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e dust mite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9초

Efficacy of Half Dose House Dust Mites-Specific Immunotherapy on Canine Atopic Dermatitis

  • Park, Jeong-Ho;Lee, Wang-Hui;Park, Seong-J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22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at the hypothesis of half dose (HD) allergen-specific immunotherapy (ASIT) in the treatment of canine atopic dermatitis (CAD) would result in a similar success rate compared to the standard dose (SD) ASIT. Clinical signs were evaluated using a third version of the Canine Atopic Dermatitis Extent and Severity Index (CADESI-03) prior to ASIT (day 0), at the end of induction (day 43), and at three month afterwards (day 90). Of the 18 atopic dogs, 12 dogs (SD group: 6; HD group: 6) had a good - excellent response to the house dust mites-specific immunotherapy. The efficacies of ASIT were 66.6% in both groups. The grades of reduction rate CADESI-03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refore, half dose protocol of house dust mites-specific immunotherapy is an effective and efficient method to treat CAD.

Monoclonal antibodies to recombinant Der p2, a major house dust mite allergen: specificity, epitop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wo-site capture ELISA

  • Yong, Tai-Soon;Lee, Sang-Mi;Park, Gab-Man;Lee, In-Yong;Ree, Han-Il;Kim, Kyung-Sup;Oh, Sang-Hwan;Park, Jung-Won;Hong, Chein-S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7권3호
    • /
    • pp.163-169
    • /
    • 1999
  • House dust mite allergens have been well established as sensitizing agents that are important in the induction of allergic diseases. In order to analyze epitopes of the allergen and to develop a quantitative method of the allergen exposure,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a recombinant Der p 2 (rDer p 2), one of the major allergens of Dermatophogoides pteronyssinus, were produce. Four monoclonal antibodies produced wee species-specific and did not cross-react to the D. farinae crude extract. Two of the monoclonal antibodies were found to be IgG1 and the others were IgM. For the analysis of epitopes, a Der p 2 cDNA encoding 126 amino acids (aa) was dissected into three fragments with several overlapping peptides, A (aa residues 1-49), B (44-93), and C fragment (84-126). Three monoclonal antibodies showed reactivities to the recombinant B fragment and to the full-length rDer p 2, but one monoclonal antibody reacted only with the full-length rDer p 2. Two-site capture ELISA was developed using two different monoclonal antibodies for quantitating Der p2 in house dust. The sensitivity limit was 4ng/ml with rDer p2 and $8{\;}\mu\textrm{g}/ml$ with the d. pteronyssinus crude extract.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assay using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rDer p2 could be useful for the environmental studies and for the standardization of mite allergen extracts.

  • PDF

집먼지에 서식하는 긴털가루진드기(진드기목: 가루진드기과)의 대량 사육방법 개발 (Development of mass rearing technique of Tyrophnn putrescentiae (Acari: Acaridae) found in house dust)

  • 이한일;이인용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3호
    • /
    • pp.149-154
    • /
    • 1997
  • 저장 곡류 해충으로 알려져 있는 긴털가루진드기(rophnwpkescentios)가 우리 나라 가옥 내 집먼지 서식 진드기류 중 제 3의 우점종으로 밝혀짐에 따라 알레르기성 질환을 야기하는 원인 항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져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단, 치료 및 면역학 적 연구에 필요한 다량의 항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대량 사육방법의 개발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긴털가루진드기를 대량 사육하는데 가장 적합한 사육배지로는 실험동물사료 분말 로 사육 10주 후 1,251.5배의 개체 증가를 보였고 효소분말과 실험동물 사료분말의 혼합배지 (1 : 1)에서도 사육 10주 후 1.203.1배의 개체 증가를 보여 거의 같은 성적을 보였다. 사육조건으 로 가장 적합한 온도와 상대습도는 $25^{\circ}C$. 64% RH로서 9주 후 960배로 가장 높은 증식결과를 보였고, $^25{\circ}C$와 75% RH에서도 935.4배의 개체 증가로 거의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사육용기 표면적을 $79{\;}cm^2,{\;}154{\;}cm^2{\;}및{\;}227{\;}cm^2$로 사육 비교한 결과 각각 860.8배. 924.6배 및 1,250.8 배의 개체 증가를 보여 현저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 PDF

Chemotactic Effect of the House Dust Mite Allergen,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on Human Monocytic THP-1 Cells

  • Yang, Eun-Ju;Lee, Ji-Sook;Yun, Chi-Young;Kim, In-Si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3-96
    • /
    • 2009
  • House dust mites (HDM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occurrence of allergic diseases such as asthma and atopic dermatitis.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Der p)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HDMs. It mediates the activation of T cells and monocytes, and induces the elevation of immunoglobulin E levels in allergic diseases. However, the effects of Der p on human monocytes have not been fully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or not Der p has a great effect on the chemotactic activity of the human monocytic cell line, THP-1 cells, as induced by CC chemokines. We also show that the Der p extract (DpE) increased the chemotactic activity of THP-1 cells in response to MCP-1, RANTES, MIP-1${\alpha}$, and TARC, but had no effect on the expressions of CC chemokine receptors (CCRs) binding to CC chemokines in THP-1 cells. Protease inhibitors, such as aprotinin and E64, blocked the increased chemotaxis, while cytoplasmic $Ca^{2+}$ influx mediated by these chemokines was inhibited by Dp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pE increases the chemotactic activity of THP-1 cells in response to CC chemokines by regulating the cells' protease-dependent mechanism. This finding may be useful in identifying the pathogenesis of allergic diseases induced by Der p.

  • PDF

Toxic Shock Syndrome Toxin-1 및 Mite 항원이 사람섬유아세포의 생물활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ite Antigen and Toxic Shock Syndrome Toxin-1 on the Biological Actvity of Human Fibroblast)

  • 김광혁;옥미선;유태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1-119
    • /
    • 1996
  •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1(IL-1)and nitric oxide(NO) by cultured fibroblast cells of human nasal turbinate was revealed by biological assay respectively. The cells were incubated for various periods of time in the presence of staphyloccocal toxic shock syndrome toxin-1(TSST-1) and house dust mite(Dermatophagoides farinae, HDM), and the culture supernatants were harvested.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the activities of IL-1beta and the amount of NO produced by the cells when stimulated with 0.002-0.1$\mu$g/ml of TSSTO-1 and 0.02-1$\mu$g/ml of HDM. The shapes of the time course curves for the production of IL-1beta and NO by the cells were different. Groups stimulated with TSST-1 or HDM produced more IL-beta in 2 h than no exposure group(Control). A certain mixed group(TSST-1, 10ng+mite, 100 ng) continued to produce IL-1beta highly throughout the entire incubation period. The cells stimulated with TSST-1 or HDM produced more NO in 2 h and 6 h than that produced in the end of incubation(48 h). Also, the mixed groups were generally similar. There results suggest that induction of IL-1beta by a certain mixed condition(TSST-1+mite) in fibroblast cell in vivo may play a role in inflammation.

  • PDF

호흡기 알레르기 환아에서 집먼지진드기 감작과 출생 월 분포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 Dust Mite Sensitization and Month Birth Distribution in Children with Respiratory Allergy)

  • 강은경;나규민;강희;유영;고영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4호
    • /
    • pp.370-375
    • /
    • 2003
  • 목 적 : 출생 후 영아기에 알레르겐에 대한 노출 여부가 추후 감작과 알레르기질환의 발생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집먼지진드기가 알레르기질환의 주요 흡입 알레르겐으로, 집먼지진드기 항원량은 계절적으로 가을에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 호흡기 알레르기 환자에서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감작 여부에 따라서 출생 월 분포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2년 5월까지 만성 호흡기 증상으로 서울대학교병원 어린이병원을 방문하여 알레르기 피부단자시험과 메타콜린 유발시험을 시행 받은 환아 1,327명을 대상으로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감작 여부와 출생 월을 조사하여, 집먼지진드기 감작 유무에 따라 출생 월 분포를 비교하였다. 결 과 : 한 가지 이상의 알레르겐에 피부시험 양성을 보인 아토피군은 864명(65.1%)이고 비아토피군은 463명(34.9%)이었다. 아토피군에서 집먼지진드기에 양성을 보인 환아의 수는 787명(91.1%)이고 집먼지진드기를 제외한 나머지 피부시약에 양성반응을 보인 수는 77명(8.9%)이었다. 집먼지진드기 아토피군과 비아토피군의 출생 월별 분포를 기대 환자수와 비교했을 때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를 가진 환아들은 계절적으로 8월에서 11월까지 기대 환자수 보다 유의하게 많이 출생하였고(P=0.03) 비아토피군에서는 상기와 같은 출생 월 분포를 보이지 않았다. 천식으로 진단된 환아는 총 543명(40.9%)이었고 이중 아토피성 천식 환아는 421명(77.5%)이었고 비아토피성 천식 환아가 122명(22.5 %)이었다. 아토피성 천식 환아 중 집먼지진드기 아토피성인 환아는 387명(91.9%)이었다. 집먼지진드기 아토피성 천식과 비아토피성 천식 환아에서 출생 월의 계절별 비교에서 8월에서 11월까지 집먼지진드기 아토피성 천식 환아가 비아토피성 천식 환아보다 유의하게 많이 출생하였다(P=0.002). 결 론 : 출생 월은 알레르겐에 대한 감작 여부에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에서는 8월에서 11월까지의 출생이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감작의 위험이 큰 시기로 보인다.

개의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집먼지 진드기 항원 특이적 IgE와 림프구 증식 반응의 증가 (Increased Allergen-specific IgE Values and Lymphocyte Proliferation Response to House Dust Mites in Dogs with Atopic Dermatitis)

  • Park, Seong-j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3-96
    • /
    • 2004
  • 혈중 항원 특이적 IgE 검사와 피내시험으로 집먼지 진드기 (house dust mites, HDM)에 양성 반응을 보인 20두의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진단된 개를 대상으로, 말초혈단핵구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를 채취하여 HDM항원에 대한 반응을 검토하였다. PBMC를 분리하여 HDM항원으로 자극한 결과 20두 중 13두 (65%)에서 항원 특이적이 림프구의 증식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HDM 항원에 증식반응은 아토피성 피부염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반응이 확인되었다 (P=0.007). 또한, HDM에 대한 반응은 혈중의 IgE 농도와 유의적으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P=0.035), 이는 체내에서 항원 특이적인 IgE의 생산을 촉진하는 작용을 반영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말초혈액중에 존재하는 HDM 항원 특이적인 림프구는 개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병태생리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대전지역 아토피성 피부염 이환견의 양성항원 분포 (Prevalence of Causative Allergens on Canine Atopic Dermatitis in Daejeon Area)

  • 송근호;이정연;류건주;이상은;박성준;김덕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6-3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valent allergens causing canine atopic dermatitis in Daejeon area. Twenty two dogs were diagnosed with atopic dermatitis by an using intradermal skin test (IDST). Allergens used for the IDST included 33 allergen extracts from nine allergen groups: house dust mites (HDM), house dust, moulds, trees, weeds, grasses, insects/fleas, epithelia and others. The 22 purebred dogs with atopic dermatitis enrolled in this study included Shi-tzus (10/22, 45.5%), Yorkshire terriers (5/22, 22.7%), Miniature pinschers (4/22, 18.2%), Pugs (2/ 22, 9.1 %) and Cocker spaniels (1/22, 4.5%). The age of onset of atopic dermatitis ranged from 5 months to 5 years old (median: 1.79 years). The males (12/22, 54.5%) and females (10/22, 45.5%) were almost equal. The number of positive reactions to allergens recorded in each dog with atopic dermatitis was 3 (9/22, 40.9%), 2 (8/22, 36.4%), 1 (3/ 22, 13.6%) and 4 (2/22, 9.1 %),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positive allergen reaction was HDM (52.6%). The other positive allergen reactions recorded were from house dust (17.5%), insects/fleas (15.8%), trees (5.3%), moulds (3.5%), kapok (3.5%), silk (3.5%), epithelia (1.8%), weeds (0%) and grasses (0%), respectively. Positive reactions recorded to 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were in 53.3% and 46.7%, respectively. The IDST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ost common causative allergens in canine atopic dermatitis in Daejeon area were HDM.

알레르기 림프구에서 집먼지진드기 알러젠의 PAR2/PKCδ/p38 MAPK 경로를 통한 사이토카인 증가는 호중구의 세포고사를 억제시킨다 (House Dust Mite Allergen Inhibits Constitutive Neutrophil Apoptosis by Cytokine Secretion via PAR2/PKCδ/p38 MAPK Pathway in Allergic Lymphocytes)

  • 이나래;이지숙;김인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88-19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집먼지 진드기 추출물은 호중구에 단독으로 작용하는 것보다, 림프구와 호중구의 공동배양에서 호중구의 세포고사를 더 억제시켰다. 집먼지 진드기는 알레르기 질환의 림프구에서 IL-6, IL-8, MCP-1, GM-CSF의 분비를 증가시켰다.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증가된 사이토카인은 protein kinase C ${\delta}$의 억제제인 rottlerin과 p38 MAPK의 억제제인 SB202190에 의해서 감소하였다.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활성화된 p38 MAPK은 protease-activated receptor (PAR2)의 억제제, rottlerin, SB202190에 의해서 억제되었다. Serine protease 억제제인 aprotinin과 cysteine protease 억제제인 E64은 림프구의 사이토카인의 증가와 관련이 없었다. 또한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증가된 사이토카인의 변화는 천식과 알레르기 비염 환자에서 차이가 없었다. 림프구에서 집먼지진드기에 의해서 분비되는 분자들은 호중구의 유주운동을 억제시켰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집먼지진드기에 의해 유발되는 알레르기 질환의 병인기전을 규명하는데 유용한 결과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