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environment

검색결과 3,108건 처리시간 0.031초

RS422 Multi-drop mode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home network using the RS422 Multi-drop mode serial communication)

  • 변필상;김명환;김덕진;박세현;박연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12-516
    • /
    • 2005
  • 홈 네트워크란 일반적으로 PC를 비롯한 가정 내의 가전기기들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되어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21세기에 들어서 홈 네트워크 환경을 위한 여러 가지 기술들이 제시되었다. 대표적으로 HomePNA, IEEE1394, ethernet lan, 블루투스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를 구현하는데 있어 가전기기간 데이터를 전송 할 경우 표준 직렬 인터페이스인 RS232를 이용한다. 그러나 RS232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현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point-to-point 방식을 사용하여 각각의 기기를 모두 RS232로 연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경우 기기의 숫자만큼 회선이 늘어남으로 인해 시스템 자체가 복잡해지고 비용도 증가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이 논문에서는 RS422 Multi-drop mode 시리얼 통신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설계하였고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으로 제어하였다. 그리고 홈 네트워크 가상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 PIC를 이용하여 모터 및 센서를 RS422와 연결하였다.

  • PDF

사회취약 독거노인 주택의 맞춤형 개조 현장상황 기술 연구 (A Descriptive Research on Field Situation of Customized Modification for Vulnerable Single Elderly Home)

  • 이연숙;김윤수;성초희;신유진;조원섭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55-64
    • /
    • 2017
  • Elderly population has increased rapidly and adjusting the environment is in demand to support their health.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of elderly, an appropriate plan for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is needed upon the personal contex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sequence and to build an insight on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for vulnerable single elderly. It is a case study based on single target that includes 6 months of execution period deeply seeking the appropriate plan for implementation. The target is a male elderly aged 74 living in a single story detached house. The various research methods are applied in this study including exploratory, participatory, action and trade-off preference researches. The result shows that plan for home modification is complex outcome of interlocking uniqueness between residence environment and resident situation. If customized modification is targeted for residentially vulnerable social group, more sensitive approach aiming for the highest result is required due to financial constraint. To conclud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overall circumstances of a dwelling, a resident and various stakeholder is essential throughout the process. Since the aging-in-place of elderly cannot be achieved without self-sustaining living environment,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should be a tool to meet housing suitability.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experts and future workforce with networks of local residents to share opinions and appropriate plans.

집과 같은 환경 특성을 적용한 어린이집 보육실 환경변화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nge of a Classroom in Child Care Centers Us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Home)

  • 최목화;박정아;손승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57-65
    • /
    • 2017
  • This study intended to change the environment of a classroom in the existing child care center by applying the hom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progress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out the three stages. First, analyze the problems of existing child care center, which reflect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user opinions of the environment.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classroom, the classroom is improved by apply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home. Third, compar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hom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lassroom was surveyed with a long rectangular space structure and was examined as a wide area when compared with the legal standards of $4.32m^2$ per child. Second, the emphasis is to complement the defects of the spatial structure and seek changes to the comfort environment, such as the proper stimuli and alterations to the atmosphere. Third, the effec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was assessed by comparing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In terms of child environmental demands, movement and movement have increased. integrated configurations of the activity areas showed increased functionality, and overall, it was evaluated as a whole in terms of the atmosphere and the placeness.

중학교 가정과 교육내용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Contents in Middle-School Home-Economics)

  • 박일록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9-8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ortant contents from teachers’, parents’and students’view points based on the sixth Home Economics textbook contents, to apply these results at school settings and to provide the materials as a basis for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Subjects were 59 teachers, 253 parents, and 389 students from 3 cities and 5 counties in CholaBukDo. A questionnaire which was made by the researcher was used as an instrument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Of 32 contents on Family life subarea, all the teachers, the parents and the students put the emphasis on sex such as pregnancy, purity, sex-ethics, etc. This result means that middle-school students emphasized the sexual identity formation and this was also a common concern about adolescents in our society. Of 37 contents of Managing home resource and Consumer life subarea, teachers though the environment pollution is an important subject and parents and students thought finding a method to conserve good environment were more important. This result reflects their concern on the environment. Of 49 contents on Dietary life, teachers and pare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nutritive elements”which is basic on their dietary life and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adolescence and growth and development among adolescents’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problems”which is more related to their current life. Of 40 contents on Clothing life subarea, while teachers put the emphasis on the method how they can buy ready-made clothes, parents and students wanted them to teach what kind of clothes are suitable for themselves. Of 18 contents on Residing life subarea, tea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ventilation for adjusting the room environment and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effective use of the residing space. By finding out what kinds of Home-economics contents are important from the view point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his study can be a useful resource for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and for selecting contents of a new-coming text book. However, restricted sampling must be considered and further studies which cover the whole area might be needed.

  • PDF

얄롬의 실존주의 심리치료에 의거한 노인요양시설 디자인 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lderly Nursing Home Design Direction Based on Yalom's Existential Psychotherapy)

  • 정미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186-196
    • /
    • 2015
  • This research comprehended the fundamental cause of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negative feelings of loneliness, depression, fear, and loss of self-usefulness as existential issue, since they already went through loss, death of loved ones, geriatric disease and disabil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how existentialism and existential psychotherapy theory of Irvin D. Yalom can be applied to nursing home environment design, and to suggest design directions. Based on his framework of human's ultimate interest, death, freedom followed by responsibility, isolation, and meaninglessness, interior design suggestions and applicable spaces were presented. Four cases from Australia, Denmark, Japan and Korea were analyzed according to design suggestions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and to draw further propositi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Environment should support nursing home residents to resolve existential issues. (2)Death is the least supported issue on all of the cases. Environmental elements that can induce residents to think and discuss on death, hospice program and space for memorial service is necessary. (3)Regarding to freedom, the environment should support resident's disability to maintain independence as much as possible and residents autonomy and decision should be respected. Single/double rooms, motorized bed, free and safe usage of kitchen and garden are necessary. (4)For isolation, Space and time for meditation should be provided. (5)To find meaning of life, environment should support residents in both physical and cognitive aspect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others. Space for hobby is necessary for continued creativity and self-realization.

취학전 유아의 가정환경자극 및 양육효능감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 (The Study of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Of Preschool Children, Parenting Self-Efficacy and Family Health of the Mothers)

  • 설경옥;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3-40
    • /
    • 2011
  • 본 연구는 부천시와 인천시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 569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가정환경자극 및 양육효능감과 가족 건강성의 차이 및 관계를 알아보고, 초기경험의 기초가 되는 가족의 중요성과 역할을 재인식하여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어머니의 교육수준, 취업유무, 가정의 월소득)에 따른 가정환경자극, 양육효능감과 가족건강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대졸이상인 집단이고 취업한 어머니이며, 월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가정의 가정환경자극, 양육효능감, 가족건강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정환경자극 및 양육효능감과 가족건강성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정환경자극 및 양육효능감은 가족건강성의 하위영역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정의 월소득이 높고 가정환경자극이 풍부하며 어머니의 의사소통 효능감이 높을수록 가족건강성이 높으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2009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주생활영역의 내용요소 분석 (An Analysis on the Content Elements of Housing Area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by 2009 Revised Curriculum)

  • 조한결;장상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97-32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ontent elements of Housing area in 2013 middle 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s 1 and 2, total of 22 according to 2009 revised curriculum. The analysis method was content analysis, focusing on contents of main text, tables & figures, reading material, and activity materials by their content elements.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in obtaining suggestion for the post curriculum/textbook development and helping teachers to perform a less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ousing area included 1 to 4 content elements per each units, from 2 chapters and 6 units. The content elements stated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total of 16 which consists of 'the meaning of housing,' 'housing types,' 'family forms,' 'family life style cycle,' 'life style,' 'neighboring environment,' 'co-living values,' 'air environment,' 'heat environment,' 'light environment,' 'acoustic environment,' 'space division,' 'circulation', 'effective use of space,' and 'sustainable dwelling practice.' All of these components are dealt with in every textbooks. Second, the numbers of content elements provided in each textbooks were the same, however they showed difference in their contextual aspect. Some contents need supplemental material for their lacking content element. Others need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because some showed different contents from the appropriate content elements. Third, repetitions in content elements were observed, the contents of 'co-living values' in textbook 1 and 'sustainable dwelling practice' in textbook 2 were similar in terms of eco-friendly housing, co-housing and universal housing. These two content elements should be merged as one next curriculum, or should be stated together in one subunit.

다면적 주거환경 구성요소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ltiphasic components of home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 홍선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419-425
    • /
    • 2016
  • 본 연구는 거주자들이 지각하는 주거의 다면적 구성요소, 즉 물리적, 안전적, 경제적, 교육적 요소 등과 사생활보장에 대한 인식수준을 파악하고, 이러한 다면적 요소들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주거의 다면적 구성요소를 독립변인으로, 삶의 만족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2015년 9월에서 11월까지 디지털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최종적으로 298부의 설문이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응답자들은 주거의 각각의 특성들에 대해 대체로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 중 사생활 보장 수준을 중간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지각하였다. 둘째, 주거의 사생활 보호 및 경제성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이었다. 셋째, 건강 및 월평균소득이 삶의 만족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면적 주거 환경 구성요소 중 주거의 사생활 보호 및 경제성이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안전한 Home Network 서비스를 위한 RMCS 설계 및 구현 (RMCS Plan and the Embodiment for the Home Network Service which is Safeent)

  • 선재훈;이동휘;김귀남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9-27
    • /
    • 2005
  • 최근 들어 Home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과 더불어 Home 네트워크 산업도 날로 발전하고 있다. Home 네트워크에 관한 관심과 보급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Home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접근망(Access Network)과 댁내망(Home Network)의 중간에서 Home 네트워크 서비스를 원활하게 중계하고 댁내망안에서 홈기기(PC, 홈패드, DTV 등)들 사이의 중계 역할을 하는 Home 게이트웨이에 대한 중요성 역시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Home 게이트웨이에 대한 관련 기술의 표준화가 미비한 실정이며, 여러 가지 기술을 적용하여 Home 게이트웨이의 성능을 향상 시키고 표준을 마련하는 작업이 진행중에 있다. 현재 Home 네트워크 관리체계를 보면 대부분이 ID/PASSWORD 접근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미 우리는 기존 네트워크 환경에서 '1.25 대란'과 같은 충분한 댓가를 치루며 보안에 대한 교훈을 얻었다. 본 논문에서는 Home 네트워크 환경의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역할 기반의 다중인증 시스템 RMCS를 구현하여 시스템이 내.외부 모두로부터 안전한 보호를 제안하였다. 기존 ID/PASSWORD 방식을 전자서명을 이용하여 외부망으로부터의 접근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였으며, 역할기반의 MIB 구조를 이용하여 Home 네트워크 내부에서도 보다 안전한 권한 제어를 통한 Home 네트워크의 보안을 제안하였다.

  • PDF

주택환경이 노년기 보행기능제한, 장애 및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the home environment on the relationship among walking limitation, disability and depression of older people)

  • 구본미;임은정;채철균
    • 한국노년학
    • /
    • 제40권3호
    • /
    • pp.543-563
    • /
    • 2020
  • 사람들은 노화가 진행되고 신체기능이 저하될수록 집 안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주택환경의 영향을 더 많이 받게 된다. 그동안 주택환경과 건강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었으나, 신체기능이 저하된 노인의 장애 발생과 우울에 미치는 주택환경의 영향을 밝히는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보행기능제한과 장애, 그로 인한 장애와 우울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택환경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18년 서울시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변수에 결측치가 있는 응답자를 제외한 총 3,027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분석에는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택환경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보행기능제한(OR=1.487, 95% CI: 1.250 - 1.770), IADL장애(OR=1.594, 95% CI: 1.303 - 1.949)와 우울(OR=1.943, 95% CI: 1.553 - 2.430)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택환경은 보행기능 제한이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열악한 환경에 거주하며 보행기능제한을 경험하는 노인의 IADL장애 수준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주택환경은 보행기능을 통제한 후에도, IADL장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열악한 환경에 거주하는 IADL장애 노인의 우울 수준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노년기 장애와 우울을 예방하고, 자신의 집에 오래 머물러 살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개입전략으로서 노인의 신체적, 기능적 특성을 반영한 주택환경 개선사업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