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the Value of Road Traffic Noise within Apartment Housing Prices

아파트가격에 내재된 도로교통소음가치 추정

  • 임영태 (국토연구원 SOC·건설경제연구실 책임연구원) ;
  • 손의영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Published : 2001.08.01

Abstract

In the developed countries, traffic noise is one of most serious problems faced by people's lives. So the importance of the traffic noise is quite well recognized by the infrastructure planners as well as the people. The traffic noise is valued in monetary terms in some countries and it is reflected in estimating the net present value or benefit/cost ratio. On the contrary, the effects of traffic noise are not reflected in the assessment of infrastructure in most cases in Korea. However, as the income level has been increasing, more people have been becoming to put more importance on their living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value of traffic nois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housing price were surveyed to use the quasi-hedonic price technique. By this way, two housing prices at the same floor level in different 128 complex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the actual traffic noise level was also measured. The differences of housing prices and noise levels were analyzed using the various types of regression models. The value is quite different by size of house. The value of large house is higher than that of small house. Since the income level of people in large house is higher than that in small house. it might be said that value of traffic noise for high income people is higher than that for low income people. Moreover, the increase of 1dB(A) noise affects the house price by about 0.3% in Seoul metropolitan area.

선진 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외부효과의 계측과 가치화에 대한 노력이 미미하여, 공학적 뿐만 아니라 경제학적 입장에 입각하여 교통소음 이라는 환경재에 대한 가치화를 대도시 도로주변 아파트가격과 실제 소음측정을 통해 본 논문에서 최초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의 목적은 자동차 소음이라는 환경재의 비시장적 가치를 시장가치로 환산하여 아파트 가격에 내재된 소음가치를 특성가격기법과 회귀분석에 의해 추정하는 것이었다. 즉 소음수준에 따라서 아파트 매매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다르므로 소음차이로 인한 아파트 매매가격에 내재된 한계소음가격 도출이 가능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평형대별 한계소음가격을 도출함으로써 소음 IdB(A)의 증가(혹은 감소)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도출된 결과를 정리해 보면, 먼저 대도시권의 교통소음이 아파트 가격에 내재된 가치를 추정하기위해 $\ulcorner$준-특성가격기법$\lrcorner$을 이용하였으며,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소음변수를 제외한 다른 요인에 의한 주택가격 차이를 제거할 수 있는 표본을 선정하고, 선정된 표본집단의 소음수준을 측정한 자료를 활용하여 소음에 의한 주택가격의 한계소음가치를 측정하였다. 선형, 준로그, 역준로그, 이중로그 회귀모형식을 이용하여 소음수준에 따른 주택가격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이중로그 함수식이 가장 적합성이 뛰어난 모형으로 나타났다. 한계소음가격은 대상지역과 주택의 평수에 따라 상당히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서울시 지역의 소음가격은 경기도 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큰 평수의 주택이 적은 평수의 주택보다 소음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울시와 경기도에 있어서 소음 IdB증가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서울시 주택가격이 경기도 주택가격에 비해 거의 3배나 되기 때문에 이들 두 지역에서의 소음 IdB증가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즉, 서울시와 경기도의 소음 IdB증가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평균 0.3%로 추정되었으며, 평형대별로는 규모가 큰 평수일수록 소음 IdB증가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본 논문에서 도출된 교통소음의 가치를 교통시설의 타당성 평가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울대 박사논문 지하철의 소음과 건설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기천
  2. 부산대 석사학위논문 부산시 고층집합주거단지의 주거 편익도와 주택가격의 상관관계연구 이학우
  3. 주택연구 v.2 no.2 헤도닉가격기법을 이용한 주택특성의 잠재가격측정 허세림
  4. 아파트가격에 내재한 경관조망 가치의 측정 및 분석 이왕기
  5. 환경경제연구 환경영향의 경제적 가치평가 엄영숙
  6. 환경의 경제적 가치 곽승준;전영섭
  7. 21세기 한국연구재단연구 교통환경론 김종석;이성원
  8. 계량경제학 강의이론과 응용 Damodar N. Gujarati
  9. 도시계획학술연구논문집 v.23 자산가치분석에 의한 중고층주택의 주거환경 평가수법에 관한 연구 淸水;肥田野(등 2인)
  10. 토목학회논문집 v.302 소음의 사회적 비용의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森彬壽芳;宮武信春;吉田哲夫
  11. 환경연구 55 교통소음의 사회적 비용 계측 - 오사카국제공항을 사례로 岩田;殘田
  12. 환경과학회지 v.4 자동차 소음에 의한 외부효과의 계측 山崎
  13. 환경과학회지 v.40 no.6 헤도닉어프로치에 있어서의 변수선택 矢澤;金本
  14. 환경과학회지 v.9 no.3 도시내 교통이 갖는 소음 및 진동의 외부효과의 화폐계측 肥田野;林山
  15. Economic Analysis of Transportation Noise Abatement Nelson, J.P.
  16.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59 Residential Noise Damage Costs Caused by Motor Vehicles Daniel Haling;Harry Cohen
  17. Journal of Political Economics v.82 Hedonic prices and implicit market Rosen, S.
  18. Blueprint for a green economy Anil Markandya;David W. Pea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