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Optimum-Path for Traffic of Road Using GIS

GIS를 이용한 도로교통(道路交通)의 최적경로(最適經路) 선정(選定)에 관한 연구

  • 오명진 (경성전문대학 토목설계과)
  • Published : 1997.12.31

Abstract

Traffic jam densified day by day is phenomenon to occur lack of the road capacity in comparison with traffic density, but lack of the road cannot be concluded by main cause of traffic ism. Because the central function of a city would be concentrated upon the downtown and traffic demand would not be evenly distributed by the classification of an hour.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the fact that each driver will select the route generating traffic delay very low when path choice from origin to destination in travel plan estimating the quality of passage could be maintained the speed he want will approach to a characteristic grasp of a road, traffic, driver changing every moment by traffic-demand of road increased as a geometrical series with analysis a classification of a street, a intersection along the path on traffic density and highway capacity analysis the path using GIS techniques about complex street network, also will get the path of actual optimum for traffic delay trend creating under various condition the classification per a hour, a day of week and an incident through network such as analysis for traffic generation zone adjacent about street, intersection, afterward will expect the result increasing efficiency of the road-use through a good distribution of traffic by optimum-path choice, accordingly will prepare the scientific, objective, appropriate basis to decide the reasonable time of a road-widen and expansion through section analysis along a rate of traffic volume vs. road capacity.

날로 심각해져 가는 교통체증은 교통량에 비해 도로용량이 부족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나, 도로부족만이 교통체증의 주요 원인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왜냐하면, 도시의 중추적 기능이 도심에 집중되어 있고 교통수요가 시간대별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개개의 운전자가 원하는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통행의 질을 평가하는 주행계획에 있어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선택 시, 교통지체가 가장 적게 발생하는 선을 선택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복잡한 가로망에 대하여 GIS기법을 이용한 경로를 교통량과 토로용량분석의 경로에 따라 가로별, 교차로별로 분석하여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토로교통수요에 따라 시시각각 변모하는 토로, 교통, 운전자특성파악에 접근하고자 하며, 또한 가로별, 교차로별로 인접한 교통유발구역에 대한 분석과 같은 네트웍으로 시간당, 일주일의 하루 및 즉시 분류를 다양한 조건하에서 발생하는 교통지체경향에 대한 실제적 최적경로를 획득하고자 하며, 차후 최적경로 선택에 따른 교통의 원활한 배분을 통해 도로이용의 효율성 증대라는 결과를 기대하고, 따라서 교통량 대 도로용량과의 비에 따른 구간분석을 통하여 도로의 확장 및 확충의 적정시기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과학적, 객관적이며 타당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