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ehold economic status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 청소년의 편의식품 섭취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15차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이용하여 (Factors influencing the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among Korean adolescents: analysis of data from the 15th (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박슬기;이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3호
    • /
    • pp.255-270
    • /
    • 2020
  • 본 연구는 2019년 제15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들의 편의 식품 섭취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신건강 특성, 그리고 건강행태 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청소년들의 편의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주관적 학업성적, 주관적 경제상태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요인인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 우울감 경험, 자살 생각이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건강행태 요인으로 아침식사 결식, 패스트푸드, 단 음료 섭취 등과 같은 식생활 행태뿐만 아니라 흡연, 음주, 약물복용 등의 요인도 청소년들의 편의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편의식품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정에서는 청소년들이 아침식사, 채소, 과일, 우유 섭취와 같은 건강한 식습관 및 충분한 수면 습관을 형성하도록 돕는 자녀교육이 필요하며, 학교에서는 청소년들이 건강한 식품을 선택하고 손쉬운 건강식을 스스로 만들어 먹을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편의식품 섭취 빈도가 높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금연, 금주와 같은 건강증진 행위를 실천하도록 돕는 건강교육이 함께 실시될 필요가 있다. 정부에서는 청소년들에게 건강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소매 업체가 우선적으로 학교 주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법률을 제정하거나, 학교 주변 소매 환경에서 양질의 편의식품이 판매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청소년의 편의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노년기의 의식구조에 관한 연구 (Ego Structure in Life Process of the Aged in Korea)

  • 유숙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5-115
    • /
    • 1980
  • Current statistics reveal remarkable prolongation of the average longevity in this country for the past decade. Welfare of the aged is no longer sole concern of the person or/and family. but has aroused social concern on the community and national level.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social, economic and emotional needs of the aged. and to identify problems they are confronting. Data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ing 273 subjects living in Seoul from July 25, to August 31. 19 80. Frequencies and percentile scores were analysed to describe the fact. and the significance of int or-variable differences was tested by Chi-square method. Results are : 1. Majority of the subjects (male : 65.38%). (female : 62.13%)“talk about past experiences”to re-collect their past day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respondents was not significant. 2. Except few who earn their pocket money (4.21%). majority were doing household errands (34.52% ) and looking after their garnd children (29.26 %). Main sources of their pocket money revealed to be their children (84.02%) and their own savings (24.64% ). Except few (15%)engaged with social activities directly or indirectly. leisure hours are spent in chatting with aged neighbors (44.81%). Highest in the rank order on the joyous moments for the aged revealed to be when the members of family living apart paying a visit (male : 37.5%, female : 63.72%)difference of male and female was significant ( P<0.05). Among female respondent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group was revealed (p<0.05). 3. Majority prefered sin91e houses (84.30% ). as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uburban (36.26% ) area was the filet in the rank order : difference between age group and the educational status were not significant. Majority of respondents revealed to have their own room in the house. The first preference was given to live with their children (68.86%). Memory of the past (37.36% )revealed to be the highest in the rank order among the reasons why they dislike moving the house. 4. Majority favored current welfare benefts provided for the old age. however. the ideal way to live at their old age they responded was to live on their own savings (50.54%). 5. Majority revealed to be daunted occasionally (62.27%) by not being less active (34.16%) socially and by poor physical health(29.75%). Male and female differ in the causes of loneliness significantly (P <0.001) : retirement (37.89%) in ale and helpessness (43.05%) in female revealed the highest in the rank order. Majority talk over their feelings with aged neighbors to overcome the loneliness. 6 Majority were in favor of planting and looking after pet animal in the house. however. male and female differ in the kind significantly (p <0.001), 7. Majority think about death and dying occasionally or more (84.11% ). Many of the respondents believes in the life after life (53.49%) : female reveal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p <0.01). and subjects with christian belief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christians (P<0.001). Attitude towards death and dying differs significantly between male and female (P <0. 001) and between christians ans and nonchristians (p <0.001). Highest preference was given to simple funeral (69.85%). Precious heritage that they would pass on to their descendants was onoscience and ethical value(57. 51%) : christian response as the first value was christian belief (52.38%).

  • PDF

농촌지역 정신질환자 가족 부담 (A Study on the Family Burden of the Mentally Ill in a Rural Area)

  • 이원영;김정회;남정현;문옥륜;신영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3호
    • /
    • pp.400-414
    • /
    • 1999
  • Objectives: This is a descriptive study which was carried out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chronic mentally ill and their families in a rural area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family burden. Methods : Data was collected for seven months beginning April 1, 1998 by questionnaire from chronic mentally ill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two towns and seven townships of the rural areas of Kyonggi Province. In additional to the mental diagnosis of the mentally ill patients, family burden was measured by interviewing the other family members using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i & Kapur (1981). Of those interviewed, 103 patient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Results : Of 103 mentally ill patients, 36.1% of the subjects were not under treatment. In particular, of 29 patients with schizophrenia, 48.3% of the subjects had stopped taking medication and 6.9% of the subjects had never been tre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pecialized examination by a psychologist, 81% of patients were in need of Hospitalization. Most primary caregivers were parents. Of the 101 primary caregivers in the study, 39.6% were over 65 years old. In case of death of the primary caregiver, 50.5% of these 101 mentally ill patients would not have anyone to care for them. Of the various kinds of family burden, primary caregivers most often reported psychological stress. Overall, the families of dementia and schizophrenia patients complained of the most family burden. Through univariative analysis, the variables of sex, education and current treatment type of the patients, the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and marital status of the primary caregiver and the number of people living together in the househol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amily burden of schizophrenia patients. Univariativ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a number of variables which were correlated to the family burden in mentally retarded patients. Concerning the need for mental health services, the most common requests were for entitlement to disability benefits and housing programs. Conclusions: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in rural areas must be developed, planned and executed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situation.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various family support programs is needed in order to mitigate emotional, mental and economic burdens and carry out a positive role to care for and rehabilitate patients.

  • PDF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관련 영향요인 (SNS Addiction Tendency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 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561-56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병리적 자기애,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 정도를 알아보고 SNS 중독 경향성 관련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385명의 대학생으로 부터 수집된 자료는 t test, ANOVA, Sheffe's test와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이 되었고 단계별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SNS 중독경향성의 수준은 1.78점이었고, 병리적 자기애는 2.45점 이었고, 스트레스는 2.75점 그리고 사회적 지지정도는 3.26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SNS중독경향성 차이는, 성별(F=26.525, p<.001), SNS사용시간(F=24.938, p<.001), SNS과다사용 여부(F=72.083, p<.001), SNS사용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 유무(F=13.075, p<.001), 가족의 경제적 수준(F=3.409, p=.03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보면, SNS중독경향성은 병리적 자기애, 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사회적 지지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상자의 SNS중독경향성의 영향변수로는 병리적 자기애(${\beta}=.335$, p<.001), SNS사용시간(${\beta}=.222$, p<.001), SNS과다사용 여부(${\beta}=-.262$, p<.001), 성별(${\beta}=.159$, p<.001), 사회적 지지(${\beta}=-.125$, p=.002), 학교성적(${\beta}=.088$, p<.029)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은 대상자의 SNS중독경향성을 39.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며, 대학생을 위한 중재에서 이런 변수들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영유아보육이 아동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영유아보육 정책의 실태와 전망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on Children's Mental Health (I) - Status and Prospect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ies of Korea -)

  • 반건호;홍민하;이연정;곽영숙;정유숙;이소영;김봉석;손석한;정운선;양재원;방수영;황준원;오소영;한재현;이종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4권1호
    • /
    • pp.3-12
    • /
    • 2013
  • Most preschool children in Korea attend kindergarten (KG) or a child care center (CCC). CCCs, which focus on caring for the child, belong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 the other hand, KGs are responsible for education, and belo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order to resolve the decline in population due to low birthrates, the government is expanding the free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ies. CCCs and KGs are combined together to form the 'NURI curriculum' and supporting funds have been increased in both governmental departments. In addition, economic support is provided for homeschooling households. Because this is a nationwide policy and applies to every single household, thorough preparation regarding the effect and side effects must be made. This policy i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and a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grea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influence on the population. Therefore,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intend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problems of the nationwide policy by analyzing the current condition of Korea's free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foreign policies. In the current paper, we reviewe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Korea's free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as well as suggested future directions.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비교분석 (Marriage Intention AmongNever-Married Men and Women in Korea)

  • 김정석
    • 한국인구학
    • /
    • 제29권1호
    • /
    • pp.57-70
    • /
    • 2006
  • 결혼은 그 자체로서 매우 중요한 주제이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저출산의 주요원인으로 언급되면서 학문적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혼에 대한 체계적이고 분석적인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자료를 이용해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을 분석하고 있다. 미혼남녀전체를 대상으로 로짓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들의 인구학적 특성, 경제상황, 가구 및 가족특성, 성과 혼전동거에 대한 태도 등이 통제된 상황에서도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결혼을 하겠다는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한편 남녀별 로짓회귀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취업, 가구형태, 성과 혼전동거태도 등의 효과가 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취업의 경우, 미혼남성의 결혼의향은 높이지만, 미혼여성에게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 같은 결과는 여성의 경제적 기반과 결혼에 대한 두 가지 주요 이론인 경제독립가설과 경력진입모형 모두와 거리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독립가구거주와 성 및 혼전동거에 대한 개방적 태도의 효과는 미혼남성에게 발견되지 않지만 미혼여성에서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성에 따른 이상의 변수들의 차별적인 효과는 미혼에서 결혼으로 이행하는 과정과 동기가 성에 따라 다르게 작동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결혼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경험적 연구에서 이러한 남녀간 차별성이 반영될 필요성이 있다.

경상북도 귀농·귀촌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Urban-to-rural Migration Policy in Gyeongbuk Province)

  • 이철우;박순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59-675
    • /
    • 2015
  • 본 연구는 경상북도의 귀농 귀촌정책의 실태와 특성 그리고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경상북도는 전국 최초로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중앙정부 지원 사업 외에 독자적인 사업의 영역을 확대한 결과, 지원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이다. 그러나 귀농 귀촌 지원 정책의 문제점으로는 중앙정부 및 산하 기초지자체와의 역할분담과 관련 부서간의 연계성 부족, 지역특성 및 귀농 귀촌인(세대)의 속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고, 은퇴자 계층을 중심으로 한 귀촌인의 정책적 수요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점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기존의 정책 주체 외에 귀농 귀촌인를 포함하는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고, 이것이 지역에 제대로 뿌리내릴 수 있는 사업을 제도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경제적 물리적 지원중심의 접근방식에서 탈피하여, 적응주기별 차별화된 프로그램과 귀촌인을 위한 '비농업 농촌형 일자리' 및 농촌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전문역량강화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 PDF

학부모의 연령, 학력 및 소득수준에 따른 스마트교육 관련변인 태도분석 (Analyses on Attitudes to Smart Education-related Variables Based on Parents' Age, Levels of Education and Income)

  • 김재훈;박영란;임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55-264
    • /
    • 2013
  • 본 연구는 학부모들의 연령, 학력 및 소득수준에 따라 스마트교육과 관련된 주요 이슈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설문내용으로는 주로 디지털 활용 교육효과, 스마트교육에 대한 이해도, 교육개선의 필요성, 그리고 태블릿PC의 개별구입 등과 관련된 것들이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서울시내 5개 초등학교로부터 수집된 432명의 학부모 설문결과가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학부모들은 태블릿 PC보다 일반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가능성에 보다 우호적이었으며, 휴대폰과 SNS의 교육효과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인 편이었다. 둘째, 스마트교육과 관련된 친숙도와 이해도는 어머니의 학력 및 가계수입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학부모들은 학교 교육방식의 변화 필요성, 그리고 학습자 측면에서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협력, 탐구능력, 창의성 등의 신장 필요성에 공감하였다. 넷째, BYOD 정책과 관련해서는 필요시 일정금액 한도 내에서 자녀에게 기기를 구입해 줄 수 있다는 의견이 우세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참조되어 학부모 의견이 적절히 반영된 스마트교육 시행이 요청된다.

전세 거주 청년 부부가구의 지역 간 거주환경과 주거비 차이 (Geographical Discrepancies in Residential Outcomes and Housing Expenditure of Young Married Couples in Chonsei Housing)

  • 이현정;남상준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3호
    • /
    • pp.17-36
    • /
    • 2023
  • 본 연구는 전세로 거주 중인 청년(19-34세) 부부가구의 거주환경과 주거비를 네 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하고 그 영향 변인을 분석한다. 2020년 주거실태조사를 횡단면 분석한 결과, 청년 부부가구는 31-32살의 대졸 이상 임금근로자인 남성 가구주가 있는 혼인 2-3년차 내외의 신혼부부였다. 맞벌이 비율이 높은 수도권 중 서울에서 무자녀의 맞벌이 2인 가구, 비수도권에서 유자녀의 외벌이 3인 가구가 두드러졌다. 수도권 가구의 자산, 전세 보증금, 부채, 소득이 비수도권보다 더 컸고, 특히 가장 큰 서울과 가장 적은 비수도권 지역 간의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또한 전체적으로 60m2 이상의 침실 3개를 갖춘 아파트에 1년 이상 거주 중이었고 최저주거기준을 충족하는 주택에 주거복지서비스 중 전세자금대출을 주로 이용 중이었다. 주택 및 전체적인 주거환경의 만족도는 특·광역시와 서울 가구에서 높은 편이었으나, 경인 가구는 모두 불만족하였고 비특·광역시 가구의 전체적인 주거환경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이처럼 연령, 혼인상태, 주택점유형태의 동질성에도 불구하고 지역 주택시장과 복수 소득원 여부는 가계재무 구조와 거주 질의 지역 간 차이를 키웠고, 이러한 격차는 가족 및 주거생활주기와 생애주기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자산시장의 변동성으로 심화되리라 예상된다. 한편, 주택 및 전체적인 주거환경 만족도의 공통된 영향 변수는 (경인의 전체적인 주거환경 만족도를 제외하고) 근린환경 만족도였고, 주거비의 결정 변인은 지역별로 달라 서울의 주택규모, 경인의 생활편의시설 만족도, 비특·광역시의 여성 가구주 가구로 혼재된 영향력을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주거 수준의 지역간 차이가 장기적으로 주거불균등, 나아가 지역 불균형으로 발전될 개연성이 크므로 이를 완화시킬 선제적인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동질혼이 가구의 소득, 소비, 자산에 미치는 영향: 부부의 성취적 특성 및 부모의 귀속적 특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Assortative Mating on Household Income, Consumption, and Asset in Korea)

  • 석재은;노혜진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2호
    • /
    • pp.437-463
    • /
    • 2013
  • 양극화와 세대간 계층재생산이 한국 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여겨지는 상황에서, 동질적인 부모의 배경, 동일한 소득계층, 동일한 학력 간에 끼리끼리 이루어지는 동질혼의 증가가 사회적 주목을 받고 있다. 동질혼의 증가가 사회 이동의 폐쇄성을 강화함으로써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세대간 계층 이동을 제한시킬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이 연구는 동질혼의 개념을 구성하는 부부의 성취적 특성 및 부모의 귀속적 특성이 가구의 경제적 상태를 대표하는 소득, 소비,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한국 사회의 세대내 불평등 및 세대간 계층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동질혼의 역할에 대한 실증적 이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동질혼이 소득과 소비, 그리고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동질혼의 성취적 특성으로는 고학력 동질혼이 소득과 소비 수준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동질혼의 귀속적 특성으로는 아버지들의 교육적 동질혼이 자산수준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소비에는 동질혼의 성취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자산에는 동질혼의 귀속적 특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세대간 이전이 소득보다 자산을 중심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20-30대 젊은 부부에게는 귀속적 특성이 자산에 대해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