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rb extracts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38초

고항산화능 소재 선발을 바탕으로 한 산수유와 황금을 이용한 약주 개발 (Development of Rice Wines Using Cornus officinalis and Scutellaria baicalensis by Antioxidant Activity Tests)

  • 이승주;김은혜;이형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1-30
    • /
    • 2008
  • 약주 개발을 위한 기능성 소재의 선발을 위해서 총 27종의 약초를 선별하여 45% 에탄올, 15% 에탄올, 물로 각각 추출하여 그 원액과 4단계의 농도에 대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여 항산화능이 전반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난 산수유와 황금이 약주 개발을 위한 주요 부재료로 선정되었다. 산수유를 주요 약재로 하는 약주의 개발은 과일향이 강하고 로제와인과 같은 붉은 색상을 내는 제품으로 개발하였고 황금을 사용하는 경우는 고 항산화능의 기능성 약주 컨셉에 맞게 한약재 향이 적당하고 일반적인 약주의 색상인 노란빛을 띠는 제품으로 개발되었다. 각각의 제품의 특성을 보강하기 위해 자초, 황정, 진피가 부재재로 첨가되었다. 개발 제품의 항산화능 분석 결과 시판 제품에 비해 황금주의 항산화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산수유주는 기존 제품 중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보인 제품과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종의 개발 제품에 대한 기호도 조사 결과 황금주의 경우 신맛과 한약재맛의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산수유주의 경우 산수유의 첨가량 조절을 통한 과일향 증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최종 제품 출시를 위해 기호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배합비를 조정하고 기존 시판 제품과의 비교 기호도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며 개발된 제조기술은 현지의 기술 지도를 통하여 제품의 산업화 및 상품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방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 from Bangah Herb)

  • 지옥화;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57-1163
    • /
    • 1996
  • 방아의 ether추출물을 중성, 페놀성, 산성 및 염기성 획분으로 분획한 다음 그들의 항산화 활성을 수소 공여능, 과산화물가, TBA가 및 흰쥐 간 microsome을 이용한 비효소적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 등으로 측정하고, 항산화 활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페놀성 획분과 중성 획분을 다시 소획분으로 분획한 다음 그중에서 항산화 활성이 강한 소획분성분을 GC/MS 및 NMR로 분석, 동정하였다. 페놀성 획분은 DPPH에 의한 수소 공여능, POV, TBA가 및 흰쥐 간 microsome의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 등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중성 획분은 흰쥐 간 microsome의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페놀성 획분을 소획분으로 분획하였을 때 소획분 P-1, P-2 및 P-3에서 항산화 활성이 강하였으며, 특히 P-2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나 천연 항산화물질로 알려져 있는 caffeic acid보다도 강하였다. 소획분 P-2를 TMS 유도체로 만들어 GC로 분석하였을 때 major peak 성분인 Peak I, II, III 및 IV 모두 TMS m/z 73를 base peak로 가지고 있어 4개의 peak 모두 -OH, -COOH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중성 획분의 소획분 중에는 N-2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소획분 N-2의 주성분을GC/MS 및 NMR로 분석 한 결과 estragole로 확인되었다. Estragole의 흰쥐 간 microsome의 지질 과산화 50% 억제 농도는 $20{\sim}50\;{\mu}g/ml$로서 BHT보다는 약하였으니 caffeic acid, gallic acid와는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추출방법에 따른 애플민트의 향기특성 (Aroma Characteristics of Applemint (Mentha rotundifolia(L.) Huds)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민용규;윤향식;김지연;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65-1470
    • /
    • 1999
  • 충북청원에서 재배되고 있는 애플민트(Mentha rotundifolia(L) Huds)의 향기성분과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SDE, SFE, headspace 추출하여 GC, GC/MS로 동정하였으며 GC-sniffing test로 향기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67개의 화합물이 동정되었으며 SDE 추출물에서는 39개, SFE추출물에서는 42개, headspace 추출물에서는 16개가 동정되었다. 동정된 화합물 중 SDE와 headspace추출물은 terpene화합물이, SFE추출물은 hydrocarbone류가 여러종류로 나타났다. 그러나 SDE와 SFE추출물의 주성분은 piperitenone oxide, germacrene-D, trans sabinene hydrate등으로 유사하였으나 headspace추출물은 3-octanol, 1,8-cineol, camphene, benzeneacetadehyde등으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Sniffing test로 향기특성과 강도 및 화합물을 동정한 결과 SDE추출물을 구성하는 주된 향기특성으로는 상큼한 단내와 사과냄새(ethyl 2-methyl butanoate), 단내와 과일내$({\alpha}-thujene)$, 생버섯내(1-octen-3-ol, 3-octanol) 그리고 쓴 약초향$({\delta}-cadidene)$이었다. Headspace 추출물의 주된 향기특성으로는 알코올내, 상큼한 단내와 사과냄새(ethyl 2-methyl butanoate), 화학적이고 불쾌한내 그리고 쓴약초와 풀내(camphene)로 나타났다.

  • PDF

성숙도에 따른 복분자 열매의 미백 활성 비교 (Comparison of whitening effect of Rubus coreanus fruit according to maturity)

  • 박정용;이지연;서경혜;장귀영;이승은;지윤정;김형돈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2호
    • /
    • pp.121-12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 열매의 성숙도에 따른 미백 활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B16F10 cell에서 melanin 생성량을 측정하고, 기능성분인 ellagic acid의 함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ellagic acid의 함량에 따른 tyrosinase 저해 활성도 측정하였다. B16F10 cell에서 MRF 및 IRF 추출물은 200 ㎍/mL 농도까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Melanin 생성량은MRF 추출물에 비해 IRF 추출물에서 더 좋은 억제 활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복분자 성숙도에 따른 ellagic acid의 함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 MRF 추출물에 비해 IRF 추출물에서 ellagic acid의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고, tyrosinase 저해 활성 평가에서도 MRF 추출물에 비해 IRF 추출물에서 더 좋은 억제 활성을 보였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MRF 추출물에 비해 IRF 추출물에서 ellagic acid의 함량이 더 높았으며, 이로 인해 tyrosinase의 저해 및 melanin 생성 억제 또한 IRF 추출물에서 더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복분자 미성숙과는 천연 미백 소재로써 우수한 기능성 화장품 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Lactic acid bacteria를 이용한 마늘 고체 발효에 따른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Solid-fermentation Garlic with Lactic Acid Bacteria)

  • 이중복;주우홍;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6-452
    • /
    • 2016
  • 마늘(Allium sativum L.)은 많은 아시아 지역의 나라에서 민간요법 및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국내 전통채소류들은 다양한 기능성과 강한 생리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능성 식품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고체마늘 발효에 따른 생리활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마늘 고체 발효를 위해 유산균을 한국전통 발효식품인 젓갈로부터 분리 및 KCTC로 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발효유산균 선별은 MRS 고체배지에 디스크법을 이용하여 마늘 착즙액에 저항을 보이며 증식하는 유산균을 선택하였다. 선별된 유산균을 이용한 마늘 고체발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농도가 731.0-845.2 ug/g과 92.68-413.58 ug/g로 각각 조사되었다. 그리고 DPPH 라디컬 활성과 SOD 유사활성은 양성대조구인 비타민 C 50 ppm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항당뇨 활성인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유산균 발효마늘에서 양성대조구인 acarbose 50 ppm 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 유산균 발효 마늘의 생리학적 활성을 증대를 통해 향후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갖는 유산균 발효 마늘의 개발을 위해 유산균을 활용이 가능하며, 발효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식·음료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제충국화(除?菊花) 추출물(抽出物)의 항진균작용(抗眞菌作用) (Antifungal Activity of Extracts from Pyrethrum Cinerariaefolium V.)

  • 이종화;조선희;송병숙;백운상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9-63
    • /
    • 1973
  • Although numerous drugs are available for the treatment of superficial fungi infections of skin, and yet the clinical effects of most of such drugs are not satisfactory. In the hope of searching for effective drugs for superficial fungi infections, the authors observed fungistatic effects of Pyrethri Flos, a common herb in Korea, with water extract (PFWE), ethanol extract (PFEE), and methanol extract (PFME) from Pyrethrum cinerariaefolium V. In in vitro studies, the spores of fungi were inoculated on Sabouraud's glucose agar media which contained Pyrethri Flos extracts in each concentrations of $500\;{\mu}g/ml$, $1,000\;{\mu}g/ml$ and $5,000\;{\mu}g/ml$ respectively, and the growth of the fungi was observed for 3 weeks. The species of the fungi used in these experiments were Epidermophyton floccosum, Microsporum canis, Microsporum nanum, Microsporum gypseum, Microsporum cookei, Trichophyton rubr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richophyton tonsurans and Trichophyton verrucosum.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as follows; 1. The growth of M. nanum & T. rubrum was slightly inhibited by PFWE $500\;{\mu}g/ml$, and the growth of M. nanum, M. cookei & T. rubrum was slightly inhibited by PFWE $1,000\;{\mu}g/ml$. The growth of E. floccosum, M. gypseum & M. cookei was slightly inhibited, however the growth of M. canis, M. nanum,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PFWE $5,000\;{\mu}g/ml$. With $500\;{\mu}g/ml$ of PFEE, the growth of M. canis, M. nanum,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nd moderate inhibition of M. cookei growth and slight inhibition E. floccosum & M. gypseum were observed. The growth of M. canis, M. nanum,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nd the growth of E. floccosum, M. gypseum & M. cookei was moderately inhibited by PFEE $1,000\;{\mu}g/ml$. Significant inhibitions of the growth of E. floccosum, M. canis, M. nanum, M. gypseum, M. cookei,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ere observed by PFEE $5,000\;{\mu}g/ml$. 3. The growth of E. floccosum & M. cookei was moderately inhibited, and the growth of M. canis, M. nanum, M. gypseum, M.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PFME $500\;{\mu}g/ml$. But the growth of E. floccosum, M. canis, M. nanum, M. gypseum, M. cookei,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nd the growth of T. verrucosum was slightly inhibited in both PFME $1,000\;{\mu}g/ml$ and $5,000\;{\mu}g/ml$.

  • PDF

국내 자생 향장식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Korea Endemic Herb Plants)

  • 차재영;하세은;심선미;박종군;정연옥;김현중;박노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8-233
    • /
    • 2008
  • 본 연구는 60여 종의 자생 향장식물 및 한약재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양성 대조군인 페녹시에탄올을 처리한 군에서의 저해존의 크기에 대한 실험군의 상대적 비율을 분석한 결과 P. aeruginosa 에 대해서는 단삼과 황련에서 가장 강한 항균력이 나타났다. 이는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단삼의 경우 97%, 황련의 경우 84% 에 해당하였으며 그 외에도 작약, 스테비아, 때죽나무, 후리지아, 생강나무, 뽕나무, 오배자, 지유, 황금에서 항균력이 나타났다. S. aureus에 대해서는 오배자, 황련, 단삼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이는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오배자의 경우 78%, 황련의 경우 99%, 단삼의 경우 92%에 해당하였다. 또한 작약, 찔레, 스테비아, 창포, 후리지아, 오디, 생강나무, 구절초, 고삼, 관중, 지유, 황금, 은행나무, 소나무, 인동초, 이나무에서 항균력을 나타냈다. C. albicans에 대해서는 황금의 경우 35%, 황련의 경우 33%의 항균 활성을 보였다. M. furfur에 대해서는 오배자에서 가장 강한 항균력이 나타났는데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57%에 해당하였으며 그 외에도 작약, 찔레, 황련, 진피, 목단피에서 항균력이 나타났다. P. acnes 에 대해서는 황련, 단삼, 오배자, 작약에서 가장 강한 항균력이 나타났다. 이는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황련과 단삼의 경우 99%, 오배자의 경우 87%에 해당하였으며, 작약의 경우 꽃에서 추출한 경우 89%, 줄기에서 추출한 경우 35%, 뿌리에서 추출한 경우 22%에 해당하였다. 또한 찔레, 스테비아, 창포, 오디, 오이, 은방울꽃, 생강나무, 구절초, 고삼, 관중, 지유, 후박에서도 항균력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지리산 자생식물 중에서는 작약, 찔레, 생강나무, 구절초, 소나무에서, 한약재 중에서는 황련, 오배자, 지유, 단삼, 황금에서 강한 항균력을 보였고, 관련되는 성분과 가능한 작용 방식을 논의하였다.

해당화의 과육 및 종자추출물의 대식세포 면역조절작용 (Immunomodulatory Effects of Fructus and Semen from Rosa rugosa on Macrophages)

  • 강남성;손은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99-405
    • /
    • 2010
  • 현재 임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항암요법들은 많은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부작용에 의하여 또다른 질환을 야기하는 것이 항암치료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부작용을 줄이고 항암요법을 유지시키는 방법으로, 인체 안전하다고 보고된 천연물을 이용하여 면역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인체내 항암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BRM들을 개발하는 연구가 큰 의미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간요법으로 이미 사용되고 있는 해당화의 macrophage의 활성화에 대한 BRM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과육(RRF)과 종자(RRS)의 부위별 추출물로 그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RRF는 암세포 자체에 대한 세포독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나, macrophage의 활성화에 의한 항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항암 효과는 macrophage의 활성화에 의한 증가되는 NO 및 TNF-$\alpha$와 같은 암세포 독성물질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RRF 처리에 의하여 활성화된 macrophage는 NO 분비에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RRF의 처리는 TNF-$\alpha$ 분비를 증가시켰으나, macrophage의 활성화에 의해 암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던 RRS에서도 TNF-$\alpha$ 분비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TNF-$\alpha$ 분비만으로는 macrophage의 항암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내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들은 종합해 볼 때, RRF는 RRS와는 달리 macrophage를 활성화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phagocytosis 능력도 증가시켰다. RRF는 TNF-$\alpha$ 등의 분비조절과 같이 RRS와는 다르게 macrophage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임상적으로 적용시 RRF가 RRS보다 세포독성 측면에서도 안전하고, macrophage의 활성화 효과 측면에서도 유의성이 높을 것으로 평가 된다.

인동초로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항암 및 알레르기 억제효과 검증 (Effect of Mycelia Extracts from Lentinus edodes Mushroom-Cultured Lonicera japonica Thunberg on Anticancer and Antiallergy Activities)

  • 배만종;예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24-430
    • /
    • 2007
  • 인동초를 이용하여 표고균사체를 접종, 배양하여 얻어진 인동초균사체 추출액의 간암세포, 유방암세포, 자궁경부암세포 그리고 고형암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3가지 암세포의 형태변화 및 증식 억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암세포와 유방암세포에서 암세포에 대한 특이적 형태변화가 관찰되었고, 특히 간암세포에서 인동초균사체 추출물이 인동초추출물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동초균사체를 간암세포에 3mg/mL로 처리했을 때 $85.60{\pm}4.66%$의 암세포 증식억제율을 나타내어 인동초를 처리한 것보다 암세포 증식 억제율이 61.10% 높았다. 유방암세포에서는 인동초 및 인동초균사체를 처리한 것 모두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율을 보였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경부암세포에서는 인동초 및 인동초균사체를 처리한 것 모두 암세포 증식억제율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형암 억제효과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인동초균사체 추출물에서 고형암이 61% 억제되었으며, 인동초균사체가 인동초추출물보다 고형암 억제효과가 30%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히스타민 유리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compound 48/80처리군에 비해 인동초추출물은 9.07%, 인동초균사체 추출물은 43.05%의 히스타민 분비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화사설초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HL-60 세포고사과정에 있어서의 transcriptional factors 활성변화 연구 (Study on Transcriptional Factors Activation Change of HL-60 cell Apoptosis by Hedyotis Diffusa's Methanol Extract)

  • 박상구;이지현;문구;문석재;원진희;박래길
    • 대한한방종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7-79
    • /
    • 2000
  • Objective : Hedyotis diffusa has been used as an anticancer agent for several decades in oriental medicine. We test whether the methanol extract of the herb affects transcriptional activation factors including $NF-{\kappa}B$ and AP-1. Methods : 1. HL-60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from 200 to $50{\mu}g/ml$) of methanol extract and $H_2O$ extract($200{\mu}g/ml$)of hedyotis diffusa, After 48h later, the cells were tested for viability by MTT assay. 2. The HL-60 cells were treated with $200{\mu}g/ml$ of methanol extract for the indicated periods. First. Nuclear extracts were isolated and incubated with oligonucleotide probe of $NF-{\kappa}B$ and AP-1. Second. Nuclear extracts were isolated and reacted with p50, p65. c-rel pan-Jun, c-Jun, JunB. JunD antibody on ice for 30min. Finally The cell lysates were prepared and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using anti-Fas, anti-FasL and anti-p53 antibody. Results : 1. The methanol extract decreases the viability of human lymphoid origin leukemia HL-60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2. $NF-{\kappa}B$ is rapidly activated by the addition of the methanol extract, reaches a peak at 30min and gradually returns to resting level. We confirm that $NF-{\kappa}B$ is a heterodimer mainly composed of p65 subunit with c-Rel. 3.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AP-1 is detected at 30min and reaches a maximum at 1hr after stimulation of the cells with the methanol extract. AP-1 is mainly composed with Jur-D and partially Jug-B proteins. 4. the methanol extract of Hedyotis diffusa induces the expression of Fas, Fas ligand and p53 proteins of HL-60 cells in a time dependent fash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thanol extract of Hedyotis diffusa exerts anticancer effects to induce the death of human leukomic HL-60 cells via activation of trascriptional factors such as $NF-{\kappa}B$ and AP-1, increase in expression of Fas mediated signalling proteins, and induction of tumor suppressor gene. p5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