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donic price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4초

스마트웨어 수용의도 연구: 확장된 UTAUT 모형을 중심으로 (Research on Intention to Adopt Smart Wear: Based on Extended UTAUT Model)

  • 성희원;성정환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2호
    • /
    • pp.69-84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ntion to adopt smart wear, based on extended UTAUT model. We examined the effects of performance expectancy (PE), effort expectancy (EE), hedonic motivation (HE), social influence (SI), facilitating conditions (FC), and price value (PV) on the intended adoption of smart watch and smart shoes, respectively. In addition,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ge, and innovation resistance were examine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comprised of 2030 consumers who were aware of smart watch or smart shoes. In total, 393 responses were analyzed. About 50.4% were male, and 44.8% were in their 20'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generated five factors - PE & HM, EE, SI, FC, and PV- which were employ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PE & HM, PV, and SI influenced on the intention to use both smart devices. FC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intention to adopt the smart watch.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s, SI and PV were the important predictors of the intention to adopt the smart watch in the female group only. With respect to age difference, SI was very effective in explaining the intention of individuals in their 30's to adopt smart wear. Among the low innovation resistance group, SI was significant predictor, while PE & HE and PV were significant among the high resistance group. The findings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adoption of smart wear, and new insight into market segmentation.

베트남 MZ세대의 다차원적 소비가치에 대한 연구 -소비가치 요인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글로벌 소비성향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ultidimensional Consumption Value of Vietnamese MZ Genera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Facto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Global Consumption Propensity-)

  • 추호정;장주연;백은수;이하경;김하빈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848-867
    • /
    • 2022
  • As an emerging market with rapid economic growth, while being a key region of the K-culture expansion, Vietnam draws increasing scientific atten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MZ generation, Vietnam's leading consumer group, revealing their consumption value structure. An online survey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purposes, investigating 368 Vietnamese consumers between 18-37 years of age. Six value dimensions were derived as results of the present analysis: functional, emotional, social, ethical, self-expression, and autonomy-oriented value. Among them, functional value includes two sub-dimensions of utility and price, while emotional value entails three sub-dimensions, namely hedonism, novelty, and aesthetics. 'Self-expression value' and 'autonomy-oriented valu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who actively express themselves and respect proactive decision-making, are becoming important standards of the consumption attitude of young Vietnamese. Moreover, the pursuit of 'novelty' was derived as a factor reflecting emotional values, revealing an association between hedonic consumption, and seeking for newness and difference. Furtherm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consumption value dimension, respectiv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global consumption propensity were investigated. The present findings aim to provide insights into young Vietnamese consumers' attitudes and inten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확장된 통합기술수용이론을 활용한 중국 온라인 패션 플랫폼 소비자의 사용의도가 사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Behavioral Intention on Usage Behavior of Chinese Online Fashion Platform Consumers Using the Expand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 Focusing on Generation MZ -)

  • 이자미;김진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1-30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echnical acceptance factors of Chinese MZ generation consumers' use of online fashion platforms on behavioral intentions and usage behavior, and to determine whether satisfaction plays an additional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tentions and usage behavior.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that influence Generation MZ consumers when they use online fashion platforms, it was found that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hedonic motivation, price value, habit, and content quality significantly influence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online fashion platforms. Second, the facilitating conditions and the platform usage intention of Chinese Generation MZ consumers direct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 the usage behavior on online fashion platforms. In contrast, it was confirmed that habit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actual usage behavior. Third, this study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tention and usage behavior on online fashion platforms. This research, which proposes a research model explaining the usage intention and behavior of online fashion platforms based on UTAUT2, integrating not only the organizational aspect but also the consumer aspect to empirically verify the usage intention and the final usage behavior from the general consumer's perspective, has academic significance.

부산시 실거래 주택매매 가격을 이용한 공간계량모형의 적합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Goodness of Fit in Spatial Econometric Models Using Housing Transaction Prices of Busan, Korea)

  • 정건섭;김성우;이양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3-51
    • /
    • 2012
  • 주택시장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헤도닉 방법은 OLS(ordinary least squares) 모형을 이용하는데, 이는 오차가 독립적이며, 평균이 0이고, 분산이 일정하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그러나 공간 자기상관이 존재할 경우에는 이러한 가정에 위배되며, 공간효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으면 왜곡된 추정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최근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간계량모형이 도입되고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OLS 모형과 공간계량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부산시 실거래 주택매매 가격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OLS를 이용한 기존의 헤도닉 모형보다는 공간자기상관을 고려한 공간계량모형들이 보다 설명력이 높았다. Dubin이 제시한 기준과 Log Likelihood 기준을 통해 볼 때 공간계량모형 중에서는 공간자기회귀모형(spatial autoregressive model: SAR)모형의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주택가격에 있어서의 공간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재건축 추진여부가 아파트 매매가격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절한 공간계량모형의 선택은 정부의 주택정책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둘 이상의 용도지역 등에 걸치는 대지에 대한 용적률 적용기준 변경의 정책적 효과분석 - 강남구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Policy Effect on the Change of Application Standard of Floor Area Ratio for Land Covering Two or More Zoning Area - Focused on Gangnam-gu -)

  • 유명한;이창무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2호
    • /
    • pp.121-135
    • /
    • 2018
  •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2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둘 이상의 용도지역에 걸치는 대지에 대한 용적률 적용기준이 변경되었다. 본 연구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른 용적률 적용기준 변경의 정책적 효과 분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둘 이상의 용도지역 등에 걸치는 대지라 함은 일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노선상업 또는 노선준주거 지역이다. 본 연구는 노선상업 또는 노선준주거 지역이 상대적으로 많이 입지해있는 서울의 강남구를 대상으로 정책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7년까지 강남구에서 거래된 오피스 사례 468건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정책변경에 따른 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책변경에 따른 용적률 인센티브를 받은 오피스는 그렇지 않은 오피스에 비해 19.08%의 평당 매매가격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법개정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상당히 컸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존 정책이 둘 이상의 용도지역 등에 걸치는 대지의 소유자들의 토지이용에 대한 제약으로 작용했고 이는 곧 해당 자산이 갖고 있는 본연의 가치를 절하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정책변경이 둘 이상의 용도지역에 걸쳐있는 토지의 합리적 이용을 이끌어내 해당 자산 본연의 가치를 평가받고 있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했다는데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다.

코로나19에 따른 유형별 소매유통시설의 아파트 가격 영향: 전역적·국지적 시계열 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Living Retail Business by Type on Apartment Prices according to COVID-19: Focusing on Global and Local Time Series Effects)

  • 김명진;서원석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3호
    • /
    • pp.37-53
    • /
    • 2023
  • 본 연구는 헤도닉가격모델과 공간적 이질성을 고려한 지리가중회귀모델을 바탕으로 코로나19에 따른 유형별 소매유통시설 접근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전역적·국지적 시계열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역적 측면에서 소매유통시설은 유형별로 주변 아파트 가격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가 소매유통시설에 미친 영향은 존재하였으나, 역시 유형별로 차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지적 측면에서 코로나19에 따라 소매유통시설이 주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변화는 지역별, 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유형별 소매유통시설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별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코로나19 발생 전과 후 유형별 소매유통시설이 주변 지역에 미치는 영향 역시 국지적으로 차별화되고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 이는 코로나19와 같은 외부 충격이 소매유통시설의 역할과 인식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엔데믹 시대 소매유통시설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고 주거지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아파트가격에 내재된 도로교통소음가치 추정 (Estimation of the Value of Road Traffic Noise within Apartment Housing Prices)

  • 임영태;손의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9-33
    • /
    • 2001
  • 선진 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외부효과의 계측과 가치화에 대한 노력이 미미하여, 공학적 뿐만 아니라 경제학적 입장에 입각하여 교통소음 이라는 환경재에 대한 가치화를 대도시 도로주변 아파트가격과 실제 소음측정을 통해 본 논문에서 최초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의 목적은 자동차 소음이라는 환경재의 비시장적 가치를 시장가치로 환산하여 아파트 가격에 내재된 소음가치를 특성가격기법과 회귀분석에 의해 추정하는 것이었다. 즉 소음수준에 따라서 아파트 매매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다르므로 소음차이로 인한 아파트 매매가격에 내재된 한계소음가격 도출이 가능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평형대별 한계소음가격을 도출함으로써 소음 IdB(A)의 증가(혹은 감소)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도출된 결과를 정리해 보면, 먼저 대도시권의 교통소음이 아파트 가격에 내재된 가치를 추정하기위해 $\ulcorner$준-특성가격기법$\lrcorner$을 이용하였으며,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소음변수를 제외한 다른 요인에 의한 주택가격 차이를 제거할 수 있는 표본을 선정하고, 선정된 표본집단의 소음수준을 측정한 자료를 활용하여 소음에 의한 주택가격의 한계소음가치를 측정하였다. 선형, 준로그, 역준로그, 이중로그 회귀모형식을 이용하여 소음수준에 따른 주택가격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이중로그 함수식이 가장 적합성이 뛰어난 모형으로 나타났다. 한계소음가격은 대상지역과 주택의 평수에 따라 상당히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서울시 지역의 소음가격은 경기도 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큰 평수의 주택이 적은 평수의 주택보다 소음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울시와 경기도에 있어서 소음 IdB증가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서울시 주택가격이 경기도 주택가격에 비해 거의 3배나 되기 때문에 이들 두 지역에서의 소음 IdB증가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즉, 서울시와 경기도의 소음 IdB증가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평균 0.3%로 추정되었으며, 평형대별로는 규모가 큰 평수일수록 소음 IdB증가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본 논문에서 도출된 교통소음의 가치를 교통시설의 타당성 평가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소비가치가 고객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sumption Valu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in Fast-Food Restaurants)

  • 양승권;심재현
    • 유통과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35-44
    • /
    • 2013
  • Purpose - Until recently, studies on customer values for restaurants recognized two path structures; the SERVQUAL model, that is, 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customer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 and the customer value? customer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 path that categorizes customer values into functional value and hedonic value. This study, instead, classifies the consumption values of fast-food restaurants based on the consumption value system provided by Sheth, Newman and Gross (1991) and illustrates the new path structure, consumption value? customer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 targeting college students for a generalization of the consumption value system of fast-food restauran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establishes five hypothes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type of consumption value (functional, emotional, social, and epistemic)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or this analysis,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 pre-test and administering a survey to 213 college students who are regular customers at fast-food restaurants in Seoul, Korea. The data collected was then analyzed using SPSS 15.0 and AMOS 6.0 statistical packages. Results - The study showed that: First, the consumption values of fast-food restaurants a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functional value, emotional value, social value, and epistemic value while consumption value can be applied to customer value of fast-food restaurants. Second, the functional and epistemic values had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resulting satisfaction is attributed to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fast-food restaurants like the consistent quality of food, reasonable prices, fast service, and unique or new experiences on every visit. On the other hand, emotional and social values did no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The results on emotional value differed from the general studies on restaurants while the results obtained for social value were not consistent with the studies on high-end restaurants. Third, custom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 The survey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reflected behavioral intention -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 if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food quality and employee services provided. Simultaneously, it was seen that the impact of functional value on customer satisfaction of fast food restaurant goers was more than that of epistemic value. Conclusions - The consumption values of fast-food restaurant user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functional, emotional, social and epistemic values, based on the consumption value system provided by Sheth, Newman and Gross (1991). It proved that the customer values of restaurant goers can be extended to the path structure of consumption value? customer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 to confirm its generalization. The study also showed that marketing managers need to focus more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functional value as the fast-food restaurant users consider timely services with the consistent quality of food at a reasonable price and at a convenient place more important than the new experiences or uniqueness.

  • PDF

적정의 상가 임대료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ing of proper retail rents in commercial area)

  • 정승영;김학환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2호
    • /
    • pp.177-192
    • /
    • 2014
  • 이 연구는 상가임대차계약에서 상가 월세의 비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이론적 기반은 입지이론, 상권분석, 입찰지대의 이론, 집적이론, 그리고 수요 외부성의 이론이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3.3m^2$당 상가 권리금, $3.3m^2$당 상가 임대료, $3.3m^2$당 상가 월세, 전국 100개 상권의 보행자 수가 포함되었다.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한 그 결과로서, 각 상권의 월세비중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3.3m^2$당 상가 권리금, $3.3m^2$당 상가보증금, $3.3m^2$당 상가 월세가 상가 권리금에 영향을 주는 변수이다. 또한 서울시에서는 상가 월세의 비중을 결정할 때 $3.3m^2$당 상가 권리금과 도소매업체의 수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였다. 요약하면, 상가 월세의 비중을 결정할 때, 상권의 경제적 상황뿐만 아니라 통행하는 보행자의 수도 고려해야 한다.

주택시장변동 분석을 위한 멀티에이전트 모형의 개발 및 시뮬레이션 (Multi-Agent Model and Simulation for the Dynamics of Housing Market)

  • 문태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1-115
    • /
    • 2009
  • 조속한 주택시장의 안정화가 우리나라의 국가적 과제가 되었다. 이를 위해 주택시장의 특성을 반영하며 새로운 정책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주시를 대상으로 멀티에이전트 주택시장모형과 시뮬레이션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진주시의 지역적 주택시장을 분석한 다음, 주택선택모형, 헤도닉주택가격모형, 주거입지선택모형 등 3개의 하위 모형으로 구성된 멀티에이전트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150{\times}100$개의 셀로 구성된 가상공간을 설정하고 모형을 프로그래밍하였다. 이 시스템으로 도시개발이 주거 입지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해 보았다. 그 결과 단순히 도로, 상업시설, 편의시설의 입지만으로는 주거가 쉽게 유입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대신에 녹지를 공급함으로써 매우 많은 주거입지를 유도할 수 있어 도시개발에서 인프라와 환경적 요인이 동시에 정비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멀티에이전트 모형과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원활하게 작동하며, 다양한 정책실험과 주택시장의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