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water and methanol extract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3초

오미자 추출물의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구취억제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oral Malodor Efficacy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against Oral Pathogens)

  • 허남숙;최혜정;황수미;최영환;이영근;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43-447
    • /
    • 2013
  • 본 연구는 오미자 추출물의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항구취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오미자 MeOH 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eOH 추출물의 EA 분획물은 Streptococcus mutans, S. sanguinis, S. salivaris subsp. thermophols 그리고 Porphyromons gingivalis에 대한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미자 2% MeOH 추출물의 항구취 효과를 oral chroma를 이용한 실제실험에서 측정한 결과,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그리고 황화디메틸을 각각 91.15, 78.72 그리고 71.58% 감소시키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오미자 추출물은 몇몇의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휘발성 화합물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오미자의 추출물은 항균용 합성약품과 구강위생용품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판단된다.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ufonis Venenum by Using TLC, HPLC, and LC-MS for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Lee, Hyo-Jae;Koung, Fan-Pei;Kwon, Ki-Rok;Kang, Dae-In;Cohen, Lorenzo;Yang, Pei-Ying;Yoo, Hwa-Seung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2-65
    • /
    • 2012
  • Objectives: Toad venom, called Chan-Su, is a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secreted from the auricular and the skin glands of the Bufo bufo gargarizanz Cantor or B. melanosticus Schneider and has been widely used in China, Korea and other parts of Asia for the treatment of pain, heart conditions, and cancer. We examined the concentrations of the main chemical constituents within a commercially available toad venom product and compared the levels for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Methods: Toad venom was extracted using either cold or hot water, ethanol (EtOH), methanol (MeOH), or ethyl acetate (EtOAc), was fractionated using precipitation or reflux, and was then analyzed using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TLC), and liquid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LC-MS). Individual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comparisons of the retention times, the ultraviolet spectra, and mass spectras and differences in chemical constituents for different solvents and extraction methods are presented. Results: Components with authentic standards, including serotonin and bufodienolides (cinobufagen, bufalin, cinobufalin, and resibufogenin), were detected. The water extract of toad venom contained the greatest amount of serotonin ($75.7{\pm}0.1$ mg/g), but very small amounts of bufodienolides ($3.8{\pm}0.0$ mg/g). In contrast, the use of MeOH or EtOH extraction solutions resulted in 5-26 times higher concentrations of bufodienolides, with only trace amounts of serotonin. The relative and the absolute concentrations of the component also varied based on the extraction method; i.e., EtOH extracts yielded the greatest total amounts of bufodienolides, and EtOAc precipitation had the lowest amounts of bufodienolides. Conclusions: Toad venom consists of serotonin and several bufodienolides, and the choice of solvent to extract chemical the constituents is important as a way to enrich the purported active components for treating different conditions.

4 kGy로 감마선 살균처리된 환자용 균형영양식의 유전독성 평가 (Genotoxicity evaluation of balanced nutritional food for patients pasteurized by gamma irradiation at 4 kGy)

  • 송범석;박종흠;김재경;박하영;김동호;홍성길;정상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0-106
    • /
    • 2017
  • 본 연구는 환자용 균형영양식으로 제조하여 감마선 조사처리를 통해 살균한 모델식품의 유전독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4 kGy 이상의 흡수선량으로 감마선 조사 처리한 시료에서 생균수가 1 log CFU/g의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기 때문에 살균을 위한 조사처리 선량으로 4 kGy를 설정하였다. 복귀돌연변이 유발성 평가 결과, 모델식품의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처리한 용량과 대사활성계 존재 여부와는 상관없이 음성대조구(멸균증류수 또는 DMSO)와 유사한 수준의 복귀돌연변이 발생빈도를 나타내었다. 염색체 이상 시험에서 실험군들의 정상 염색체의 수는 음성대조군과 유사하였으며, 용량 및 대사활성계에 대한 비의존성을 나타내어 염색체 이상 유발능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최고 2,000 mg/kg 체중의 농도로 모델식품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골수세포에서도 소핵 다염성적 혈구의 발생빈도는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4 kGy의 흡수선량으로 감마선 조사처리한 환자용 균형영양식은 본 실험 조건하에서 유전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Anticancer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Pleurotus nebrodensis on Mouse Sarcoma 180

  • Cha, Youn Jeong;Alam, Nuhu;Lee, Jae Seong;Lee, Kyung Rim;Shim, Mi Ja;Lee, Min Woong;Kim, Hye Young;Shin, Pyung Gyun;Cheong, Jong Chun;Yoo, Young Bok;Lee, Tae Soo
    • Mycobiology
    • /
    • 제40권4호
    • /
    • pp.236-243
    • /
    • 2012
  • Pleurotus nebrodensis is an edible and commercially available mushroom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anticancer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in methanol, neutral saline, and hot water (hereafter referred to as Fr. MeOH, Fr. NaCl, and Fr. HW, respectively) from the fruiting bodies of P. nebrodensis. ${\beta}$-Glucan and protein contents in Fr. MeOH, Fr. NaCl, and Fr. HW extracts of P. nebrodensis ranged from 23.79~36.63 g/100 g and 4.45~6.12 g/100 g, respectively. Crude polysaccharides were not cytotoxic against sarcoma 180, HT-29, NIH3T3, and RAW 264.7 cell lines at a range of $10{\sim}2,000{\mu}g/mL$. Intraperitoneal injection with crude polysaccharides resulted in a life prolongation effect of 11.76~27.06% in mice previously inoculated with sarcoma 180. Treatment with Fr. NaCl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numbers of spleen cells by 1.49 fold at the concentration of $50{\mu}g/mL$, compared with control. Fr. HW improved the immuno-potentiating activity of B lymphocytes through an increase i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by 1.65 fold, compared with control at $200{\mu}g/mL$. Maximum production of nitric oxide ($14.3{\mu}M$) was recorded in the Fr. NaCl fraction at $200{\mu}g/mL$.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1{\beta}$ (IL-$1{\beta}$), and interleukin-6 (IL-6)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control, and IL-6 production was highest, in contrast to TNF-${\alpha}$, IL-$1{\beta}$, and positive control, concanavalin at the tested concentration of the various fractions.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 nebrodensis have a strong anticancer effect and may be useful as an ingredient of biopharmaceutical products for treatment of cancer.

Immunomodulating and Antitumor Activities of Panellus serotinus Polysaccharides

  • Kim, Jeong-Hwa;Lee, Jae-Seong;Lee, Kyung-Rim;Shim, Mi-Ja;Lee, Min-Woong;Shin, Pyung-Gyun;Cheong, Jong-Chun;Yoo, Young-Bok;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40권3호
    • /
    • pp.181-188
    • /
    • 2012
  • This study was initia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in methanol, neutral saline, and hot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 MeOH, Fr. NaCl, and Fr. HW, respectively) from the fruiting bodies of Panellus serotinus. Content of ${\beta}$-glucan and protein in Fr. MeOH, Fr. NaCl, and Fr. HW extracts of P. serotinus ranged from 22.92~28.52 g/100 g and 3.24~3.68 g/100 g, respectively. In vitro cytotoxicity tests, none of the various fractions of crude polysaccharides were cytotoxic against sarcoma 180, HT-29, NIH3T3, and RAW 264.7 cell lines at the tested concentra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with crude polysaccharides resulted in a life prolongation effect of 23.53~44.71% in mice previously inoculated with sarcoma 180. Treatment with Fr. HW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numbers of spleen cells by 1.3 fold at the concentration of $50{\mu}g/mL$ compared with control. Treatment with Fr. NaCl resulted in improvement of the immuno-potentiating activity of B lymphocytes by increasing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by 1.4 fold, compared with control, at the concentration of $200{\mu}g/mL$. Among the three fractions, maximum nitric oxide ($13.48{\mu}M$) was recorded at $500{\mu}g/mL$ in Fr. HW.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terleukin-$1{\beta}$, and interleukin-6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concanavalin A, at the tested concentration. Therefore, treatment with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the fruiting body of P. serotinus could result in improvement of antitumor activity.

마른진흙버섯 자실체의 Xanthine Oxidase, Cholinesterase 및 염증 저해 효과 (Anti-Xanthine Oxidase, Anti-Cholinesteras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ruiting Bodies of Phellinus gilvus)

  • 윤기남;장형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25-23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마른진흙버섯 자실체를 메탄올과 열수를 이용해 추출한 물질의 anti-xanthine oxidase, anti-cholinesterase 및 염증 저해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마른진흙버섯 자실체의 메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에 대한 저해효과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llopurinol과 대등하게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Acetylcholinesterase에 대한 메탄올 추출물의 1.0~2.0 mg/mL 농도에서의 저해활성은 양성대조군인 galanthamine과 유사하게 높았지만 butyrylcholinesterase에 대한 메탄올과 열수 추출물의 저해활성은 양성대조군에 비해 실험에 사용한 모든 농도범위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PC-12 세포에 glutamate의 처리에 의해 유도된 독성은 40 mg/mL와 100 mg/mL 농도의 메탄올 추출물과 100 mg/mL 농도의 열수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크게 완화되어 PC-12 세포의 생존율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마른진흙버섯의 메탄올과 열수 추출물의 염증 저해 실험에서 RAW 264.7 대식세포에 메탄올 추출물을 2.0 mg/mL 농도로 처리하고 염증을 매개하는 LPS를 추가로 투여한 후 RAW 264.7 세포에 생성되는 NO를 측정한 결과, 양성대조군에 비해 3.37배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냈고, 처리한 자실체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성된 NO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염제인 carrageenan에 의해 흰쥐 뒷발에 유도된 부종 저해 실험에서는 투여한 버섯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흰쥐의 뒷발에 유도된 부종의 용적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마른진흙버섯 자실체에 함유된 물질은 acetylcholinesterase과 butyrylcholinesterase 등의 cholinesterase에 대한 저해작용과 glutamate에 의해 유도된 PC-12세포의 독성을 완화하고 또한 염증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 기억력이 감퇴되는 초기 알츠하이머병과 염증을 완화하는 천연소염제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배추흰나비의 실내 계대사육법 확립 (Establishment of the Successive Rearing Method of Cabbage Butterfly, Pieris rapae L. in a Room Condition)

  • 설광열;김남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31-136
    • /
    • 2001
  • 배추흰나비의 연중 실내 계대사육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25^{\circ}C$에서 사육시험한 결과 기주식물육에 의해 산란된 알의 부화율은 89.2%이었으며 산란후 부화까지의 평균 소요일수는 3.9일이었다. 고온장일조건($25^{\circ}C$, 16L:8D)에서 사육시 유충기간이 18.1일이었고 용화율 및 우화율 97.8%를 보였다. 그러나 저온단일조건($21^{\circ}C$, 10L : 14D)에서는 유충기간이 23.6일로 길어졌으며 용화율은 70%로 낮았는데 모두 휴면용이 되었다. 배추흰나비의 기주(배추,양배추,순무,케일)의 즙, 메탄올추출물 및 열탕추출물에 대한 산란선호성을 조사한 결과 열탕추출물이 즙 또는 메탄을 추출물보다 산란선호성이 높았다. 또한 배추보다는 양배추, 케일, 순무에 대해 산란성이 좋았다. 산란지색에 대한 산란성 및 인공산란용 키트의 재질에 대한 산란성을 시험한 결과에 따라 실내 산란용 키트를 고안, 제작하였다. 배추흰나비의 산란후 24, 48시간째 채란하여 냉장가능 기간을 조사해 본 결과 산란후 48시간째 $5^{\circ}C$에 냉장한 것이 7일 후에도 부화율이 70%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한편 비휴면 번데기의 냉장가능기간을 조사해 본 결과 $5^{\circ}C$와 15$^{\circ}C$에서 30일까지 냉장하여도 우화율 85%이상으로 냉장이 가능하였으며,$ 5^{\circ}C$에서 냉장한 것이 냉장가능기간이 더 길었고 우화율도 높았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근거로 배추흰나비의 실내 연중 계대사육 체계도를 완성하였다.

  • PDF

알코올성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발효울금의 간세포 보호 효과 (In Vitro Hepatoprotective Effects of Fermented Curcuma longa L. by Aspergillus oryzae against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 성혜미;이유현;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12-818
    • /
    • 2016
  • 본 연구는 발효울금 추출물에서 알코올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간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발효울금을 열수 추출, 냉수 추출, 80% 에탄올 추출 및 메탄올 추출하여 HepG2/2E1 세포에서 알코올과 추출물을 함께 처리 후 세포생존율을 평가하고 세포생존율이 가장 높은 냉수 추출물에서 reactive oxygen species(ROS) 함량, 항산화 지표와 malondialdehyde(MDA) 함량을 측정하였다. 알코올에 대한 간 보호 효과에서는 알코올만 처리한 군의 세포생존율이 72.8%로 감소하였으나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을 함께 처리 시에 세포생존율이 86.1%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며 간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에서 세포 내 ROS 생성 억제능은 에탄올만 처리한 군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ROS 생성이 증가하였으나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 $100{\mu}g/mL$, $250{\mu}g/mL$, $500{\mu}g/mL$ 농도 처리군 모두 알코올만 처리한 군과 비교 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ROS level을 감소시켰다. 항산화 지표에서 효소적 항산화인 catalase, glutathione-S-transferase,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및 glutathione reductase는 알코올만 처리한 군에서 무처리군보다 감소하였으나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 $500{\mu}g/mL$ 농도 처리군에서는 알코올만 처리한 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항산화 효소의 감소를 억제하였다. GSH 함량은 에탄올만 처리한 군에서 무처리군보다 유의적으로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 $250{\mu}g/mL$, $500{\mu}g/mL$ 농도 처리군 모두 에탄올만 처리한 군에 비해 GSH 함량의 감소를 억제하였다. MDA 함량은 알코올만 처리한 군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 고농도 처리군($500{\mu}g/mL$)에서는 알코올만 처리한 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MDA 함량을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발효울금 추출물 중 냉수 추출물에서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발효울금을 냉수 추출하는 것은 발효울금의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효과를 증대시키고 ROS 생성을 억제, 항산화 효소와 GSH 함량의 감소 억제 및 MDA 함량의 증가 억제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발효울금을 냉수로 처리하여 추출하는 것이 간 보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얻은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은 알코올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간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