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way geometric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8초

지상 레이저 스캐닝 기술을 이용한 도로 기하정보 추출 (Extraction of Geometric Information on Highway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ing Technology)

  • 이종출;이병걸;김진수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79-382
    • /
    • 2007
  • Laser scanning technology with high positional accuracy and high density automation will be widely applied in vast range of fields including geomatics.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laser scanning technology enabling long range information extraction is increasing its full use in civil enginee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accurate highway geometric information taking the advantages of scanning technology. Fulfilling this goal, the information of target highway's three-dimensional data was obtained through terrestrial laser scanning technology.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from target highway's geometric information extraction using the information above, laser scanning technology showed faster speed and better accuracy on highway geometric information extraction with reduced cost compared to traditional methods.

  • PDF

GPS-IMU 통합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기하구조 측정에 관한 연구 (The Measurement of Road Alignment Using GPS-IMU System)

  • 박재홍;윤덕근;성정곤;이준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1-69
    • /
    • 2012
  • 도로기하구조정보는 도로의 유지관리와 안전성 평가 등에 중요한 요소로써, 정보를 취득하려는 구간에 대한 정확한 기하구조정보를 취득하는 작업은 중요하다. 그러나, 도면이 부재하거나 선형의 결함이 발생하는 구간에서는 정확한 자료를 수집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간에 도면정보를 신속하게 취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GPS-IMU 통합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에서 취득된 자료를 이용하여 도로기하구조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정확도의 기준이 되는 도면 값과 평면선형은 3.38%의 오차율이 나타났으며, 종단선형은 0.083의 절대값 오차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도로안전점검 및 진단과 같은 도로관리업무에 활용될 목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로선형과 기하구조 연구를 위한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의 교통안전시설 요소분석 (A Study of driving simulator applications for road safety in geometric design)

  • 정성학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61-567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1) develop how applications for driving simulator of national highway safety designs when those are appeared; (2) examine the degree to which those geometric designs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rofile; and (3) search positive safety and passive highway safety design of the point at which highway alignment factors initiate driving safety to facility or highway design.

  • PDF

도로 선형특성에 따른 럼블스트립의 교통사고 감소효과 (Accident Reduction Effect of Rumble Strips by Highway Geometric Characteristics)

  • 오흥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D호
    • /
    • pp.289-294
    • /
    • 2010
  • 럽블스트립은 교통사고 감소에 기여를 하는 것으로 국내외 논문을 통해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도로의 기하구조와 럼블스트립의 설치효과 관계에 대하여 교통사고 감소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속도로 구간에서 럼블스트립 설치전후의 교통사고 통계를 비교하였고 럼블스트립 설치지점의 평면선형, 종단선형, 설치길이와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종단선형이 하향(-)인 구간에서 럼블스트립 설치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면선형상에서 우곡선구간에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설치길이 면에서 상대적으로 설치길이가 작아도 교통사고 감소의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道路) 선형개선(線形改善)의 Performance 분석기법(分析技法)에 관한 연구(硏究) (A Performance Analysis Methodology for Evaluating Highway Geometric Improvement)

  • 최재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75-88
    • /
    • 1989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도로기하구조(道路幾何構造) 개량(改良)이 발생(發生)하게 될 performance 분석(分析) 모형(模型)을 최근(最近) 기법(技法)을 통하여 개발(開發)하였고 그 절차상(節次上)의 산정(算定) 과정(過程)을 전산화(電算化)하여 GUCAM(Geometric-specific User Cost Analysis Moded)을 개발(開發)하였다. GUCAM과 HIAP 모형간(模型間)의 비교(比較)를 위하여 지방부(地方部) 2차선도로(車線道路)를 4차선도로(車線道路)로 확장하는 현장(現場) 자료(資料)를 입력(入力)하였다. 그 결과(結果) GUCAM이 도로(道路)의 기하구조개량(幾何構造改良)에 보다 실제적(實際的)이고 민감하게 반응(反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도로(道路)의 평면곡선(平面曲線)과 구배를 반영하는 절차(節次) 개선(改善)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의 과제(課題)로는 GUCAM이 아직도 한 평면곡선(平面曲線)이나 구배의 개량(改良)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점을 생각하여 이에 대한 보다 정확(正確)한 performance 분석(分析)에 관한 연구(硏究)가 될 것이다.

  • PDF

Construction stage analysis of Kömürhan Highway Bridge using time dependent material properties

  • Altunisik, Ahmet Can;Bayraktar, Alemdar;Sevim, Baris;Adanur, Suleyman;Domanic, Arman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36권2호
    • /
    • pp.207-223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concerns with the construction stage analysis of highway bridges constructed with balanced cantilever method using time dependent material properties. K$\ddot{o}$m$\ddot{u}$rhan Highway Bridge constructed with balanced cantilever method and located on the 51st km of Elazi$\check{g}$-Malatya, Turkey, highway over Firat River is selected as an application. Finite element models of the bridge are modelled using SAP2000 program. Geometric nonlinearity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analysis using P-Delta plus large displacement criterion. The time dependent material strength variations and geometric variations are included in the analysis. Elasticity modulus, creep and shrinkage are computed for different stages of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structural behaviour of the bridge at different construction stages has been examined. Two different finite element analyses with and without construction stages are carried out and result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s analyses result, variation of internal forces such as bending moment, axial forces and shear forces for bridge deck and column are given with detail. It is seen that construction stage analysis has remarkable effect on the structural behaviour of the bridge.

주행속도 분포 특성을 이용한 설계기준 적용 방안 (A Geometric Design Method Based on the Running Speed Distribution)

  • 정준화;박창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13-120
    • /
    • 2005
  • 도로 선형 설계의 제1의 목표는 통행의 안전과 원활한 운행 여건을 구조적으로 확보하는 데에 있다. 현재 우리나라 도로 설계법은 외국의 설계기준과 방법론을 바탕으로 한 것이나, 도로를 이용하는 사람이나 차량의 특성이 설계체계에 반영되어 있지 않아, 설계자의 기대와 이용자의 이용 행태간의 간격이 존재하며, 그 결과는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를 제공하는 데에 장애가 된다. 도로 기하구조 설계의 적정성을 높이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차량 주행 특성에 기반한 도로 선형 설계기준과 그 적용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도로 이용자의 특성이 반영된 도로 설계 체계를 갖추는 작업의 일환으로 일반국도 4차로도로의 단일 곡선부 구간에 대한 주행 차량의 속도 분포 특성을 바탕으로 일반국도의 선형의 설계기준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고속도로 휴게소 연결로 설계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the Design Guidelines for Connecting Roads in Highway Rest Area)

  • 이철수;원제무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43-154
    • /
    • 2013
  • PURPOSES: Design of approach roads of rest areas in highway has many drawbacks such as geometric design elements. There has been traffic accidents occured in these approach roads of rest areas. Thus, design criteria is required in order to protect accidents from being occurred. In case of Korea, geometric structure design criteria of entry facilities, such as toll-gate, interchange, junction etc was established. However there are no presence in a detailed standards for geometric structure of the rest area which affiliated road facilities. METHODS: In this study, analytic on accidents was carried out in regards to the entry of geometric structure of resting areas by utilizing a sight survey and an investigation research of traffic accidents. The survey was targeting 135 general service areas. Collisions with physical channelization and safety facilities occurred due to speeding, rapid entry, and etc at the entrance nose section. At the entrance connector roads, accidents caused by speeding, negligence, over-operation of handle of drivers were main reason of accidents. Discriminant analysis were conducted about geometric elements to distinguish influencing factors for traffic accidents. the lengths and access angles of the entrance connector roads were regarded as to have the high relation with traffic accidents. RESULTS: After classifying the design section of resting areas' entry as well as derive design elements on each section, a speed measurement by targeting entry of rest areas and car behavior surveys were performed, then each element's minimum standard was derived through the analyses. According to the speeds at the starting/end point of entrance connector road, the range of the junction setting angle of the entrance connector road is defined as $12^{\circ}{\sim}17^{\circ}$ and the connector length model was suggested. CONCLUSIONS: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existing rest areas that can be applied realistically. This should be corresponded to the standards of entry and exit of developed rest areas.

차량 이동궤적 기반 버스정차대 기하구조 연구 (Geometric Design of Bus Bay Based on Vehicle Trajectory Analysis)

  • 김용석;이석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33-36
    • /
    • 2015
  • PURPOSES : It is desirable for buses to be parallel to the face of the bus shelter at a bus stop. In this way, passengers can safely use the buses without moving into the vehicle area. The study was a review of the current bus bay geometric guidelines, to determine whether they lead buses to stop parallel to the face of the bus shelter by analyzing vehicle trajectory. METHODS : A commercial software program for vehicle trajectory analysis was used under our assumptions about bus dimensions and geometric values. The final position of the bus was analyzed for multiple trajectory simulations, reflecting various geometric alternatives. RESULTS : Within the scope of the study, we concluded that the current design guidelines need to be revised by the design values suggested by the study.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alternative design values for bus bay geometr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buses should be parallel to the face of the bus shelter in order to prevent passengers from moving into the vehicle area.

환경 친화적 도로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노선대 지형 및 지역 요소를 고려한 일반국도 주행속도 예측 모형) (A Study On Context Sensitive Highway Design Based On Improved Operating Speed Prediction Methods in National Roads)

  • 김상엽;최재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7-33
    • /
    • 2005
  • 도로설계속도는 해당도로 규격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설계요소이다. 설계속도 결정시 개통후 차량 주행속도를 예측하여 상관성이 높도록 계획해야 하는데, 기존 일반국도 주행속도 예측 모형은 설계속도에 따른 기하구조 요인만을 고려하여 도로의 주변환경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주변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을 경우 과도한 공사비 지출과 지나친 환경 파괴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 주변환경요소를 고려하는 주행속도 예측모형식의 정립을 시도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일반국도의 지형 및 지역 요소를 운전자의 시각 특성과 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정의하였다. 둘째, 이렇게 구축한 지형 및 지역 특성이 차량의 주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형 및 지역 별로 95% 신뢰도에서 속도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섯째, 일반선형 모형(GLM)을 통하여 기하구조 요인과 지형 및 지역 요인을 모두 고려한 예측 모형식을 수립해 보았는데, R-Square가 양방향 2차로는 0.67, 양방향 4차로가 0.85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을 바탕으로 지형 및 지역요소를 감안한 적정 도로 설계속도 범위를 제시했다. 이 방법론에 따라 산출된 관련 설계속도 범위는 일반국도에 대해 적용할 수 있지만, 지방도등 타 도로에 대해서는 직접 적용하기 곤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