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rbicide resistance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3초

경남지역 ALS 저해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 및 분포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ALS inhibiting herbicide-resistant weeds in the paddy field of Gyeongnam province)

  • 이용현;심수용;김진원;이정란;박기웅;이증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3호
    • /
    • pp.209-218
    • /
    • 2018
  • 본 연구는 2017과 2018년에 토양검정법을 이용하여 경남 지역의 논에서 ALS 저해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생과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12년도 제초제 저항성 잡초조사의 결과와 비교하여 볼 때 경남지역 각 시 군의 논에서 조사된 ALS 저해 제초제 저항성 발생율은 1.0%에서 66.8%로, 발생면적은 876 ha에서 49,008 ha로 크게 증가하였다. 경남지역의 ALS 저해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 면적은 울산시(8.4%), 합천군(8.3%), 함안군(7.9%), 고성군(7.9%), 하동군(7.3%), 진주시(7.2%), 창녕군(7.0%), 김해시(6.4%), 밀양시(5.5%), 부산시(4.9%), 의령군(4.6%), 남해군(4.3%), 고성군(4.2%), 창원시(3.8%), 거제시(2.9%), 양산시(1.8%), 산청군(0.9%) 및 통영시(0.4%)순이였고, 함양군에서는 제초제 저항성 잡초가 발생되지 않았다. 가장 우점한 제초제 저항성 잡초는 물달개비였으며, 그 다음으로 논피, 미국외풀, 올챙이고랭이, 여뀌바늘, 알방동사니, 벗풀 및 마디꽃 순으로 발생하였다. 제초제 저항성 물달개비는 경남지역의 대부분의 시 군에서 발생하였으나, 저항성 벗풀과 마디꽃은 김해시에서만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는 ALS 저해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확산을 방지하고 효율적 관리 방안을 수립하는데 이용할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옥수수 순계주에서 CP4 5-Enol- Pyruvylshikimate-3- Phosphate Synthase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CP4 5-Enol-Pyruvylshikimate-3- Phosphate Synthase Transgene in Inbred Line of Korean Domestic Maize (Zea may L.))

  • 조미애;권석윤;김진석;이병규;문추연;최필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375-380
    • /
    • 2007
  • 국내 옥수수 순계주에서 Agrobacterium 공동배양으로 CP4 5-Enol-pyruvylshikimate-3-phosphate synthase (CP4 EPSPS) 유전자가 도입된 제초제저항성식물체를 개발하였다. 5개의 순계주 (HW1, KL103, HW3, HW4, HW7)의 미숙배를 Ubiquitin promoter-CP4 EPSPS 유전자와 CaMV35S promoter-nptII 유전자가 발현되도록 제조된 pCAMBIA2300 벡터를 C58C1 Agrobacterium에 형질전환하여 공동 배양하였다. 항생제로 paromomycin이 첨가된 배지에서 선발된 옥수수 형질전환체를 PCR, RT-PCR 및 Northern 분석을 통하여 유전자의 도입과 발현을 확인하였다. 또한 형질전환 식물체의 glyphosate 처리에 따른 shikimate 축적반응을 확인하였다. Paromomycin 저항성 캘러스 형성빈도는 옥수수 각 순계주 HW1, KL103, HW3, HW4, HW7에서 각각 0.37%, 0.03%, 2.20%, 2.37%, 0.81%로 나타났으며, PCR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2개의 옥수수 순계주 (HW3, HW4)의 paromomycin 저항성 캘러스로부터 분화된 식물체에서 확인하였다. 이러한 형질전환체중에서 RT-PCR 및 Nothern blot 분석을 통하여 CP4 EPSPS 유전자가 발현되는 2개의 계통 (M266, M104) 을 선발하였고, shikimate 축적반응을 통하여 glyphosate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계통 (M266)을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옥수수 순계주에서 제초제저항성을 갖는 옥수수 형질 전환체를 개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유전자변형 콩의 검정법 (Detection Methods for Genetically Modified Soybeans)

  • 손성한;정순일;윤문섭;김태산;박용환;김영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4호
    • /
    • pp.185-189
    • /
    • 2002
  • 우리나라의 유전자변형농산물 의무 표시제가 시행됨에 따라 수입 유전자변형농산물 중 유전자변형 콩의 혼입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검정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근사미(glyphosate)제초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토양미생물인 Agrobacterium CP4 유래의 5-enolpyruvyl shikimate-3-phosphate synthase(EPSPS) 유전자의 도입여부를 PCR로 진단할 수 있는 특이프라이머를 제작하여 제초제저항성 콩(Roundup Ready Soybean, RRS)을 검정할 수 있는 PCR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콩의 내재유전자인 lectin유전자와 RRS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duplex PCR에 의한 제초제저항성 콩의 검정법을 확립하였다. 또한 수입 콩 및 콩나물에 대하여 근사미 제초제 처리로 저항성 개체를 판별하는 생물검정법도 확립하여 저항성 개체의 잎에서 분리한 genomic DNA에 대하여 EPSPS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RRS특이적인 PCR밴드를 확인하였다. 또한 수입 콩의 백립중과 종실의 제색을 고려할 때 단일품종이 아닌 여러 품종이 혼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 논에서 제초제 저항성잡초의 발생 현황, 메카니즘 및 방제 (Current status, mechanism and control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in rice fields of Korea)

  • 박태선;성기영;조현숙;서명철;강항원;박기웅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2호
    • /
    • pp.85-99
    • /
    • 2014
  • Sulfonylurea (SU)-resistant weeds of eight annual weeds, Monochoria vaginalis, Scirpus juncoides and Cyperus difformis, etc., and four perennial weeds, Scirpus planiculmis, Sagittaria pigmaea, Eleocharis acicularis and Sagittaria trifolia as of 2013 since identification Monochoria korsakowii in the reclaimed rice field in 1998. And the resistant Echinochloa oryzoides to ACCase and ALS inhibitors has been confirmed in rice fields of the southern province, Korea in 2009. In the beginning, the M. vaginalis, S. juncoides and C. difformis of these SU-resistant weeds were rapidly and individually spreaded in different fields, however, these resistant weeds have been occurring simultaneously in the same filed recently. The resistant biotype by weed species demonstrated about 10-to 1,000-fold resistance, based on $GR_{50}$ values of the SU herbicides tested. And the resistant biotype of E. oryzoides to cyhalofop-butyl, pyriminobac-methyl, and penoxsulam was about 14, 8, and 11 times more resistant than the susceptible biotype base on $GR_{50}$ values. The products and applied area of SU-included herbicides have been increased rapidly, and have accounted for about 69% and 96% in Korea, respectively. In Korea, the main cause of SU-resistant weed is extensive use of these herbicides. The top ten herbicides by applied area were composed of all SU-included herbicides by 2003. The concentrated and successive treatment of ACCase and ALS inhibitors for control of barnyardgrass in rice led up to the resistance of E. oryzoides. Also, SU-herbicides like pyrazosulfuron-ethyl and imazosulfuron which effective to barnyardgrass can be bound up with the resistance of E. oryzoides. The ALS activity isolated from the resistant biotype of M. korsakowii to SU-herbicides tested was less sensitive than that of susceptible biotype. The concentration of herbicide required for 50% inhibition of ALS activity ($I_{50}$) of the SU-resistant M. korsakowii was 14-to 76-fold higher as compared to the susceptible biotype.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ates of [$^{14}C$]bensulfuron uptake and translocation. Acetolactate synthase (ALS) genes from M. vaginalis resistant and susceptible biotypes against SU-herbicides revealed a single amino acid substitution of proline (CCT), at 197th position based on the M. korsakowii ALS sequence numbering, to serin (TCT) in conserved domain A of the gene. Carfentrazone-ethyl and pyrazolate were used mainly to control SU-resistant M. vaginalis by 2006 in Korea. However, the alternative herbicides such as benzobicyclone, to be possible to control simultaneously the several resistant weeds, have been developing and using broadly, because the several resistant weeds have been occurring simultaneously in the same fieled. The top ten herbicides by applied area in Korea have been occupied by products of 3-way mixture type including herbicides with alternative mode of action for the herbicide resistant weeds. Mefenacet, fentrazamide and cafenstrole had excellent controlling effects on the ACCase and ALS inhibitors resistant when they were applied within 2nd leaf stage.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잡초연구 동향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Weed Science in Asia-Pacific Area)

  • 이인용;김진원;김상수;유홍재;황인성;이계환;조남규;이동국;황기환;원옥재;;고영관;최정섭;염현석;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4호
    • /
    • pp.292-305
    • /
    • 2017
  •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잡초연구자들이 모여 각 국의 문제 잡초를 파악하고 토론하여 향후 잡초연구 발전방향과 전망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제26차 아시아 태평양잡초학회는 일본 교토에서 개최되었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25개국 458명이 참석하여 20개 분야에서 325편의 학술발표가 진행되었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제초제저항성잡초, 제초제 이용, 제초제 개발, 잡초의 생태, 상호대립억제작용, 잡초관리, 외래잡초 등이었다. 이 중 제초제저항성잡초 분야는 전체 17.0%를 차지하여 가장 비중 있는 연구분야로 나타났다. Florpyauxifen-benzyl ester, triafamone, fenquinotrione, tolpyralate 등과 같은 새로운 제초제의 개발과 이용에 관한 연구들도 발표되었다. 향후 특정국가뿐만 아니라 아태지역에서는 농촌인구 감소 및 노동의 질 저하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초제의 새로운 제형 및 살포방법 개발 등이 병행되어야 하며, 각 국에서는 다소 차이는 있지만 잡초성벼와 외래잡초가 미래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될 것이고 해결책을 공동으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

조직배양(組織培養)을 통한 수도내성(水稻耐性) 카루스 선발(選拔) (Selection of Herbicide - Tolerant Rice(Oryza sativa L.) Callus by Tissue Culture)

  • 신동현;키이쓰 무디;프란시스코 제이 쟈파타;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85-293
    • /
    • 1990
  • 제초제(除草劑)에 내성(耐性) 또는 저항성(抵抗性)을 지닌 수도(水稻) 카루스를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유묘기(幼苗期)에 제초제(除草劑)에 반응(反應)을 달리하는 품종(品種)을 대상으로 카루스의 생장(生長) 반응(反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카루스 유도시(誘導時)에 thiobencarb에 감수성(感受性)을 보였던 IR28의 카루스 생장(生長)은 thiobencarb $10^{-5}$ M 및 $10^{-6}$ M에서도 억제(抑制) 되지 않아 특정(特定)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수도(水稻) 품종(品種)의 반응(反應)은 카루스의 유도기(誘導期) 및 생장기(生長期), 성식물체(成植物體)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Butachlor에 대한 IR31917-45-3-2-2의 반응(反應)도 IR28과 유사(類似)한 결과(結果)를 보였다. Thiobencarb에 내성(耐性)을 지닌 카루스를 선발(選拔)키 위하여 IR28의 카루스를 thiobencarb $10^{-6}$ M에 30일간(日間) 처리(處理)한 후(後) 고농도(高濃度)인 $10^{-5}$ M에 옮겨 치상(置床)시킨 결과(結果) 카루스의 생체중(生體重)은 전혀 억제(抑制) 되지 않아서 제초제(除草劑) 내성세포(耐性細胞)를 선발(選拔)키 위해서는 제초제(除草劑)의 농도(濃度)를 점진적(漸進的)으로 높이는 것이 유용(有用)한 선발방법(選拔方法)이 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논잡초 발생양상 및 논 제초제 사용 실태조사 (Fact-finding Survey on Occurrence of Paddy Field Weeds and The Use of Paddy Field Herbicides at Farmer's Level in Korea)

  • 김창석;이정란;원태진;서영호;김은정;이순계;조승현;권오도;김상국;정완규;박태선;문병철;박재읍;이인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6-12
    • /
    • 2012
  • 논잡초의 발생상황 및 농가수준에서 논 제초제 사용을 파악하여 농가지도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전국 농업인 1,029명을 대상으로 논에서의 우점잡초, 선호 제초제, 논제초제의 사용방법 등을 설문조사하였다. 논에 발생하는 우점잡초로는 피, 물달개비, 벗풀,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순이었으며, 제초제 저항성잡초로 의심되는 초종은 물달개비, 논피(강피), 올미 등으로 응답하였다. 논 제초제의 사용 선정은 자기 경험에 의한 것이 34.0%, 농약판매상 추천이 33.9%이었다. 농가에서 한번만 제초제를 처리하는 경우는 15.6%인 반면에 2회 처리하는 농가는 75.6%이었다. 농가에서 선호하는 제초제는 옥사디아존유제, 뷰타클로르입제, 뷰타클로르캡슐현탁제, 메페나셋 피라조설퓨론 에틸액상수화제, 옥사디아길유제 순이었으며, 경엽처리제 중에서는 벤타존 엠시피에이액제, 벤타존 사이할로포트 뷰틸미탁제가 각각 48.5%, 22.3%로 농가에서 많이 사용되는 제초제이었다.

토양검정법을 활용한 충북지역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 현황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ALS Inhibiting Herbicide Resistant Paddy Weeds by Using Soil Test in Chungcheongbuk-Do of Republic of Korea)

  • 이채영;최예슬;이희두;김영호;홍성택;우선희;이정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3호
    • /
    • pp.181-190
    • /
    • 2018
  • 본 연구는 2017년 2월부터 4월까지 충북지역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11개 시 군 289지점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였다. 충북지역의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을 조사한 결과, 시 군별 최우점 잡초는 물달개비이었고, 그 다음은 강피였다. 충북지역의 제초제 저항성 잡초 발생비율과 면적은 각각 80.6%, 28,272 ha로 지난 2012년 보다 3배 증가하였다. 옥천군의 저항성 발생율이 93.8%로 가장 높았고, 충주시, 보은군, 영동군, 진천군과 괴산군이 80% 이상, 청주시, 음성군, 증평군이 70% 이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발생면적은 청주시가 6,957 ha로 가장 많았고, 충주시, 진천군, 보은군, 음성군의 순으로 높았다. 초종별 제초제 저항성 비율과 면적은 물달개비 49%, 17,646 ha, 강피 44%, 15,617 ha, 올챙이고랭이 29%, 10,377 ha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충북지역 모든 지역에서 물달개비와 강피는 acetolactate synthase (ALS) 저해제 제초제에 저항성이 40% 이상이므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현재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대부분의 농가가 이앙 후 10일 이전에 제초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앙 후에도 관리가 필요하며, 매년 적용 제초제를 교호 살포하는 방법으로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생을 줄여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