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el wedding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9초

호텔예식 서비스품질과 만족간의 관계 및 구전의도의 조절효과 연구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tel Wedding Service Qualities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Word-of-Mouth Inten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 송영석;김연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406-414
    • /
    • 2012
  • 호텔예식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인과관계 및 호텔예식 서비스품질에 대한 구전의도의 영향관계를 실증분석하여 이에 따른 경쟁력있는 호텔예식 마케팅 전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특급호텔예식 참석고객을 대상으로 서울지역 특급호텔 12곳에 각 30부씩 배부하여 회수된 335부 중에서 불성실한 20부를 제외하고 315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호텔예식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둘째, 호텔예식 구전의도는 호텔예식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조절 역할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와 한계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표본의 세분화와 예식서비스 상품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호텔 연회 결혼식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in Hotel Banquets and Wedding Ceremonies)

  • 송수익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60-274
    • /
    • 2007
  • This research explores the intension of repeatable guests through on the wedding facilities, employees' service ability, and banquet menu. First, wedding facilities include transportation, parking lots, subsidiary facilities, reception desks, Paebaek Rooms, and waiting rooms for brides. Secondly, according to the analysis for service quality of hotel wedding feasts, respondence and sympathy were not be fully considered while good effects showed through materiality, reliability and conviction. Thirdly, hotels will be expected to have re-visiting guests when the guests have good experience on the hotel facilities and satisfying menu. Alternatively, menu would have a negative result if there's not satisfying service. Employees should be aware of the list of menu and can be able to offer a suggestion. In other words, a banquet has to be prepared not only with fresh or seasoned ingredients but with good service to make the guests revisit. Therefore, we should be aware of what our guests want and how to prepare for their satisfaction.

  • PDF

결혼 예식장 종류에 따른 서비스스케이프 배색 이미지 분석 -호텔 예식 연회, 일반예식장, 종교 결혼식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wedding servicescape color combination image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hotel banquet hall, general wedding hall and sanctuary-)

  • 김경희;조미나;양일선
    • 감성과학
    • /
    • 제14권1호
    • /
    • pp.73-82
    • /
    • 2011
  • 본 연구는 결혼 예식장 종류에 따른 서비스스케이프 배색 이미지를 호텔 예식 연회, 일반 예식장, 종교 결혼식장 간에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 20~39세 400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 및 우편조사를 실시하였고 31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WIN 17.0을 사용하였고,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t-test, 분산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는 경쾌함, 고상함, 은은함의 3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크론바하 알파값이 조사 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0.7 이상을 나타내어 적합하게 나타났다.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 분석 결과, '깨끗한'이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온화한' 3.50, '은은한' 3.38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에 대한 결혼식장 유형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배색 이미지 중 '경쾌함' 요인은 일반 예식장이 3.00, '고상함' 요인은 호텔 결혼식장 3.64, '은은함' 요인은 호텔 결혼식장에서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차이 분석 결과, 성별, 결혼 유무, 한달 총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결혼식장 색채 마케팅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잠재고객의 호텔웨딩 인적서비스상품에 대한 인식과 감정반응 (Recognition & Emotion Reaction on the Hotel Wedding Human service Commodities of latency Customer)

  • 이준재;김용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342-351
    • /
    • 2009
  • 호텔기업의 수익창출구조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웨딩서비스 상품 중 다소 측정이 어려운 인적 서비스 상품에 대한 예비 고객의 감정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호텔별로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에게 설문지를 20부씩 배부하여 회수된 177부 중에서 불성실한 20부를 제외하고 157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인적서비스와 물적 서비스로 크게 구분될 수 있는 호텔 웨딩 서비스 상품 중 인적서비스는 고객이 느끼는 긍정적 감정과 긍정적 환기, 부정적 환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둘째, 고객의 호텔 웨딩서비스 상품에 대한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은 향후 고객 행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즉 고객의 감정반은(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 긍정적 환기, 부정적 환기)은 고객의 추후 구매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와 한계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표본설정에서부터 실증연구 결과까지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될 것을 기대해 본다.

한국의 결혼연회 서비스의 품질이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How Does Perceived Wedding Banquet Service Quality A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Korea?)

  • 황주영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1권4호
    • /
    • pp.135-148
    • /
    • 202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wedding banquet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focusing on upscale hotels in Korea.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primary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to test hypotheses and investigat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8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s valid data to be analyzed. In order to test hypotheses, reliability, validity, correlation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ccomplished. Findings -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otel wedding banquet quality and customer emotional 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 the perceived wedding banquet quality does no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Secondly, emotional satisfaction on wedding banquets affects customer loyalty. Thirdly, it is found that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on wedding banquets can affect customer loyalty.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With the rise in selecting wedding venues, establishing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by practitioners is demanded in order to survive in competitive situations. However, research conducted on wedding banquets is insufficient so far. Therefore, this study was needed to conduct to widen the scope of the study.

국내 특급호텔 웨딩공간의 인테리어 코디네이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Coordination of Wedding Spacesin First Grade Hotels in Korea)

  • 신수현;정유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9-162
    • /
    • 2008
  • The main consumers of wedding market are young people. They prefer differentiated and unique wedding and with the deregulation of using five-star hotels as wedding spaces in 1999, the wedding market has entered into an era of new competition. Under the background like above, this study tries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effective and systematic interior coordination of wedding spaces. For this study, large banquet halls at 16 five-star hotels in Seoul were selected. Theoretical and field examination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elements of wedding space include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floor, walls, and ceiling and lighting, color, fabric, table setting, and flower coordination. This study found that uniformity or repetition is used for the walls while modules are used for the ceiling. Unlike the past, LED is used for lighting to create diverse colors and the range of colors used has been broadened. In addition, fabric, table setting, and flowers are used actively to create overall atmosphere of the space. When these elements are aggregated and analyzed by hotel for interior design style, Hotels H and S have modern style, Hotels L and P have elegant style and Hotel IP have classical style.

  • PDF

웨딩홀 레스토랑의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 그리고 추천의도 간의 관계연구 - 웨딩홀 및 호텔 이미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Wedding Hall Restaurants,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Wedding Hall and Hotel Image -)

  • 김영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52-266
    • /
    • 2016
  • 본 연구는 예삭장과 호텔의 홍보와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예식장과 호텔 서비스 접점이 가장 많은 예식장 식당 하객을 대상으로 예식장 식당 서비스 품질과 예식장 식당 고객만족, 그리고 추천의도 간의 관계, 또 이 인과관계에서 예식장 호텔 이미지의 조절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하는 예식장과 호텔 10곳을 선정하여 예식장 식당을 이용하는 하객 332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식장 식당 서비스 품질 중 종업원, 시설 및 환경, 그리고 편리성 서비스 품질은 예식장 식당 고객만족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둘째, 예식장 호텔 이미지는 음식과 종업원 서비스 품질과 예식장 식당 고객만족 간에 부(-)의 조절효과가 있는 반면, 시설 및 환경 서비스 품질과 예식장 식당 고객만족 간에 정(+)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셋째, 예식장 식당 고객만족은 추천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넷째, 예식장 호텔 이미지는 예식장 식당 고객만족과 추천의도 간에 유의적인 부(-)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호텔 예식 선택 속성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election Attributes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or Hotel Weddings - Focusing on Young People's Life Style -)

  • 류경민;박정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9-214
    • /
    • 2010
  • 본 연구는 호텔 예식 선택 속성의 만족도와 행동의도 관한 연구로 서울 및 대전 지역의 특급호텔 예식을 경험한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를 위해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중 248부를 연구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는 데이터 코딩을 거친 후 SPSS 14.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호텔 예식 선택 속성에 관한 요인 분석 결과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연구결과, 호텔 예식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호텔선택 속성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으며, 호텔 예식 만족도는 호텔 예식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터넷 뉴스에 보도된 작은 결혼식의 특징 분석 및 활성화 방안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Plan to Activate the Small Wedding Reported in Internet News)

  • 김현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3-54
    • /
    • 2019
  • 본 연구는 인터넷 뉴스에 보도된 작은 결혼식의 특성을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는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인터넷 뉴스 248개이며, 빈도분석과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절약형은 2016년에, 축의금 개선형은 2015년에 많은 비율로 보도되었다. 작은 결혼식 장소로 절약형과 무료형은 공공기관을, 소규모형은 호텔을, 특색형은 야외와 하우스를, 축의금 개선형은 호텔과 공공기관이 많이 보도되었다. 절약형, 특색형과 무료형은 정보전달로 많이 보도되었으며 소규모형과 축의금 개선형은 사례 유형으로 많이 보도되었다. 사례는 공공기관과 호텔을, 정보전달은 공공기관을 작은 결혼식 장소로 많이 보도되었다. 사례와 정보 전달은 호의적인 비율이 높고, 의견은 호의적인 비율과 비호의적인 비율이 유사하게 보도되었다. 일반인은 절약형, 유명인은 소규모형으로 보도되는 비율이 많았다. 또한 일반인은 공공기관을, 유명인은 호텔을 작은 결혼식 장소로 보도되는 비율이 많았다. 작은 결혼식에서 비용을 절약한 항목은 장소 대여 비용, 피로연 비용, 예복 비용, 화환/장식 비용, 사진 촬영 비용 등이 많았으며 혼수나 예단, 주택, 예물에 대한 비용을 절약한 비율은 적었다.

1950-1980년대 제주 혼례복식의 유형분석 (Types of Wedding Ceremony Robes in Jeju Area from the 1950's to the 1980's)

  • 김현미
    • 복식
    • /
    • 제66권5호
    • /
    • pp.113-12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wedding ceremony robes in the Jeju area from the 1950's to the 1980's. The analysis used 413 wedding pictu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following are the propotion of robe types used wedding ceremonies. 1.0% of Danryeong & Jangot, 6.5% of Danryeong & Wonsam, 1.5% of Danryeong & Chima+Jegori, 2.7% of Durumaki & Chima+Jegori, 24.7% of suit & Chima+Jegori and 63.7% of suit & wedding dress from the 1950's to the 1980's. 2. The Korean-style robes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1950's, and disappeared in the 1970's. The Chima+Jegori was introduced in the 1950's, reached its peak in the 1960's and its popularity continued to the 1970's. In the 1980's, after the Korean-style robes disappeared, the western ceremony robes were used in all the ceremonies. 3. After the Western-style robes, in which a bride wears a wedding dress, was introduced in the 1960's, its usage rapidly increased in the 1970's and is still popular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