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way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일반국도 도로특성분류를 위한 통계적 군집분석과 Kohonen Self-Organizing Maps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tatistical Clustering Methods and Kohonen Self-Organizing Maps for Highway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of National Highway)

  • 조준한;김성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3D호
    • /
    • pp.347-356
    • /
    • 2009
  • 본 연구는 기존의 도로기능분류 정의와 방법론을 벗어나 교통특성에 따른 도로분류 방법론인 도로특성분류를 기초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로특성분류에 대한 일련의 과정 중에서 다양한 교통특성을 반영하는 설명변수를 기초로 요인점수를 산출하고, 동질한 도로구간을 그룹핑하는 군집화 분석과정과 적정 군집수 도출에 따른 군집결과비교에 본 연구는 초점을 맞추었다. 도로분류를 위해 병합적 계층 군집분석인 Ward법, 비계층적 군집분석인 K-means법, 자율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K-SOM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각 군집기법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비교분석한 결과, 군집 수 5 이하에서는 K-means법, 군집 수 14 이상에서는 Kohonen selforganizing maps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군집수 5~9사이에서는 Ward법과 Kmeans법의 군집 성능이 불규칙한 패턴을 보임에 따라 세밀한 결과분석을 통해 우수성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교통특성을 고려한 도로구간의 군집 속성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분류화 작업에 중요한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비탈면 녹화공법의 유형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f Improvement Method and Analysis of Type of Revegetation Measures of Rock Slopes)

  • 전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22-29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develop revegetation methods and to classification of cutting-rock slopes revegetation typ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pre-experienced data, reports and journal. Also research result was reflected from field research for the conditions of construction, vegetation types and field conditions. As the result of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lant coverage rates of cutting-rock slopes were period of construction, revegetation methods, slope gradient and slope length. Classification of cutting-rock slopes revegetation type was fourth from material of revegetation measures and spray type. It is recommended to adjust the proposed factor as environment, field condition and characteristic related with revegetation measures on slopes for the presentation of revegetation standard.

탐색적 요인분석을 이용한 도로특성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ad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 조준한;김성호;노정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3-66
    • /
    • 2008
  • 본 연구는 기존의 도로기능 분류체계를 보완하면서 유형화된 도로구간들의 교통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새로운 관점에서 도로특성분류 개념을 정립하였다. 도로특성분류는 교통계획, 교통운영관리 등의 교통전반으로 설계 및 정책을 수립하고 지침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판단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도로특성분류를 위해 일반국도 상시지점 조사자료를 토대로 12개의 설명변수를 산출하였으며, 이 설명변수들간의 상호상관을 통한 잠재구조 및 다중공선성 검토, 요인점수를 추출하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방향은 탐색적 요인분석의 각 실행단계별 접하게 되는 의사결정 문제를 세밀하게 검토하였으며, 각 논점별로 올바른 평가기준 방법을 제시하여 최종적인 종합결론을 도출하였다. 적정 설명변수와 요인 수를 결정하기 위해 10개의 시나리오를 비교분석한 결과, 처음 제시한 12개의 설명변수를 모두 포함한 경우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4개의 요인이 가장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추후에 다양한 분석방법(군집분석, 회귀분석, 판별분석 등)에 있어서 객관적인 입력자료로 사용됨에 따라 보다 정확한 연구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로비탈면의 환경인자를 고려한 식생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egetation Structural Analysis for Environment Factor of Road Slope)

  • 전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20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1999 to report the revegetation of cutting-rock slopes and a design standard in the highway cut-slopes. The field data was collected from the 67 sites cutting-rock slopes of highways, local roads, and field test. As the result of analyze, cutting-rock slopes revegetation measures were 16 types. There were Vine planting(3 types), Hydroseeding measures with seed-fertilizer-soil materials(5 types), Vegetaion-base spraying measures(5 types), and Stability measures(3 types). The factors affecting the plant coverage rates of cutting-rock slopes were the slope gradient, the slope width and direction. The plant coverage rate decreases in the condition of steep slope and long slope width and length(height). In addition, the plant coverage rates of the westward and southward were lower than that of the northward and eastward. Most dominant species were Zoysia japonica, Lespedeza cyrtobotrya, Lespedeza cuneata, Rubus crataegifolius, Miscanthus sinensis, Arrundinella hirta, Themeda triandra, and Oenothera odorata. Exotic species were Eragrostis curvula(Weeping lovegrass), Dactylis glomerata Orchardgrass), Lolium perenne(Perennial ryegrass), and Festuca arundinacea(Tall fescue). It is recommended to adjust the proposed factor as environment, topsoil, classification of rock, field condition and characteristic related with revegetation measures on slopes for the presentation of revegetation standard.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IPTV)

  • 백선련;이태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65-75
    • /
    • 2008
  • 방송통신융합 환경의 도래로 IPTV가 상용화되고 있다. IPTV는 초고속 인터넷을 통해 정보 서비스, 동영상 콘텐츠 및 방송 등을 TV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지칭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존하는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IPTV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PTV의 개념 및 특성을 알아보고 IPTV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IPTV의 교육적 활용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그것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과 IPTV를 활용한 교수-학습 유형 및 각 교과별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IPTV의 교육 현장 도입을 위해 고려되어야할 사항을 법적 기술적 문제와 교육적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 PDF

로짓모델을 이용한 고령운전자 고속도로 교통사고 특성 분석 연구 (The Analysis of Older Driver's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 at Express-way using Logit model)

  • 박준태;김용석;이수범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7
    • /
    • 2009
  •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고령운전자의 수 역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어 향후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는 급증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 교통사고 발생시 고령층과 비고령층의 구분에 따른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고령층에 비해 고령층에 작용하는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로짓모형을 통해 비고령층과 고령층의 Odds Ratio를 분석하여 사고영향요인에 따른 차이점을 알아보았으며 고령운전자의 사고 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비고령층에 비해 곡선구간 및 절토구간, 노면의 습기상태일 때 고령운전자의 사고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IS를 이용한 도로교통(道路交通)의 최적경로(最適經路) 선정(選定)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Path for Traffic of Road Using GIS)

  • 오명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1-144
    • /
    • 1997
  • 날로 심각해져 가는 교통체증은 교통량에 비해 도로용량이 부족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나, 도로부족만이 교통체증의 주요 원인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왜냐하면, 도시의 중추적 기능이 도심에 집중되어 있고 교통수요가 시간대별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개개의 운전자가 원하는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통행의 질을 평가하는 주행계획에 있어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선택 시, 교통지체가 가장 적게 발생하는 선을 선택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복잡한 가로망에 대하여 GIS기법을 이용한 경로를 교통량과 토로용량분석의 경로에 따라 가로별, 교차로별로 분석하여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토로교통수요에 따라 시시각각 변모하는 토로, 교통, 운전자특성파악에 접근하고자 하며, 또한 가로별, 교차로별로 인접한 교통유발구역에 대한 분석과 같은 네트웍으로 시간당, 일주일의 하루 및 즉시 분류를 다양한 조건하에서 발생하는 교통지체경향에 대한 실제적 최적경로를 획득하고자 하며, 차후 최적경로 선택에 따른 교통의 원활한 배분을 통해 도로이용의 효율성 증대라는 결과를 기대하고, 따라서 교통량 대 도로용량과의 비에 따른 구간분석을 통하여 도로의 확장 및 확충의 적정시기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과학적, 객관적이며 타당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고속도로 방음벽 유지관리를 위한 방음벽 노후도 평가 방안 (Deterioration Evaluation Method of Noise Barriers for Managements of Highway)

  • 김상태;신일형;김경수;김다애;김흥래;임자혜;이재준
    • 환경영향평가
    • /
    • 제28권4호
    • /
    • pp.387-39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방음벽을 대상으로 방음벽의 손상유형 분류 및 손상등급 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반영한 방음벽 노후도 평가기법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방음벽이 방음판, 기초, 지주로 구성되어 있고 10종의 다양한 재질이 활용되고 있는 방음판은 단일 또는 혼합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방음판의 손상은 단일 또는 복합적인 손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 이러한 방음벽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방음벽 노후도 평가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음벽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재질을 금속재, 플라스틱재, 목재, 투명재, 콘크리트재의 재질유형으로 나누고 또한, 각 재질별 손상유형을 부식, 변색, 변형, 깨짐, 탈리로 분류하여 방음벽의 손상유형을 방음벽 구성부재와 재질에 따라 세분화하였다. 방음벽 주요부위별로 각 손상유형별 손상등급을 양호, 경미, 보통, 심함으로 구분하여 방음판, 지주, 기초의 손상등급을 평가, 이를 바탕으로 부위별 노후도를 평가하여 가중평균을 통한 방음벽 전체의 노후도를 평가하는 방식을 통해서 종합적인 방음벽 노후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단일형 또는 혼합형 방음판을 사용하는 방음벽의 노후도 평가는 물론, 손상유형이 단일형 뿐만 아니라 복합형으로 나타나는 방음벽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평가가 가능한 노후도 평가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평가시스템을 통하여, 현재 설치되어 있는 방음시설의 노후화 현황을 체계적으로 파악함은 물론, 이를 토대로 방음벽의 보수 및 개량을 위한 효율적인 유지관리 계획 및 시행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