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Multi-Level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f Residents' Housing Instability in Korean Metropolitan Environments

대도시 거주자들의 주거불안정 영향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 이민주 (서울특별시 재정균형발전담당)
  • Received : 2020.11.18
  • Accepted : 2020.12.26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fluential factors of residents' housing instability in Korean large cities. The previous studies deal with low-income households' experiences with housing instability. However,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patial openness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residents' housing instability. For this purpose, I analyzed various experiences as symptoms of residents' housing instability using data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MOLIT) Korean Housing survey through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study finds that regional factors as well as household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ir housing instability. This result implies that promoting spatial inclusivity alleviate residents' housing instability in metropolitan environments. In addition, this study calls for policy efforts such as a continuous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and a greater variety of housing types to mitigate housing instability.

최근 대도시를 중심으로 주택가격의 급격한 상승에 따라 서민들의 주거안정도 크게 위협받고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 거주자들의 주거불안정성에 주목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주거비부담능력이 낮은 가구들의 주거불안 경험과 이에 따른 그들의 삶의 변화를 보여주는 데 주목해온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거주지역의 공간적 개방성, 커뮤니티 특성 등 지역특성이 거주자들의 주거불안 경험을 완화 또는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영향력을 실증분석하였다. 대도시 거주자들의 주거불안정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 2017년도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다층로짓모형(Multi-level Logistic Model)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가구의 주거비 부담능력과 같은 가구특성뿐만 아니라 주택 재고, 저렴한 주택 가격, 사회적 관계망 등 지역 특성의 영향력 또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의 공간적 포용성 증진이 주민들의 주거불안정을 완화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을 시사한다.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주거불안정을 도시정책 차원에서 주목하고, 이를 완화해나가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 2014. 한부모 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 가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pp.93-114.
  2. 공윤경, 2015, 저소득층의 정주 지속성과 주택협동조합에 관한 연구, 문화역사지리, 27(2), pp.118-131.
  3. 권은선.김광중, 2011, 주택재개발에 따른 비자발적 주거이동이 세입자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 서울도시연구, 12(2), pp.41-60.
  4. 남영우, 2020, 서민주거곤란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38(1), pp.209-224.
  5. 노승철.이희연, 2009, 주거이동을 통한 주거 불안정성 변화에 관한 연구-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4), pp.507-520.
  6. 박미선, 2017, 한국 주거불안계급의 특징과 양상: 1인 청년가구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27(4), pp.110-140.
  7. 박애리.심미승.박지현, 2017, 청년세대의 주거 빈곤 진입과 주거 불안정성 인식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9(2), pp.1-20.
  8. 박인권.이민주, 2016, 도시 포용성 구성개념과 지표체계의 개발: 한국의 포용도시 의제 설정을 위하여, 공간과 사회, 26(4), pp.109-158.
  9. 오근상.오동훈, 2018, 서울 주거비부담능력 부족 민간임차가구 규모의 추정: 잔여소득접근법과 품질기반접근법의 적용, 서울도시연구, 19(3), pp.57-80.
  10. 오근상.오문현.김은영.남진, 2013, 서울시 소득계층별 주거 상.하향 이동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8(5), pp. 127-144.
  11. 이민주, 2019, 대도시 공간배제적 주거이동의 실태와 요인 실증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2. 이민주.박인권, 2019, 대도시 공간배제적 주거이동 영향요인 실증분석, 국토연구, 101, pp.49-73.
  13. Clark, S. L., 2010, Housing instability: Toward a better understanding of frequent residential mobility among America's urban poor. Center for Housing Policy. (Retrieved from http://www.nhc.org/media/files/LawsonClark_analysis_for_child_mobility.pdf.)
  14. Clark, W. A. & Onaka, J. L., 1983, Life cycle and housing adjustment as explanations of residential mobility. Urban studies, 20(1), pp.47-57. https://doi.org/10.1080/713703176
  15. Desmond, M. & Gershenson, C., 2016, Housing and employment insecurity among the working poor. Social Problems, 63(1), pp.46-67. https://doi.org/10.1093/socpro/spv025
  16. Desmond, M., Gershenson, C. & Kiviat, B., 2015, Forced relocation and residential instability among urban renters. Social Service Review, 89(2), pp.227-262. https://doi.org/10.1086/681091
  17. Desmond, M. & Kimbro, R. T., 2015, Eviction's fallout: housing, hardship, and health. Social forces, 94(1), pp.295-324. https://doi.org/10.1093/sf/sov044
  18. Hankins, K., Puckett, M., Oakley, D., & Ruel, E., 2014, Forced mobility: the relocation of public-housing residents in Atlanta. Environment and Planning A, 46(12), pp.2932-2949. https://doi.org/10.1068/a45742
  19. Kingsley, G. T., Jordan, A., & Traynor, W., 2012, Addressing residential instability: Options for cities and community initiatives. Cityscape, pp.161-184.
  20. Kleit, R. G., Kang, S. & Scally, C. P., 2016, Why do housing mobility programs fail in moving households to better neighborhoods?. Housing Policy Debate, 26(1), 188-209. Retrieved from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79154759 https://doi.org/10.1080/10511482.2015.1033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