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SASIN-ANIMAL SKY MAP ON CHONMUNRYUCHO

천문유초(天文類初)에 기록된 사신동물천문도(四神動物天文圖) 연구

  • 양홍진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
  • 박명구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Chon-Mun-Ryu-Cho (天文類抄), written (edited) by Lee Sun-Ji (李純之) during the period of King Se-Jong, is a representative astronomy book of Cho-Sun (朝鮮: A.D. 1392-1910) Dynasty. We find and study in the first page of the book; the description of 28 oriental constellations as a Sasin (four mythical oriental animals)-animal sky map which is not widely known yet. The map consists of four groups of constellations, each of which represents the Sasin: Chang-Ryong (蒼龍: dragon), Baek-Ho (白虎: tige.s with Ki-Rin [離隣: Oriental giraffe]), Ju-Jak (朱崔: Chinese phoenix), Hyun-Mu (玄武: a tortoise interwined with a snake). Each group (animals) spans 2 ~ 7 of 28 oriental constellations (宿). As we know from the illustration (論說) of the Chon-Sang-Yol-Cha-Bun-Ya-Ji-Do (天象列次分野之圖), a representative sky map of Cho-Sun Dynasty, astronomy in Cho-Sun Dynasty is closely related to that in Go- Gu-Rye. (高句麗: B.C. 37 -A.D. 668) Dynasty. Since these Sasin-animals appear in most mural paintings of Go-Gu-Rye. (高句麗) tombs, visualization of sky with these animal constellations could have been established as early as in Go-Gu-Ryer Dynasty. We also reconstruct this ”A Sasin-animal Korean sky map” based on the shapes of the Sasin and Ki-Rin from Go-Gu-Ryer paintings and 28 oriental constellations in Chon- S an g- Yol- C h a- B un- Ya- J i- Do.

천문유초(天支類抄)는 조선시대 대표적인 천문서적으로 세종대(世宗代) 천문학자 이순지(李純之 \ulcorner-1465)가 편집하였다. 우리는 이 책의 첫 부분에서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28수(宿) 별자리를 사신-동물모양(이하 '사신동물천문도')으로 표현한 자료를 찾아 연구하였다. 사신동물천문도(四神動物天文圖)는 사방으로 나누어진 네 개의 별자리를 사신으로 잘 알려진 동-창룡(蒼龍), 서-백호(白虎), 남-주작(朱崔)그리고 북-현무(亥武)의 모습으로 표현하고 있다. 일반적인 사신과 달리 특이한 것은 백호 옆에 동양의 전설 속 동물인 기린(離離)이 같이 표현되어 있다. 각각의 동물들은 동양의 전통적 별자리 표현법인 28윤의 2 ~ 7숙의 별자리를 통해 표현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의 논설(論說)에도 나와 있듯이 고구려는 조선과 천문학적으로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고구려 무덤 벽화이다. 이 벽화에 많은 별, 별자리와 함께 천문유초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신동물들도 그려져 있음은 이미 고구려 시대에도 하늘을 사신동물 별자리로 보았음을 추정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천상열차분야지도의 28寫와 고구려 무덤 벽화에 그려져 있는 사신과 기린을 이용해 철문유초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신동물천문도도 형상화시켜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선고고연구 v.103 김성철
  2. 백산학보 v.47 김일권
  3. 진단학보 v.82 김일권
  4.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일권
  5. 고고민속논문집 v.9 리준걸
  6. 조선고고연구 v.100 리준걸
  7. 한국과학사학회지 v.20 박창범
  8. 조선기술사2 조선기술발전사 편찬위원회
  9. 世宗代, 天文類抄 李純之(編纂)
  10. 三才圖會 v.6 王圻(纂輯)
  11. 中國古代天文學成就 北京天文館(編纂)
  12. Korean Astronomy Rufus, W.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