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water and methanol extract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6초

호두의 화장품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Walnut in Cosmetics)

  • 김미경;김진성;조분성;김정환;이인철;이명섭;조영제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58-864
    • /
    • 2011
  • 호두과육으로부터 용매별로 추출한 추출액중의 phenolic compound 함량은 열수,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추출물 순서로 24.3, 34.4, 32.5, 15.1 mg/g의 함량을 나타내어 에탄올 추출물의 phenolic compoun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인체에 무해한 추출 용매인 열수 및 에탄올 농도별 추출물의 phenolic compound 비교한 결과 60% 에탄올 추출물에서 34.7 mg/g과 열수 추출물에서 24.6 mg/g 함량의 phenolic compound를 나타내었다. 호두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중 전자공여능의 경우 열수추출물에서 78.1%, 60% 에탄올추출물에서 80.6%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측정에서는 열수추출물과 60% 에탄올추출물 각각 98.1%와 98.3%의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의 경우는 열수추출물과 60% 에탄올추출물에서 각각 $1.1{\pm}0.2$ PF와 $1.1{\pm}0.4$ PF로 높지는 않았으며, TBARs inhibitory activity 측정에서는 열수추출물과 60% 에탄올추출물에서 각각 60%와 75%로 비교적 높은 항산화력을 가졌음이 확인되었다. 호두추출물의 항염증효과를 살펴본 결과 100 ${\mu}g/ml$의 농도에서 50%의 NO발현이 억제되었고, western blot에 의한 iNOS 및 COX-2의 억제효과는 대조군에 비해 100 ${\mu}g/ml$의 농도에서 10% 정도의 낮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저해 활성의 경우 60% 에탄올추출물에서 43%의 저해율을 보였으며, 수렴효과의 경우 60% 에탄올추출물에서 55%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호두추출물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품소재로서 개발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 기업지원센터의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김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or Alcohol Soluble Extracts from Laver, Porphyra yezoensis)

  • 홍상필;구재근;조길석;김동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16
    • /
    • 1997
  • 김의 유용성분을 식품가공에 응용키 위한 기초적 연 구로 건조김과 배소김을 에탄을 농도를 달리 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의 수율, 단백질, 다당, 핵산, 타우린, 클로로필 및 카로티노이드의 함량, 갈색도 및 주요 추출처리구의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단백질, 다당질 및 핵산 성분은 에탄을 농도가 낮을수록 높은 추출성을 보였으나 단백질의 경우 건조김이, 다당 및 핵산의 경우에는 배소김이 상대적으로 3배 이상 높은 추출성을 보였다 타우린은 건조김이나 배소김에 관계없이 0~70%에탄을 범위에서 1,000mg%이상의 높은 추출성 을 보였다. 카로티노이드의 경우는 95% 에탄을 농도에서 건조김 146.6mg%, 배소김 138.4mg%로서 최대를 보였으나 이 수준은 메탄올/아세톤을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경우의 66~80% 수준이었다. 유리 당과 아미노산 의 반응을 반영하는 갈변도는 배소김을 대상으로 한 경 우 50~60% 에탄을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추출수율은 물만을 용매로 한 경우가 26.3~27.5%로 최대를 보였다. 한편 주요추출물의 관능특성을 조사한 결과, 배소김의 추출물이 맛과 향 등 관능적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어 배소김을 대상으로 한 물/에탄을 추출물이 각종 식품소재로서 응용가치가 클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자몽껍질 유래 플라바논의 최적 추출 및 기능성 소재 캡슐화 (Optimum Conditions for Extracting Flavanones from Grapefruit Peels and Encapsulation of Extracts)

  • 고민정;권혜림;정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65-469
    • /
    • 2014
  • 버려지는 자몽 껍질에 다량 함유되어있는 플라바논을 추출하여 기능성 성분을 재이용하였다. 친환경용매인 아임계수 추출기술을 이용하여 $170^{\circ}C$, 10 min의 최적 조건에서 추출함으로써 무독성 용매로 빠르고 경제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자몽껍질 추출물을 ${\beta}$-cyclodextrin을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플라바논과 같은 비극성 물질을 캡슐화하여 소재의 가용화를 용이하게 하였다. 이것은 항산화 기능이 향상된 대체 소재의 개발 및 건강지향식품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세계 기능성 식품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한 발판으로도 삼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시오가피 잎·뿌리·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Roots, Stems and Fruits Extract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 허수진;안희영;강민정;이재홍;차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1052-1059
    • /
    • 2011
  •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및 열매의 수용성,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 분석과 항산화 활성(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 및 linoleic acid 과산화지질,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 하였다. 가시오가피 잎의 열수 추출물에서 추출 수율 16.04%,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2.67%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1.43%로 가장 높았다.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및 열매의 주요 미네랄은 K, Ca 및 Mg 이었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 및 linoleic acid의 과산화 지질 측정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및 열매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시료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및 열매 모두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었으며, 이는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과 깊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향후 건강기능식품이나 기능성화장품의 천연 항산화제 소재 개발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Nematocidal Screening of Essential Oils and Herbal Extracts against Bursaphelenchus xylophilus

  • Elbadri, Gamal A.A.;Lee, Dong-Woon;Park, Jung-Chan;Yu, Hwang-Bin;Choo, Ho-Yul;Lee, Sang-Myeong;Lim, Tae-He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78-182
    • /
    • 2008
  • Five essential oils and 15 herbal extracts were evaluated to control Bursaphelenchus xylophillus in laboratory. The essential oils from clove plant (Syzygium aromaticum), mustard (Brassica integrefolia), thyme (Thymus vulgaris), and Pelargonium inquinans were found to be highly promising and gave excellent control of the nematodes at all the time of exposure. Among them, the least one gave 91.3% mean mortality rate at 24 hours of exposure time, which is highly significant from the control. While in the second study, most of the methanol (Desmodium caudatum, Paulownia coreana, Auckulandia lappa, Sophota flavescens, Aloe sp., Rheum palmatum, Zingiber officinale, Magnolia officinalis, and Eugenia caryophyllata), hexane (Torreya nucifera, Pharbitis nil, Prunus mume, Melia azedarach, and Xanthium strumarium), and hot water (Cinnamomum cassia) herbal extracts killed the nematodes, but in varying degrees compared to the control. Only one extract was found to be promising viz Magnolia officinalis which found to b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and gave mean mortality of 72, 82.3, and 85.3 % for 24, 48, and 72 hours exposure, respectively. Further screening was conducted for M. officinalis with concentrations of 1,000, 100, and 10 ppm against the same species of nematode with the same time of exposure. However, it gave an excellent result for 1,000 ppm for all time of exposure, whereas for the 100 and 10 ppm it gave mean mortality of 39.5 and 25.8% for the time 72hrs, respectively that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신갈나무로부터 유래된 추출물의 Botrytis cinerea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the Quercus Mongolica Extracts Against Botrytis cinerea)

  • 여희동;이형철;임부국;김희규;최명석;양재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88-101
    • /
    • 2008
  • 목질자원으로부터 Botrytis속 곰팡이병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추출물을 탐색하고자 본 연구는 시도되었다. 신갈나무를 고압 전처리하고 이로부터 열수, 메탄올, 에탄올을 이용하여 목질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Botrytis속 곰팡이 3종은 $20^{\circ}C$$25^{\circ}C$의 생장온도에서 최적 생장을 하였으며 pH 5.0과 7.0에서 가장 양호한 균사 생장을 나타냈다. 열수 추출물이 Botrytis속에 대하여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열수추출물로부터 항균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n-hexane : chloroform : ethyl acetate : formic acid (12 : 17 : 8 : 0.2, v/v/v/v)를 용제로 하는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와 TLC를 사용하였으며, 3종 추출물들은 HPLC 분석을 통하여 화합물을 확인하였으며 UV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물로부터 6개의 fraction group을 분리 하였다. 6개의 fraction group의 항균활성 test결과, fraction group I과 II는 Botrytis cinerea에 대하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Fraction group의 HPLC 분석결과, 3개의 유효물질을 확인하였으며 이 3가지 물질이 항균활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측된다.

상황버섯 추출물이 정상 마우스와 cyclophosphamide로 처리된 마우스의 체액성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on the Humoral Immune Respons in Normal and Cyclophosphamide-treated Mice)

  • 표명윤;현수미;양기숙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9권3호
    • /
    • pp.194-200
    • /
    • 2001
  • Phellinus linteus (PL)-hot water extract (PL-W) or- methanol extract (PL-M) was orally administered alone (single dose of 400, 800, 1600 mg/kg; 800 mg/kg/day for 5 days) or with cyclophosphamide (CY, 20 mg/kg, i.p.) to female ICR mice. Within PL alone-treated group, WBC and plaque forming cells (PFC) to SRBC were slightly and significantly enhanced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relative thymus and spleen weights, WBC and PFC number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CY, whereas those values were markedly increased by the concomitant treatment of CY and PL when compared with CY administration alone. To assess the effects of PL and/or CY on the mitogen response of splenocytes io LPS, mouse splenocytes were stimulated with or without LPS in the presence of various concentration of PL and/or CY in vitro and splenocytes proliferation (SP) was measured by MTT assay. PL alone increased both SP and LPS- stimulated SP. Moreover, SP and LPS-induced SP suppressed by the treatment of CY alone were significantly restored by PL-treatment. These activities were higher by PL-M than by PL-W,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L was able to increase humoral immunity and to inhibit immunotoxicity induced by CY.

  • PDF

솔잎 메탄올추출물의 마우스 경구투여에 의한 장관면역 활성 (Activation of Intestinal Immune System by an Orally Administered Methanol Extract from Pine Needles)

  • 윤진아;유광원;신선혁;조홍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56-362
    • /
    • 2010
  • 동결건조된 솔잎(Pinus densiflora needles)으로부터 냉수(PD-CW), 열수(PD-HW)와 메탄올추출물(PD-M)을 분획하여 in vitro에서 Peyer's patch를 경유한 장관면역 활성을 측정한 결과, PD-M 획분에서 유력한 골수세포 증식활성을 나타내었다. 메탄올 추출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MeOH 추출물을 균질화, 교반 또는 환류 등의 방법으로 조제하였을 때, 환류방법으로 조제된 MeOH 추출물에서 유의적(p<0.05)으로 가장 높은 장관면역 활성을 in vitro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솔잎으로부터 분획된 PD-M을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고 Peyer's patch를 분리하여 ex vivo에서의 장관면역 활성도 관찰하였다. 다양한 농도로 1주일 동안 PD-M을 경구투여 한 결과, 1.0 g/kg of BW/day의 용량으로 경구투여 한 C3H/He 마우스의 Peyer's patch로부터 얻은 세포배양 상등액에서 saline 대조군보다 2.5배의 높은 장관면역 활성을 보여주었다(p<0.05). 또한 다양한 농도로 경구투여 된 Peyer's patch 세포의 배양액을 이용하여 측정한 IL-6 생산능은 1.0 g/kg of BW/day의 용량에서 1.13배로 증가하였으나 GM-CSF는 처리 용량에 따라 유의적인 값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PD-M의 경구투여가 Peyer's patch 세포로부터 GM-CSF와 IL-6 등의 조혈세포 증식인자의 분비를 촉진함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러한 cytokine들이 골수세포 증식의 조절인자로서 작용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한다.

수세미오이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uffa cylindrica (L.) Roem)

  • 이규옥;유양희;황권택;이정민;이호준;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33-738
    • /
    • 2012
  • 본 연구는 수세미오이의 일반성분과 생리활성 평가를 위한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수세미오이는 수분 93.69%, 조섬유 1.64%, 조단백 0.52%, 조지방 0.27%, 조회분 0.06%을 함유하고 있었다. 주요 무기질로 K, P, Ca, Mg 등이 분석되었고, 주요 유기산은 아세트산과 호박산으로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으로 ${\beta}$-aminoisobutyric acid가 100.74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phosphoethanolamine, urea, asparagine, valine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구성 아미노산으로 glutamic acid가 1,039.99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aspartic acid, lysine, arginine 순으로 분석되었다. 수세미오이의 생리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물, 80% 에탄올, 메탄올을 이용하여 열수추출물(LCH), 냉수추출물(LCC), 80% 에탄올추출물(LCE), 메탄올추출물(LCM)을 수득하고 각 추출물간 라디칼 소거활성에 기인한 항산화활성을 비교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에서는 LCE가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ABTS 라디칼소거활성 및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활성에서도 80% 에탄올추출물이 각각 12.13%, 16.88%, 26.61%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세미오이 80% 에탄올추출물은 항산화활성을 갖는 기능성식품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수세미오이의 성분함량은 수세미오이를 이용한 식품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황토노각플러스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및 항미생물 효능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Hoangtonogak Plus Extracts)

  • 조준희;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83-19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황토노각플러스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를 통해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황토노각 플러스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DPPH/ABTS 라디컬 소거능 활성 및 FRAP 분석, 세포 생존율은 MTT assay, 항염증 효과는 nitric oxide(NO) 생성억제 및 iNOS 단백질 발현 수준, 항균 효과는 총 3종 균주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한천 확산법을 측정하였다. 메탄올추출물(MN)과 열수추출물(WN)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2.92±0.01 mgGAE/g, 1.67±0.02 mgGAE/g로 나타났다. MN 추출물의 DPPH, ABTS 및 FRAP 값은 모든 농도에서 WN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RAW264.7 세포에 대한 두 추출물의 세포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더욱이 1 mg/mL농도에서 MN과 WN 추출물의 NO 생성량은 11.69 μM과 20.4 μM로 측정되었으며, MN 추출물의 iNOS 단백질 발현 수준은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또한 MN 추출물은 S. epidermidis 균주에서만 항균효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황토노각플러스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 항균효능을 지닌 천연물질 후보로써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