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mp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초

미세역학시험법과 접촉각 측정을 통한 변형된 Jute와 Hemp섬유 강화 Polypropylene (PP)-Maleic Anhydride Polypropylene Copolymers (PP-MAPP) 복합재료의 계면 및 표면에너지 평가 (Interfacial and Surface Energies Evaluation of Modified Jute and Hemp Fibers/Polypropylene (PP)-Maleic Anhydride Polypropylene Copolymers (PP-MAPP) Composites using Micromechanical Technique and Contact Angle Measurement)

  • 박종만;트란콩손;정진규;김성주;황병선
    • 접착 및 계면
    • /
    • 제7권2호
    • /
    • pp.1-11
    • /
    • 2006
  • 미처리 Jute와 Hemp섬유와 처리된 Jute와 Hemp섬유가 강화된 polypropylene-maleic anhydride-g-polypropylene copolymer (PP-MAPP) 복합재료의 계면 물성을 미세역학시험법과 동적접촉각 측정을 통해서 평가하였다. Jute와 Hemp섬유의 통계적인 인장강도의 경우 두 형태 와이블 분포가 단일 형태 분포보다 더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천연섬유 복합재료의 계면전단강도(IFSS)에 대한 산-염기 상호작용변수는 접착일($W_a$)의 계산을 통해 그 특성을 기술 할 수 있다. 천연섬유에 대한 알칼리, 실란커플링제의 영향은 PP-MAPP 기지재의 MAPP 함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었다. 알칼리 처리된 Jute와 Hemp섬유의 경우 약한 계면층이 모두 제거되고 표면적이 증가됨으로 인해 표면에너지는 더 증가하였다. 반면 실란 커플링제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된 Jute와 Hemp 섬유의 경우 차단된 높은 에너지의 기들로 인해 표면에너지는 감소하였다. PP-MAPP기지재속의 MAPP의 함량증가는 산-염기 기의 도입으로 인해 표면에너지는 증가하였다. 두 천연섬유 복합재료의 미세파괴 형상은 두 섬유의 인장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명확히 구분되었다.

  • PDF

식물 섬유 특성에 관한 연구 -어저귀, 칡, 닥, 실유카, 신서란, 옥수수를 중심으로- (The Properties of Plant Fibers -Kuzu Vine, Indian Mallow, Mulberry Paper, Yucca, New Zealand Hemp, and Corn Fibers-)

  • 배현영;이혜자;유혜자;한영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98-607
    • /
    • 2008
  • Bast fibers were applied for various usages from fabrics to household care products long time ago.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characteristrus of water retted & chemically rotted fibers of Yucca, New Zealand hemp, Corn, Kuzu vine, Indian mallow, and Mulberry paper that have been harvested by domestic cultivation. Water retting is more effective than chemical rotting for six kinds of plant fibers. When all fibers were rotted chemically with 1% sodium hydroxide, only Kuzu vine and Indian mallow were retted. Indian mallow, Yucca, New Zealand hemp, and Com fibers have higher tensile strength than any other fibers. The crystallinity of Kuzu vine, Indian mallow, Yucca, New Zealand hemp, and Corn was as low as 60% but Yucca, New Zealand hemp were flexible. Yucca had fewer lumina whereas New Zealand hemp more lumina in cross sectional shape. Especially com fibers have a structure like sponge, and Indian mallow had a net shape. The longitudinal section of New Zealand hemp showed smooth and long shape. Mulberry paper was proved to be short and thin, which is quite appropriate for making paper. In this study, we found that plant fibers for living material could be used for cloth materials.

펄프.제지용 원료로서의 삼 섬유 이용에 관한 연구(제 1보) -대마 구성 세포의 현미경적 관찰- (Effective Utilization of Hemp Fiber for Pulp and Papermaking (I)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emp Fiber-)

  • 윤승락;이명구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1호
    • /
    • pp.7-12
    • /
    • 2010
  •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emp fiber were investigated using a light microscope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use of hemp as a papermaking law material. Phloem of hemp is composed of cortical parenchyma cells and bast fiber with thick walls while xylem is composed of vessel, wood fiber and ray parenchyma cells. Also there are solitary pore and radial pore multiple which exist in diffuse porous pattern. Ray cells consist of uniseriate rays and thin walled ray parenchyma cells. Wood fibers are composed of three types: a large diameter fiber with longer length; a large diameter fiber with shorter length; a small diameter fiber with medium length. Vessel elements are composed of: a medium length one; a longer length one; the one whose both end walls have ligules or tails. Parenchyma cells in xylem and pit parenchyma cells have completely different size and shape. For bast fiber, the average length is about 4.4 mm and the width is about $30.5\;{\mu}m$; for vessel element, $600.0\;{\mu}m$ in length and $493.6\;{\mu}m$ in width; for wood fiber, $1000\;{\mu}m$ and $38.9\;{\mu}m$; for parenchyma cell, $50\;{\mu}m$ and $26.4\;{\mu}m$.

전자빔 처리가 대마 인피섬유의 펄프화 및 초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n Beam Treatm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Pulping and Papermaking of Hemp Bast Fibers)

  • 배백현;서재환;정진호;이재정;백기현;김형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4권4호
    • /
    • pp.51-61
    • /
    • 2012
  • The new alkali pulping process combined with electron beam treatment was applied to utilize hemp bast tissues as a new valuable fibrous resource. Hemp bast tissues have some chemical properties with high lignin contents and holocellulose not to be defiberized by alkali pulping only, compared with the bast tissue of paper mulberry. To make up for the weakness of traditional alkali pulping process, electron beams were directly irradiated into the swelled bast tissue of hemp in NaOH solution and distilled water, and then facilitated the defiberization of hemp bast tissues. The papermaking from hemp bast fibers manufactured by the combination pulping process showed good apparent density, formation structure and air permeability, and had some mechanical properties with lower tensile, tear, burst strength and folding endurance. It is finally concluded that the combination pulping process with electron beam treatment could be suggested a new alternative for non-woody fibers.

헴프 부산물의 열분해 특성 연구 (Pyrolysis Characteristics of Hemp By-products (Stem, Root and Bast))

  • 최경호;김승수;김진수;주동식;이장국
    • 공업화학
    • /
    • 제22권5호
    • /
    • pp.508-513
    • /
    • 2011
  • 헴프(Hemp)는 빠른 성장과 재배가 용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인피(Bast)는 섬유산업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피를 제외한 줄기(Stem)와 뿌리(Root)는 활용분야가 없어 대부분 부산물로서 폐기되고 있다. 이러한 헴프 부산물은 바이오-오일과 같은 바이오연료나 활성탄의 원료물질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헴프 줄기, 뿌리 및 인피를 대상으로 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TGA를 이용해 열중량분석을 수행한 결과 헴프 부산물들의 분해영역은 대부분 $270{\sim}370^{\circ}C$ 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TGA 분석으로부터 얻은 실험데이터는 미분법을 적용하여 전화율 변화에 따라 활성화에너지와 전지수인자를 계산하였다. 열분해반응에서 활성화에너지는 전화율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압출성형 삼종실의 이화학적 특성과 에너지바의 제조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Defatted Hemp Seed and Its Energy Bar Manufacturing)

  • 구본재;;류기형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27-134
    • /
    • 2010
  • 압출성형의 이점을 활용하여 영양적으로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조직감과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에너지바를 제조하기 위해서 탈지 삼종실 압출성형물의 팽화율, 밀도, 파괴력, 겉보기탄성계수, 수분흡착지수와 수분용해지수, 페이스트 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압출성형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탈지 삼종실 에너지바 제조 후 품질특성 조사를 위해 수분함량, 색도, 관능검사를 측정하였다. 압출성형 공정변수는 수분함량(20, 25%), 배럴온도(110, 130$^{\circ}C$)이였으며 수분함량 20%, 배럴온도 130$^{\circ}C$에서 팽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밀도, 파괴력, 탄성계수가 낮았다.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흡착지수가 증가하였으며 수분용해지수는 배럴온도 130$^{\circ}C$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압출성형 탈지 삼종실은 페이스트 점도 값이 낮게 나타났으며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값은 수분함량 20%, 배럴온도 130$^{\circ}C$ 에서 항산화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탈지 삼종실 에너지바 제조 30일 후에 수분함량은 0.60-1.13% 상승하였으며 백색도와 황색도는 감소, 적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압출성형 변수가 수분함량 20%, 배럴온도 130$^{\circ}C$이며 탈지 삼종실이 첨가된 에너지바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압출성형을 이용하여 삼종실을 첨가한 에너지바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중간소재인 압출성형물의 공정 변수는 수분함량 20%, 배럴온도 130$^{\circ}C$에서 가장 좋은 조건으로 판단되었다.

'삼가마' 유구에 대한 민속학적논증 '삼가마'(삼굿)의 축조와 구조, 운용에 대한 현지조사 보고 (A Folkloric Demonstration on 'Sam-gama' The Field Report on the Construction, Structure and Utilization of 'Sam-gama')

  • 임형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4호
    • /
    • pp.4-19
    • /
    • 2009
  • 최근 고고학적 경향 중 삼 찌는 시설인 '삼가마' 유구의 보고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이들 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복원은 보기 어렵다. 게다가 삼을 찌는 기술이 시대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 그 내용에 대한 논의도 찾기 어렵다. 이 글은 최근 강원도 정선 지역에서 재현한 전통적인 '삼굿'을 현지조사하고 삼굿의 축조와 구조, 운용에 대한 보고서로서, 위 두 가지 질문에 앞서 '전통적인 삼굿의 실상'을 민속지적으로 설명하고자 할 것이다. '삼굿'은 삼(대마)에서 인피섬유를 얻기 위해 삼을 찌는 시설이다. 삼굿은 물가에 터를 잡고 설치하며, 불을 지펴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화집'과 삼을 쌓아 익히는 '?곳'으로 구성된다. 화집에 아래에는 굵은 통나무를 쌓고 위에는 돌을 두르듯이 쌓는다. 아래쪽 나무에 불이 붙어 돌을 뜨겁게 달구면, 달구어진 돌 위에 풀과 흙을 덮고 물을 붓게 되는데, 돌에 닿아 발생한 뜨거운 수증기는 '?곳'으로 전달되어 삼을 찌게 되는 것이다. '삼굿'은 집약적인 노동력의 동원과 함께 순간적으로 고온의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것과, 이 수증기를 전달하고 효율적으로 집중하는 목적에 맞게 축조된다. 땅을 파서 축조된 삼굿은 일회성 시설이며, 사용 후 폐기된다. 삼을 찌기 위해 높은 화력을 만들지만 그 화력이 토양에 흔적을 남기기는 어려우며, 이런 이유 때문에 현재 발견되는 삼가마 유구의 존재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삼굿에 대한 보다 다양한 자료가 수집되어야 하며, 삼에서 인피부(靭皮部)를 분리하는 다양한 기술을 검토해야 한다.

HEMP 분석과 방호 효율성 (HEMP Analysis and Shielding Effectiveness)

  • 이선의;김진영;박우철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0-2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HEMP의 개념을 소개하고, 안테나 요소의 배치 변화에 따른 방호 효율성을 분석한다. 높은 주파수의 EMP를 맥스웰 방정식을 이용하여 LOS에서 근사한다. 전자기파 감쇄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차폐룸을 구성하여 측정 데이타를 얻는데 이용한다. 수신 안테나의 거리와 주파수를 변화시켜 차폐 정도를 측정한다. 기준이 되는 미국 규격문서와 측정값을 비교하고 측정방법을 간소화해본다. 차폐룸 내부를 3가지 조건으로 만들어 변화를 차폐 정도를 측정한다. 정방향 측정과 역방향 측정의 차이를 살펴보고 차폐룸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찾는다.

Influence of Extruded Hemp-Rice Flour Addition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Wheat Bread

  • Wang, Yuan-Yuan;Norajit, Krittika;Ryu, Gi-Hy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62-66
    • /
    • 2011
  • Functional foods play an important role in daily diet, human health and the food industry. Hemp was reported to have many advantages for nutritional and medicinal usage. In this study, extruded hemp-rice (EHR) flour, containing 30% hemp, was mixed with the wheat flour to create bread loaves at the concentrations of 5, 10 and 15%. Bread made from 100% wheat flour (with no added EHR flour) was used as a control. The physical parameters, including expansion ratio, specific volume and crust/crumb color were evaluated separately. In addition, changes in hardness of the bread during storage at ambient temperature for 3 days were also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10%-EHR bread exhibited the highest hardness value, while 15%-EHR bread presented the lowest. The bread containing EHR flour had lower specific volume and bigger air cells compared to the control. Moreover, the crust and crumb color of EHR-containing bread was significantly darker than those of the control. In this study, the 15%-EHR bread showed higher specific volume, lower hardness and bigger air cell structures.

대가야직물의 특성과 제직기법 (The Characteristics and Weaving Method of Textiles in Daegaya Period)

  • 박윤미;정복남
    • 복식
    • /
    • 제57권1호
    • /
    • pp.163-175
    • /
    • 2007
  • This study examines 74 pieces of textiles of Daegaya found in the Jeesan-dong Tomb and Saeng-cho Tomb, and analyzes their characteristics and weaving techniques. Dagaya is known to have produced ramie and hemp from bast fibers. The hemp textiles were all woven in plain weave, and the ramie textiles were woven either in plain weave or plain braid. The ramie textiles were slightly more dense compared to the hemp textiles, however, both had average densities between 0.92 to 0.93, showing that they are balanced plain weave textiles. It was also found that S twist threads were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hemp and ramie textiles. The dyed textiles on iron remains were found to be the oldest textiles to use dying techniques for patterns. Silk textiles were woven in plain weave, twill weave, and leno weave. All of the silk were made with non-twisted thread. The densities were between 30 to 58.3 and the the density rates were 1.0 to 2.5 for plain weave silk, this showed that varieties of plain weaver created by different densities of warp and well. The average density of cho was $53.4{\times}22.5/cm^2$ the density rate was about 2.40, therefore warp was woven more dense compared to the weft. There were degummed and raw silk used in silk textiles, but most of them were found to be degummed th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