease the level of housing-cost burden for renters. Fourth, a program is needed for those public housing residents who need a deposit support. Fifth, there should be further assistance with public housing for the poorest people.

저소득층 아동의 주거환경 (Home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of Children: Based on Socio-economic Status and Settlement Character)

  • 곽은순;정미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93-50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gional differences of 0-12 aged children's environment based on their parents' socioeconomic class and on the character of the settlement. One thousand and two hundred households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revealed that families in low socio-economic class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noise and home crowdedness. Families living in spontaneous settlement are deprived of natural light and the roads to their homes are steep and narrow. Low income families face a housing affordability crisis. Most of them pay housing rent on monthly basis. The basic infrastructure of low income neighborhood is lacking convenient facilities like shopping centers,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banks, public parks, and libraries. This lack of facilities is more severe in spontaneous settlement. Instead, bars and taverns are located in their neighborhood. Accessibility to parks and resource center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makes both middle and low income families consider their neighborhood to be positive and this condition is counted better in social housing area than in spontaneous settlement. On the contrary, social networks like friends and relatives are strong in spontaneous settlement and families in poverty value these relationships. Such networks are weak in social housing area and this difference is not related to their residential period. Low income families living in social housing area are more pessimistic about their future and this view might result from their counterpart middle class neighbors and the weak social networks.

  • PDF

수도권 및 비수도권 청년층의 주거특성 및 주거특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Housing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and their Determinants in Capital and Non-Capital City Regions)

  • 황광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3호
    • /
    • pp.21-3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2007) 4-14차(2010~2020년) 자료를 이용하여 청년층의 주거 관련 특성 현황들을 정리해보고, 심층적으로 주거의 특성들(자가 여부, 아파트 거주 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 고학력층, 취업한 청년층은 자가 및 아파트에 거주할 가능성이 높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부모와 동거중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경제적으로 독립한 청년층의 경우, 전/월세 형태의 입주형태와 다세대, 빌라, 오피스텔 등의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청년층이 주거, 일자리, 결혼 등의 문제로부터 벗어나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주택 마련 및 임대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 청년층의 경제적 상황과 수준 등에 맞게 맞추어져야 하겠다.

청년층 가구의 주거실태 변화에 관한 종단 분석 (A Longitudinal Analysis of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and Housing Expense of Young Households)

  • 이현정;임태균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2호
    • /
    • pp.31-47
    • /
    • 2022
  • 본 연구는 청년층 가구의 주거실태 변화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전국 가구와 비교하고자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5차 웨이브(2010년)와 15차 웨이브(2020년)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청년층 가구 수는 조사 기간 중 절반 수준으로 급감하였고, 청년층 가구의 가구주는 주로 대졸 이상의 고학력 30대 초반 기혼한 남성 임금근로자였다. 10년 간 고학력자와 임금근로자의 비율이 크게 늘어나면서 소득도 향상되었으나 여성 가구주와 미혼 1인 가구의 증가가 두드러지면서 전국 평균 소득과의 격차가 줄어들었다. 청년층 가구는 대체로 비수도권 지역에 거주하였고, 침실 2실을 갖춘 중형 공동주택의 임차인이었다. 특히 아파트 외 공동주택에서 월세로 거주하는 가구 비율이 높아지면서 주거비 부담은 전국 평균을 웃돌았고, 주거비를 25% 이상 부담하는 가구의 증가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다만 청년층 가구의 수도권 거주 비율이 전국 평균을 상회하고, 조사 기간 동안 전국 가구에서 월세 거주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에 변화가 없는 것과 달리 청년층 월세 가구 비율이 현저히 상승함에 따라 실제 청년층 차가 가구의 실질적인 주거비 부담은 더욱 커졌다. 또한 전국 평균을 밑도는 청년층 자가 비율과 함께 조사 기간 중 전국 자가 비율의 플러스 성장과 달리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인 청년층 자가율의 변화폭은 주거사다리의 진입이 어려워진 청년층 가구에게 비우호적인 주택시장 여건을 보여준다. 따라서 청년층 친화적인 주택시장 여건 조성을 위한 시책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