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ney plant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3초

국내 미기록종, 아까시나무가는나방, Chrysaster ostensackenella (나비목: 가는나방과) (Chrysaster ostensackenella (Fitch, 1859) (Lepidoptera: Gracillariidae) New to Korea)

  • 구준모;김슬기;조수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25-228
    • /
    • 2019
  • Chrysaster Kumata, 1961는 Gracillariidae (나비목: 가는나방상과)의 Lithocolletinae에 속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Chrysaster hagicola Kumata, 1961 한 종만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속의 국내 미기록종인 Chrtsaster ostensackenella (Fitch, 1859)를 처음으로 소개한다. 본 종의 유충과 성충은 Robinia pseudoacacia L. (콩목: 콩과)에서 채집되었다. 종 동정을 위한 특징과 간략한 기재를 제시하고, 성충과 수컷 및 암컷 생식기의 사진을 제공하였다. 최근 중국에서 양봉업에 매우 중요한 아까시나무의 심각한 해충으로 보고된 바 있어 본 종에 대해 조속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시화 간척지에서 하계 사료작물의 초종 및 품종에 따른 생육특성 및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Summer Forage Crops in Sihwa Reclaimed Land)

  • 김종근;정은찬;김맹중;;김학진;이수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0-118
    • /
    • 2021
  • 본 연구는 시화간척지에서 하계 사료작물의 초종 및 품종이 생육특성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에 공시된 하계사료작물은 옥수수,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및 기장이었다. 시험에 공시된 각각의 품종은 옥수수는 광평옥, P15453, P1952 및 P2088을 이용하였고,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은 877F, Green star, Honey chew 및 Turbo gold 품종을 이용하였다. 기장은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이백찰, 금실찰 및 만홍찰 품종을 이용하였다. 사료작물의 파종은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은 2019년 5월 21일 그리고 기장은 6월 4일에 하였으며 수확은 9월 2일에 하였다. 옥수수의 초장 및 착수고는 품종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수량은 P1543 품종이 가장 많았고 P2088 품종이 가장 적었으나 처리간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은 877F의 초장이 가장 컸으며 Turbo gold 품종이 가장 작았다(p<0.05). 건물수량은 877F가 3,862 kg/ha로 가장 많았고 Green star가 2,669 kg/ha로 가장 낮았다(p<0.05). 기장의 초장은 이백찰이 138cm로 가장 컸으며 나머지 품종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기장의 생초수량은 평균 15,778 kg/ha로 옥수수나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보다 많았으며, 건물수량은 평균 4,780 kg/ha이었으며 이백찰 품종이 다른 품종들에 비해 가장 많았다(p<0.05). 옥수수의 사료가치에서 TDN 함량은 P2088품종이 가장 높았고 광평옥이 가장 낮았다(p<0.05).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은 Green star 및 Honey chew 품종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RFV 값은 Turbo gold가 가장 낮았다. 기장은 평균 조단백질 함량은 7.03%이었고 TDN 및 RFV 값은 금실찰이 64.36% 및 106으로 가장 높았다. 염농도에 따른 하계 사료작물의 발아율 조사에서 옥수수는 0.4%까지는 83.1%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P2088 및 P1921 품종은 0.6% 농도에서도 발아율이 80% 이상이었다.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은 877F 품종의 발아율이 0.8% 농도에서도 93.3% 이었으며 Honey chew는 88.3%로 나타나 다른 품종에 비해 염 농도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장은 0.6%의 염 농도에서도 84.0-88.7%의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염농도가 높은 시화 간척지에서 가장 적합한 초종은 기장이 추천되었으며, 이백찰은 수량이 높아 적합한 품종으로 권장되었다.

꿀샘식물 아까시나무의 지위지수 도출 및 직경분포 변화 (Development of Diameter Distribution Change and Site Index in a Stand of Robinia pseudoacacia, a Major Honey Plant)

  • 김소라;송정은;박천희;민수희;홍성희;윤준혁;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2호
    • /
    • pp.311-318
    • /
    • 2022
  • 본 연구는 꿀샘식물인 아까시나무의 적지적수 조림을 위해 판정기준인 지위지수를 도출하고, 도출된 지위지수별 경급별 분포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아까시나무 임분의 지위지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적용한 모델은 Chapman-Richards식이었다. 도출된 식에 따르면, 우리나라 아까시나무의 지위지수는 기준임령이 30년 일 때 16~22 범위 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위지수 추정 모델의 적합성은 약 37%정도로 낮았으나, 식의 잔차분포가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아(bias -0.0030) 활용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아까시나무 생장에 따른 지위별 직경분포를 구명하기 위해서는 Weibull 직경분포함수를 이용하였다. 직경의 분포를 나타내는 인자로 평균직경과 우세목 수고를 설명변수로 하였으며, 이들은 Weibull 직경분포함수의 모수를 추정하고 복구하는 단계를 거쳤다. 최종적으로는 아까시나무 임분의 평균직경과 우세목 수고로서 직경급별 분포를 나타낼 수 있었으며, 분포 추정에 대한 설명력은 약 80.5%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위지수별 직경분포를 30년생 기준으로 도식화한 결과, 지위지수가 높을수록 직경분포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적지적수를 고려하여 지위지수가 높은 곳에 조림한다면 아까시나무의 생장이 왕성해져 용재생산 뿐만아니라 꿀 생산도 많아질 것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아까시나무 지위지수분류표와 곡선이 꿀샘식물인 아까시나무를 조성 및 관리함에 있어 의사결정의 기준이 되기를 기대한다.

다식의 유래와 조리과학적 특성에 대한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he Origin and the Culinary Characteristics of Dasik)

  • 이귀주;정현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95-403
    • /
    • 1999
  • The origin as well as the culinary aspects such as ingredients, types, preparation methods of Dasik and materials and ornamental patterns of Dasik mould(다식판) are discussed and analyz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1. The origin of Dasik came from the custom of Umdha(飮茶) together with the Worship of Buddhism(숭불정책) and the abundant production of rice due to the Policy for Agricultural Development(권농정책) of the Koryo Dynasty. 2. The main ingredient of Dasik was rice flour and wheat flour and thereafter, plant materials such as Song-wha(송화), Mungbean starch flour(녹두녹말가루) and Hwang-yul(황율) were followed. Honey, sugar and syrup were used as coagulating agents. Dasik was often colored by the addition of Omija(오미자), a plant material containing red pigment. 3. Originally. Dasik mould was not used until Jeungbo-Sanlim-Kyungje. Major types of Dasik were reviewed from the literature survey. 4. The materials of Dasik mould were wood or porcelain. Their shapes and ornamental patterns were reviewed. Circular design was predominant in the wood and lettered designs were predominant in porcelain. 5. Utilization of Dasik recorded in Koryo-History(고려사) and Chosun-Wangjo Shilloc(조선왕조실록) were reviewed.

  • PD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is of indigenous Myanmar mango (Mangifera indica L.) landraces around Kyaukse district

  • Kyaing, May Sandar;Soe, April Nwet Yee;Myint, Moe Moe;Htway, Honey Thet Paing;Yi, Khin Pyone;Phyo, Seinn Sandar May;Hlaing, Nwe Nwe So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61-70
    • /
    • 2019
  • There is vast genetic diversity of Myanmar Mangoes.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indigenous thirteen different mango landraces cultivated in central area of Myanmar, Kyauk-se District and their fruit characteristics by 18 descriptors together with genetic relationship among them by 12 SSR markers. Based on the morpho-physical characters, a wide variation among accessions was foun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thirteen mango genotypes resulted in the detection of 302 scorable polymorphic bands with an average of 4.33 alleles per locus and an average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of 0.7. All the genotypes were grouped into two major clusters by UPGMA cluster analysis and a genetic similarity was observed in a range of 61 ~ 85%. This study may somehow contribute insights into the identification of regional mango diversity in Myanmar and would be useful for future mango breeding program.

고체발효 숙지황의 지표성분 함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Marker Substance in Fermented Rehmanniae Radix Preparata)

  • 박화용;엄영란;마진열
    • 생약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8-61
    • /
    • 2010
  • Medicinal plant Rehmanniae Radix has long been used as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quantitative changes of marker substance 5-hydroxymethyl-2-furaldehyde (5-HMF) in Rehmanniae Radix Preparata fermented with Ganoderma lucidum, Paecilomyces japonica, honey, and Nuruk, using HPLC according to the Korean Pharmacopoeia. As a result, 5-HMF was decreased in SDT and SYT, and increased in SST and SNT, comparing with control group. Quantitative increasing of 5-HMF is not exactly in direct proportion with fermentation, and it is need further studies to elucidate mechanism of quantitative changes by converted and newly produced substances with fermentati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Changes in 'Autumn Sense' Hardy Kiwi (Actinidia arguta) as Honey Plant during Fruit Ripening

  • Park, Youngki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27-332
    • /
    • 2017
  •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of Actinidia arguta fruit of Autumn Sense cultivar during fruit ripening.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find the knowledge of the changes of physiochemicals associated with fruit quality, antioxidant properties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during fruit ripening. The highest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100{\mu}g/ml$) and reducing power (at $100{\mu}g/ml$) in A. arguta fruit were 78.57% and 0.22, respectively. Total phenolic content and vitamin C content in fruit of 10 days after fruit set were $639.48{\mu}g/g$ and $1052.2{\mu}g/g$, respectively. In general,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related parameters, including total phenolic content and vitamin C content decreased during fruit ripening. These results improve knowledge of the effect of ripening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related compounds contents that could help to establish the optimum A. arguta fruit harvest data for various usages.

꿀벌과 무당벌레에 미치는 몇가지 친환경유기농자재에 대한 독성평가 (Evaluation of Toxicity of Several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on Honeybee (Apis mellifera) and Asian Multicolored Ladybird Beetle (Harmonia axyridis))

  • 황인천;조태경;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27-232
    • /
    • 2010
  •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친환경유기농자재 7종에 대하여 꿀벌(Apis mellifera)과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에 대한 독성영향평가를 실시하였다. 친환경유기농자재로는 식물 추출물을 활용한 자재 3종(왕중왕에코$^{(R)}$, 보검에코$^{(R)}$, 베스탑에코$^{(R)}$)과 미생물을 활용한 자재 4종(월드스타에코$^{(R)}$, 굿모닝$^{(R)}$, 블루칩$^{(R)}$, 카멜레온$^{(R)}$)을 이용하였다. 꿀벌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 식물 추출물을 활용한 자재 3종에서는 $RT_{25}$값이 1일~3일로 분석되어 친환경유기농자재 살포 1~3일 경과 후 꿀벌 방사가 필요하였으나, 미생물을 활용한 자재 4종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무당벌레의 성충 및 유충에 대한 영향 평가에서는 식물 추출물을 활용한 자재와 미생물을 활용한 자재 7종 모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everal factors affecting on seed germination of Dracocephalum argunense Fischer ex Link

  • Chang, Young-Deug;Lee, Cheol-Hee;Song, Jeong-Seob;Hwang, Ju-Kwa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6-241
    • /
    • 2009
  • Dracocephalum argunense Fischer ex Link (Labiatae) is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used as valuable materials for ornamentals, honey production, and pharmaceutics. Since seed germination of this species was quite difficult, present studies were conducted to improve the germination rate by subjecting the seeds to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temperature and light) and treatments (scarification, priming and seed coating). Optimum temperature for adequate germination was 20$^{\circ}C$ though it ranged from 15$^{\circ}C$ to 25$^{\circ}C$,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 improved germination rate. Light was required for higher germination rate in this species. The scarification of seeds resulted in much higher germination, especially by the physical treatment with sandpaper or chemical treatment with sulfuric acid for 30 seconds. Various primer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treated on the seeds and it was demonstrated that low temperature enhanced germination rate, regardless of kinds and concentrations of the primers. Three treatment combinations of the primers, 0.5 mM $GA_{3}$ treated for 48 hours, 0.5 mM IAA for 24 hours, and 1.0 mM IAA for 24 hours, increased the seed germination rate profoundly. Soaking treatment of inorganic salts, $KNO_{3}$ and $KH_{3}PO_{4}$, promoted germination when seeds were subjected to low temperature. Water soluble primers such as sucrose at 0.5 and 3% concentration and solid primer talc powder were effective in enhancing germination rate.

울금(Curcuma longa L.)의 생산 및 최적 건조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on and Optimal Drying Condition of Curcuma longa L.)

  • 김용식;최성규;윤경원;서영남;서경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50-456
    • /
    • 2013
  • 파종기에 따른 울금의 초장, 경직경 및 엽수는 5월 10일 파종구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생육단계에 따른 울금의 생육변화를 살펴본 결과 울금의 생육최성기인 10월에 초장은 121 cm로 가장 길게 나타났고, 경직경 또한 3.45 cm로 가장 두꺼웠다. 엽수는 9월 20일 6매로 조사되었으나 이후 엽수가 감소함이 관찰되었다. 생육단계에 따른 울금 지하경 무게 변화는 생육기간에 경과함에 따라 지하경의 무게 증가가 비례하였으며, 11월 20일 조사에서 울금의 수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울금을 건조하는데 가장 적합한 온도는 $40^{\circ}C$로 확인되었다. 부형제를 달리하여 제조한 울금환의 관능검사 결과는 향, 색, 맛, 조직감 및 종합적 기호도에서 찹쌀과 꿀을 부형제로 사용한 시험구의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밀가루만을 사용한 시험구의 선호도는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