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ical astronomy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3초

Dating Sun's Locations at Equinoxes Inscribed on Cheonsang Yeolcha Bunyajido

  • Sang-Hyeon Ahn
    • 천문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201-212
    • /
    • 2023
  • The inscription of Cheonsang Yeolcha Bunyajido (天象列次分野之圖) has the sun's locations at the equinoxes, which must have been copied from the astronomical treatises in Chinese historical annals, Songshu (宋書) and Jinshu (晉書). According to the treatises, an astronomer Wang Fan (王蕃, 228-266 CE) referred those values from a calendrical system called Qianxiangli (乾象曆, 223 CE), from which it is confirmed that it adopted the sun's location at the winter solstice of the $(21{\frac{1}{4}})^{th}$ du of the 8th lunar lodge Dou (斗) as the reference direction for equatorial lodge angles. This indicates that the sun's locations at equinoxes and solstices in the calendrical system are the same as those in Jingchuli (景初曆, 237 CE). Hence, we propose that the sun's location at the autumnal equinox in Cheonsang Yeolcha Bunyajido should be corrected from 'wu du shao ruo' (五度少弱), meaning the $(5{\frac{1}{6}})^{th}$ du, to 'wu du ruo' (五度弱), meaning the $(4{\frac{11}{12}})^{th}$ du, of the first lunar lodge Jiao (角), as seen in Jingchuli. We reconstruct the polar coordinate system used in circular star charts, assuming that the mean motion rule was applied and its reference direction was the sun's location at the winter solstice. Considering the precession, we determined the observational epoch of the sun's location at the winter solstice to be to = -18.3 ± 43.0 adopting the observational error of the so-called archaic determinatives (古度). It is noteworthy that the sun's locations at equinoxes inscribed in Cheonsang Yeolcha Bunyajido originated from Houhan Sifenli (後漢 四分曆) of the Latter Han dynasty (85 CE), while the coordinate origin in the star chart is related to Taichuli (太初曆) of the Former Han dynasty (104 BCE).

An analysis of the stars recorded in the Seong-Gyeong 星鏡

  • Jeon, Junhyeok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47.4-48
    • /
    • 2017
  • In the middle of $19^{th}$ century, the Seong Gyeong 星鏡, which is a Korean historical astronomy book, was published by Nam Byeong-Gil(1820-1869). In this study, identification was conducted by considering the star catalogue recorded in the Yixiang Kaocheng Xubian 儀象考成續編. The Seong Gyeong 星鏡 recorded the information of 1,449 stars, and identified 1,413 stars among 1,449 stars, which is a rate of 97.5%. The positional error (angular distance) of the identified stars is $5.33{\pm}0.34$ arc-mi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magnitudes of the recorded stars have correlations with those of modern times. It wa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error of the stars became larger as the magnitude of the stars became dimmer, or as the position of the stars came closer to the pole. Based on these analyses, the Seong Gyeong 星鏡 was confirmed that it is a result of correcting the precession of the selected stars from star catalogue of Yixiang Kaocheng Xubian 儀象考成續編.

  • PDF

Neo-Catastrophism and a New Global Interpretation of History

  • Yi, Tae-Jin
    •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 /
    • 제1권1호
    • /
    • pp.85-116
    • /
    • 2013
  • The theory of terrestrial impact which has been developed by the astronomy scientists since 1970s is employed for this article in a new angle that atmospheric conditions of our planet should be adopt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of mankind. Large and small terrestrial impacts must be acknowledged as key tasks in terms of the study of 'world history'. The Society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has already advocated that the 'Bronze Age Civilization'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long term terrestrial impact phenomena.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rea, the present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years 680-880, 1100-1220, 1340-1420, and 1490-1760 as periods in which territorial impacts occurred.

A study of the Xinfa Suanshu's catalogue (1628.0): Comparison with the star catalogue of the Tablae Rudolphinae

  • Jeon, Junhyeok;Lee, Yong-Bok
    • 천문학회보
    • /
    • 제43권2호
    • /
    • pp.49.1-49.1
    • /
    • 2018
  • The Xinfa Suanshu, which was an important astronomical book in East-Asia, was published in 1644. This book was including the star catalogue. We researched the data of 1365 stars recorded in this star catalogue (the equinox of the catalogue is identified to be 1628 year). According to our analysis, it can be presumed that the star catalogue's data were observed from at least two places or more. Based on historical background, we assumed that the Xinfa Sunashu's catalogue likely referenced knowledge from the Europe or Arab/Islamic culture. The researchers who have studied the Xinfa Sunashu's star catalogue have all focused on Brahe's star catalogue. But they did not provide clear evidence. Therefore, we are compared with the star data recorded in Tablae Rudolphinae. In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881 stars among the 1365 stars were perfectly edited from position data of stars recorded in Brahe's star catalogue (1602).

  • PDF

REEVALUATION OF KVN GAINS

  • Cheong, Whee Yeon;Kim, Sang-Hyun;Lee, Sang-Sung;Byun, Do-Young;Jung, Taehyun
    • 천문학논총
    • /
    • 제37권1호
    • /
    • pp.1-11
    • /
    • 2022
  • During the course of analysing both single-dish and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VLBI) data obtained from the Korean VLBI Network (KVN), we found a systematic offset between flux density measurements from different antennas. We were able to attribute a majority of the systematic offsets to changes in the "a priori" antenna gains, which were found to have varied up to 10 percent at 22 GHz and up to 30 percent at 43 GHz. Using historical calibrator observations, we present a revised set of gains that may be applied to KVN data taken from 2015 August to 2019 January. Application of the revised gains to the KVN results in a consistency of correlated flux density measurements between the three baselines of approximately five percent. We found that images from the recalibrated data typically have a 50 percent higher dynamic range, with some cases showing an increase of dynamic range of up to a factor of three.

An analysis of the stars recorded in 『Hun-Gai-Tong-Xian-Tushuo 渾蓋通憲圖說』

  • Jeon, Junhyeok;Lee, Yong-Bok
    • 천문학회보
    • /
    • 제44권2호
    • /
    • pp.61.2-61.2
    • /
    • 2019
  • The 『Hun-Gai-Tong-Xian-Tushuo 渾蓋通憲圖說』, which was an important astronomical book in East-Asia, was published by Li Zhi-zao (李之藻, 1565-1631) in 1607. This book was including the data of stars. We analyzed the data of stars recorded in 『Hun-Gai-Tong-Xian-Tushuo 渾蓋通憲圖說』. Based on historical background, we assumed that the data of stars recorded in 『Hun-Gai-Tong-Xian-Tushuo 渾蓋通憲圖說』 likely referenced knowledge from the ancient Arab/Islam culture. In conclusion, we assume a correlation with the star catalogue included in 『Almagest』 by Ptolemaios. Therefore, we think that this star's data will become important data for comparison with the star catalogues published in Arabic/Islam.

  • PDF

한국사에서 하루의 시작은 언제부터인가? (AT WHAT TIME A DAY BEGINS IN THE KOREAN HISTORY?)

  • 안상현;박종우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1권4호
    • /
    • pp.505-528
    • /
    • 2004
  • [ ${\ll}$삼국사기${\gg},\;{\ll}$고려사${\gg},\;{\ll}$조선왕조실록${\gg},\;{\ll}$승정원일기${\gg}$ ]에 나오는 천문 관측 기록 가운데 특히 달가림(lunar occultation) 기록을 분석하여 당시의 시간제도와 하루의 시작점을 알아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일식이나 월식을 계산할 때는 백각법(百刻法)과 12진각법(十二辰刻法)이 사용되었고 하루의 시작점은 자정이었으나, 일상생활과 특히 천문관측에서는 경점법(更點法)이 사용되었는데, 하루의 시작점은, 최소한 고려시대부터는, 해 뜰 무렵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통적으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사용한 혼명(昏明)의 시간은 현대의 항해박명(nautical twilight)을 뜻함을 알아냈다. 우리의 결과는 현재 일상생활의 시간관념이 옛날 시간제도에서 비롯되었음을 말해주며, 농경사회에서 해의 뜨고 짐에 따라 일상생활이 정해지고 또한 천문 관측상 편리하기 때문에 경점법을 쓴 것이라고 해석된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앞으로 고대 천문 관측 기록의 시간을 정확하게 미루어 계산하고, 그것을 현대 천문학적 자료로 사용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한국, 일본, 중국의 역사 기록에 나오는 별똥비 및 별똥 소나기 목록 (A CATALOGUE OF METEOR SHOWERS AND STORMS IN KOREAN, JAPANESE, CHINESE HISTORIES)

  • 안상현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1권4호
    • /
    • pp.529-552
    • /
    • 2004
  • 한국, 일본, 중국의 옛 역사 기록에 나오는 별똥비 및 별똥 소나기 기록 가운데 신뢰할 만한 것을 골라서 목록으로 만들었다. 우리의 새 목록에는, 한국의 기록은 35개, 일본은 29개, 중국은 93개의 별똥비 및 별똥 소나기 기록이 들어 있다. 별똥비 및 별똥 소나기는 10세기와 16세기경에 많이 나타났다. 각 별똥비 기록의 근일점 이후 지난 날짜를 조사해본 결과 10세기경에 주로 페르세우스 별똥비에 의한 기여가 컸고, 16세기의 증가는 사자자리 별똥비에 의한 기여가 컸다. 이 결과로부터 10세기의 별똥비의 폭증이 황소자리 별똥 흐름 때문이라는 종래의 견해에 반론을 제기하였다. 우리는 또한 물병자리 에타 별똥비, 페르세우스자리 별똥비, 오리온자리 별똥비, 사자자리 별똥비 등이 지난 2천년 동안 꾸준히 존재해왔음을 알아냈다. 이 가운데 물병자리 에타 별똥비는 기원전 687년 기록이 가장 오래된 것이며, 페르세우스자리 별똥비 기록의 경우 기원후 36년의 것이 가장 오래된 것임을 알아냈다. 또한 핼리혜성이 어미혜성(mother comet)인 물병자리 에타 별똥비와 오리온자리 별똥비의 궤도가 이동한다는 종래의 주장도 부정되었다. 가장 오래된 사자자리 별똥비 기록은 기원후 902년 기록이 아니라 기원후 288년 중국 기록임일 가능성이 큼을 알아냈다. 또한 우리는 용자리 알파 별똥비에 해당하는 별똥비 기록으로 보이는 일련의 기록들을 찾아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 일본, 중국의 별똥비 및 별똥 소나기 목록은 앞으로 별똥비 연구에 도움을 줄 것이다.

동아시아 천문관서의 자동 시보와 타종장치 시스템의 고찰 - 수운의상대, 자격루, 옥루, 송이영 혼천시계 등을 중심으로 - (Automatic Clock and Time Signal System of the Astronomical Agency in East Asia Area)

  • 이용삼;김상혁;정장해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6권3호
    • /
    • pp.355-374
    • /
    • 2009
  • 동아시아 천문관서의 자동 시보와 타종시스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조선의 서운관에서는 1434년(세종 16)부터 국가 표준시계로 자격루를 운영하였고, 1438년에는 옥루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자동 시보시스템은 당시 시각제도에 따라 시보장치와 타종장치로 운영되었다. 이보다 앞서 제작한 중국의 수운의상대(1092)에서도 당시의 시각제도에 따른 시보시스템을 이루고 있다.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은 12시 100각법에 따른 동일한 시각제도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세부적인 시보시스템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시보장치와 타종장치의 제작기술은 중국의 전통을 기반으로 자격루와 옥루라는 독창적인 시보시스템을 나타내는 종합적인 시계 기술로 이어졌다. 시보시스템에 대한 연구로 당시 시각제도에 대한 사례와 새롭게 복원할 천문유물의 시보와 타종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천문유초(天文類初)에 기록된 사신동물천문도(四神動物天文圖) 연구 (A STUDY OF SASIN-ANIMAL SKY MAP ON CHONMUNRYUCHO)

  • 양홍진;박명구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0권1호
    • /
    • pp.83-94
    • /
    • 2003
  • 천문유초(天支類抄)는 조선시대 대표적인 천문서적으로 세종대(世宗代) 천문학자 이순지(李純之 \ulcorner-1465)가 편집하였다. 우리는 이 책의 첫 부분에서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28수(宿) 별자리를 사신-동물모양(이하 '사신동물천문도')으로 표현한 자료를 찾아 연구하였다. 사신동물천문도(四神動物天文圖)는 사방으로 나누어진 네 개의 별자리를 사신으로 잘 알려진 동-창룡(蒼龍), 서-백호(白虎), 남-주작(朱崔)그리고 북-현무(亥武)의 모습으로 표현하고 있다. 일반적인 사신과 달리 특이한 것은 백호 옆에 동양의 전설 속 동물인 기린(離離)이 같이 표현되어 있다. 각각의 동물들은 동양의 전통적 별자리 표현법인 28윤의 2 ~ 7숙의 별자리를 통해 표현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의 논설(論說)에도 나와 있듯이 고구려는 조선과 천문학적으로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고구려 무덤 벽화이다. 이 벽화에 많은 별, 별자리와 함께 천문유초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신동물들도 그려져 있음은 이미 고구려 시대에도 하늘을 사신동물 별자리로 보았음을 추정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천상열차분야지도의 28寫와 고구려 무덤 벽화에 그려져 있는 사신과 기린을 이용해 철문유초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신동물천문도도 형상화시켜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