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ney plant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6초

꿀벌 해충 등검은말벌 방제를 위한 화학 살충제 이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The Susceptibility of Several Insecticides to Honey Bee Pest, Vespa velutina nigrithorax (Hymenoptera: Vespidae))

  • 홍동의;정철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13-23
    • /
    • 2024
  • 등검은말벌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유럽지역에 침입한 꿀벌의 중요한 포식해충이다. 양봉가들이 살충제를 활용하여 밀도 억제를 시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실현가능하고 과학적 방법과 적용 가능성이 정형화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양봉가들이 주로 사용하는 살충제를 가지고, 등검은 말벌의 유충과 성충의 살충율과 반응 패턴을 조사하였다. Clothianidin, Dinotefuran, Carbosulfan은 처리 후 30분 내 70% 이상의 살충률을 보였으며, Bifenthrin, Cartap hydrochloride의 상대적으로 살충률이 낮았다. Clothianidin, Dinotefuran, Carbosulfan의 반수치사약량(LD50)은 각 0.29, 0.65, 2.21 ㎍/bee이었다. 5령 유충에 대한 24시간 간격으로 3회 연속 섭식 처리를 했을 때, 2일이후에 약효가 나타났고 72시간 후에는 모두 70% 이상 살충률을 보였다. 등검은말벌의 반수치사약량은 양봉꿀벌의 것보다 10-100배 더 높았다. 향후 이 살충제를 말벌 방제에 이용할 수 있을지 추가적 검토가 필요하다.

UPLC-MS/MS를 이용한 벌꿀제품의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잔류실태 및 분석법 선진화 (Characterization and screening of pyrrolizidine alkaloids by UPLC-MS/MS: Application to honey)

  • 류회진;김욱희;이은순;김미선;김정곤;윤은선;김현정;김무상
    • 분석과학
    • /
    • 제32권6호
    • /
    • pp.252-261
    • /
    • 2019
  •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Pyrrolizidine alkaloids, PAs)는 식물이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이다. 현재까지 약 6,000 여종 이상의 식물에서 660 여개의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가 확인되었으며 주로 국화과, 지치과, 콩과 식물에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UPLC-MS/MS를 이용하여 벌꿀 속 자연독소의 일종인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7 종에 대한 분석방법을 확립하고 유통중인 벌꿀제품 84건에 대하여 PAs 함유량을 모니터링하였다. 정량은 전자분무이온화 과정에서 벌꿀에 대한 matrix effect를 줄이기 위해 matrix-matched 검량선을 사용하였다. 직선성은 R2 ≥ 0.998, PAs 7 종에 대한 회수율은 81-108 % 수준이었다. 7종 동시분석법으로 국내 유통중인 벌꿀 84건을 검사한 결과, 7.1 % (6/84건)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검출량은 평균적으로 47.19 ㎍/kg이었다. 또한 검출된 PA 성분은 주로 Lycopsamine과 Echimidine으로 확인되었으며 1.76-202.1 ㎍/kg의 검출범위를 나타내었다.

중형 백색계 다화성 심비디움 'Honey Girl' 육성 (Cymbidium 'Honey Girl' with White Color and Medium Plant Size)

  • 김미선;조해룡;이혜경;임진희;최성렬;김영진
    • 화훼연구
    • /
    • 제16권4호
    • /
    • pp.291-294
    • /
    • 2008
  • 'Honey Girl' 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1995년도에 적색 설판이 있는 백색계열의 소형 심비디움 'Yakoto'을 모본으로 하고 착화성이 우수한 백색계 중대형종 'Marian Simplicity"를 부본으로 하여 교배를 실시하였다.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실생계통 57개체를 양성하면서 엽형, 화색, 화형이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여 2000~2004년에 1, 2차 특성검정과 품평회 결과 생육 및 개화특성이 우수한 원교 'F1-13' 계통을 최종 선발하였다. 이 품종은 생육이 강건하고 화색이 선명하고 화형이 둥글고 꽃 폭이 약 7.7cm 정도로 크며 화경의 늘어짐이 적고 초세가 강하고 개화시기는 11월 하순에서 1월경이었다.

국내 시판 벌꿀의 품질 평가 및 품질인자간 상관관계 분석 (Evaluation of Commercial Korean Honey Quality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Quality Parameters)

  • 성화정;정철의;권지영;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89-1500
    • /
    • 2018
  • 벌꿀은 꽃의 화밀을 꿀벌이 수집하여 벌집에 저장한 것으로, 밀원에 따라 색, 맛, 향기 등에 많은 차이가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 다양한 밀원에서 생산된 국내 120종 벌꿀(밤꿀, 대추꿀, 때죽꿀, 잡화꿀, 밀감꿀, 유채꿀, 사양벌꿀)의 유용성분 분석, 항산화 활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을 평가하고, 분석인자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벌꿀의 성분 및 생리활성은 밀원에 의해 차별화되었으며, 채취농가 및 채취지역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벌꿀의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결과, 밤꿀이 가장 높은 $77.1{\pm}8.4mg/100g$을 나타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대추꿀($8.73{\pm}7.31mg/100g$)과 밤꿀($8.39{\pm}3.02mg/100g$)에서, 단백질 함량은 밤꿀에서 가장 높은 $25.9{\pm}0.9mg/100g$을 나타내었으며, 아카시아, 유채 및 사양꿀에서는 12~15 mg/100 g의 낮은 함량을 보였다. 400 nm에서의 흡광도는, 밤꿀에서 가장 높은 $0.156{\pm}0.036$를 나타내었고, 대추꿀 > 잡화꿀 > 때죽꿀 > 유채꿀 > 감굴꿀 > 사양벌꿀 및 아카시아꿀로 나타났다. 모든 벌꿀 시료는 1 mg/ml 농도까지 적혈구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항산화 활성평가 결과, DPPH 및 ABTS 소거능의 경우 밤꿀 > 대추꿀 > 때죽꿀 > 잡화꿀 > 밀감꿀 > 유채꿀, 사양벌꿀 및 아카시아꿀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nitrite 소거능의 경우 밤꿀, 대추꿀, 잡화꿀 > 유채꿀, 밀감꿀, 사양벌꿀 및 아카시아꿀의 순으로 우수하였다. 분석인자간의 상관성을 계산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과 ABTS 양이온 소거능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0.879)를 나타났으며, 특이하게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음이온 소거능은 0.441로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또한 400 nm 흡광도는 총 폴리페놀 함량, ABTS 소거능 및 환원력과 각각 0.804, 0.772 및 0.741의 높은 상관계수를 보여, 향후 400 nm 측정으로 벌꿀 간편 품질검사가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기능성 벌꿀 개발 및 벌꿀 유용성분을 이용한 식의약품 소재개발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이며, 현재 선정벌꿀로부터 활성물질 분리 및 약용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사양벌꿀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Free Sugar and Organic Acid in the Fruit of Hawthorn (Crataegus pinnatifida Bunge) Selected Clones as Honey Plant in Korea

  • Park, Youngki;Kim, Jae-Hee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97-301
    • /
    • 2018
  • Hawthorn is widely distributed in Korea and has been used as herbal medicine for treating various cardiovascular disease, arteriosclerosis and hypertension in Korea. In order to select superior honey tree plant from Korea, the free sugar and organic acid in hawthorn fruits, including five Korean clones and four Chinese cultivars, were evaluated. We also compared these hawthorn fruits of five clones (selected from different area of Korea) with Chinese hawthorn cultivars. Glucose, galactose, fructose and sucrose were the major sugar components of hawthorn.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content. The highest sucrose content of hawthorn fruit was 188.12g/100g in Daegeumseong cultivar. The sweetness index, which plays important role of taste, was also calculated from the content of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The contribution of each carbohydrat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fact that fructose is 2.30 and sucrose 1.35 times sweeter than glucose. The highest sweetness of hawthorn fruit was 579.52 in Pocheon clone. Main organic acid detected in hawthorn fruit were citric acid, malic acid and shikimic acid. The highest citric acid and malic acid content in hawthorn fruit were 157.50g/100g (Pocheon 3) and 34.12g/100g (Daegeumseong),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using food and functional food products, due to the beneficial effects of free sugar and organic acid for human health such as antioxidants and anticarcinogenic properties.

크림색 대륜 절화용 다수성 거베라 신품종 '하니크림' 육성 (A New Pale Yellow Large Gerbera hybrida Cultivar, 'Honey Cream' with High Yield for Cut Flower)

  • 정용모;황주천;진영돈;김수경;이영병;권오창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40-343
    • /
    • 2008
  • 국내 재배환경에 적합한 다수성인 거베라의 우수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1998년부터 교배조합 육성을 위하여 국내의 재배농가와 종묘업체로부터 품종을 수집한 후, 1999년 3월에 황색 중륜계의 'Princessa'를 모본, 복색 대륜계의 'Picasso'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교배조합으로부터 125개의 종자를 획득하였다. 교배후 결실이 된 조합은 채종 즉시 파종 하였으며, 파종 1개월후 발아된 103개의 유묘는 본엽이 4~5매 전개되었을 때 화훼연구소 유리온실 내의 선발 포장에 정식하였다. 그 후 교잡 1세대의 특성검정 결과, 화색이 선명하고 수량이 많은 우수 3개체 (99038-038, 081, 096)를 1차로 선발하였다. 그 후 특성이 우수한 99038- 081(경남 G-26)개체를 생장점배양에 의해 개체증식 후 화훼연구소 유리온실내의 특성검정 포장에 정식하여 2003년 9월부터 2006년 8월까지 3회에 걸쳐 생육 및 수량특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특성검정을 실시한 결과 화색, 화형, 수확량 등 품질과 수량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2007년 국립종자원에 'Honey Cream'으로 명명 품종등록하였다. 'Honey Cream'은 크림색을 띤 옅은 황색의 반겹꽃 절화용으로 수량이 많고 화형이 안정된 대륜화로서 화색과 화심색이 잘 조화된 기호도가 높은 품종이다. 본당 수량은 연간 3회 검정 결과 평균 48.5개이며, 평균 절화수명은 12.3일이다.

산악 지역에서의 피나무(Tilia amurensis Rupr.) 개화시기와 성장온일도를 이용한 개화 진행 예측 (Blooming Time of Tilia amurensis Rupr. in Mountainous Area and Prediction of its Blooming Progress Using Growing Degree Day Model)

  • 김민중;손민웅;이주혁;정철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2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중요 밀원식물인 피나무가 주로 자생하는 산악 지역에서 개화시기를 예측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가리왕산 일대 해발 638m 지점 기준목에서 개화 진행을 모니터링 하고, 고도별 개화율을 관찰하였다. 또한 문헌자료, 웹자료, 개화 판별이 가능한 표본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이 자료들을 이용하여 고도와 위도에 따른 개화기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누적 GDD를 이용하여 누적 개화율 모델을 개발하였다. GDD 계산은 5 ℃의 기준온도와 일별 최고, 최저 온도를 이용하였다. 일일 온일도를 1월 1일부터 누적할 경우 피나무 개화기는 860~1198 DD로 추정되었다. 이 결과는 산림양봉이 이루어지는 산악지역에서 개화기 예측과 채밀 가능기간을 추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유통 벌꿀의 안정동위원소 비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ble Isotope Ratio of Circulated Honey in Korea)

  • 조윤제;김재영;장문익;강경모;박용춘;강일현;도정아;권기성;오재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01-410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 및 국외에서 생산된 다양한 벌꿀에 대한 탄소, 수소 및 산소의 안정동위원소 비율을 분석하고, 국내 유통 벌꿀의 순수 여부 등 과학적 벌꿀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분석은 국내에서 생산 유통 중인 국내산 및 수입산 모든 벌꿀을 대상으로 하여 동위원소 비율 양상을 조사하였다. 탄소 동위원소 비율은 $C_3$ 식물군이 -27- -21‰, $C_4$ 식물군이 -19‰ 이상인 것으로 크게 양분되는 현상을 보였다. 수입산의 경우 탄소 동위원소 비율은 모두 -27- -23‰의 범위를 나타내어 수거된 제품은 모두 $C_3$ 식물군의 밀원에서 생산되어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소 및 산소 동위원소 비율은 국내산의 경우, 각각의 밀원에 따라 결과 값의 범위가 넓어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원산지에 따른 지역별 양상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입산은 위도 차이가 넓은 지역에서는 차이가 보이나 위도 위치가 좁은 지역에서는 구분이 어려웠다. F/G 비율과 탄소 동위원소 비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국내산은 밀감꽃을 제외한 $C_3$ 그룹이 1.3 이상으로 나타났고 $C_4$ 그룹은 1.3 이하를 나타내었다. 수입산은 다양한 밀원(초본류 및 목본류)을 가지는 경우, $C_3$ 그룹의 경우에도 1.3 이하의 경향을 나타내어 구분에 어려움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국내 유통 벌꿀의 순수 여부 판단에 탄소 동위원소 비율이 활용 가능하며,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보완적으로 F/G 비율 결과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논토양 재배시 품종별 생육특성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i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Feed Components of Sorghum × Sudangrass hybrids at Paddy Field Cultivation)

  • 전병태;문상호;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9-38
    • /
    • 2012
  • 본 시험은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논토양 재배 시 품종별 생육특성 및 사료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공시재료는 추천 품종 9품종을 공시하였다. 초장, 엽수, 경의 굵기 및 경경도에 있어서는 Jumbo가 다른 품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P<0.01). 당도는 P877F > Sweet home > Maxi graze > Green star > Cow pow > G7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생초수량과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생육특성이 좋았던 Jumbo 품종이 각각 86,199 kg/ha 및 16,206 kg/ha으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가장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P<0.01). 조단백질 함량은 Maxi graze가 6.5%로 가장 높게, 조지방 함량은 Honey chew BMR이 2.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그리고 Jumbo와 G7 품종은 NDF 및 ADF 함량이 높은 품종으로 나타났다(P<0.01). TDN 함량은 품종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무기물 함량은 Cow pow > Turbo gold > Jumbo > Honey chew BMR > G7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총구성 아미노산 함량은 Maxi graze > Sweet home > Turbo gold > Honey chew BMR > Jumbo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단백질 생산량 및 지방 생산량은 각각 Turbo gold (814.6 kg/ha) 및 Honey chew BMR (309.8 kg/ha)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1), 광물질 생산량은 Cow pow 품종이 207.6 kg/ha로서 높게 나타났다(P<0.01). 구성 아미노산 생산량과 TDN 생산량은 Sweet home 품종이 각각 592.2 kg/ha 및 10,194 kg/ha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이상 결과를 종합해 보면 수수${\times}$ 수단그라스 교잡종을 논토양에서 재배 시 생육특성 및 각종 영양수량이 다양하게 나타남으로서 품종 선택은 이용 목적에 따라 선택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