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vy minerals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4초

중금속 오염 농경지에서 축분퇴비와 인산비료의 혼용시용에 의한 카드뮴 식물이용성 저감효과 (Effect of Phosphate Fertilizer and Manure in Reducing Cadmium Phytoavailability in Radish-grown Soil)

  • 홍창오;김상윤;김필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1-267
    • /
    • 2011
  • 인산에 의한 카드뮴의 식물저감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특성의 두 인산제재인 용과린과 $K_2HPO_4$를 선정하여 축분퇴비와 혼용하여 처리한 후 알타리무 내 카드뮴 흡수특성과 토양 내 카드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K_2HPO_4$는 토양의 pH와 음하전도를 증대시켜 토양 내 유효태 카드뮴 함량과 알타리무내 카드뮴 흡수농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용과린은 토양의 pH와 음하전도를 감소시켜 유효태 카드뮴 함량과 알타리무 내 카드뮴 함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축분퇴비와 인산비료와의 혼용은 인산 제재의 특성에 관계없이 인산비료를 단독으로 시용하였을 때 보다 알타리무 내 카드뮴 흡수농도와 토양 내 유효태 카드뮴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훨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산비료나 축분퇴비의 시용에 의해 토양 내 인산과 카드뮴의 침전반응에 의한 난용성의 카드뮴 화합물의 형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토양의 pH와 음하전도는 토양 내 유효태 카드뮴의 함량과 알타리무 내 카드뮴의 함량과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인산비료와 축분퇴비에 의한 카드뮴의 부동화는 인산과 카드뮴의 직접적인 침전반응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토양의 pH와 음하전도의 증대에 기인된 카드뮴의 흡착증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한약 금속오염과 관련된 세계적인 인식경향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World research trends and problems in papers relating metal contamination level of herbal medicines)

  • 이선동;이정석;박경식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7-128
    • /
    • 2002
  • Metal problems in herbal medicine are not regulate properly by law and public management around world country until this time. General people belief as safety about herbal since natural material. And almost all persons can also purchase by their-self and use by self-prescription in reality. As this result herbal medicines can always occur acute and chronic toxicity by not proper use problems, side-effect and overdose. Heavy metal toxic diseases in historical view point was big accidents that didnot forget including minamata and itai-itai in Japan. These accident's teach to us must not use toxic metal level and not include or at least Pb Hg As Cd in all kind material use and intake by people, especially herbal. Herbal contamination research is beginner state that had not many papers until nowadays. Even if this pan had some papers, it had negative result and bigger and larger than problems level because of one way research trend of not many sample case-report and screening test of dried herbal form in chiefly. Many persons have afraid and risk thinking about herbal, animal and minerals since these cause. Further research related this subject will be needed at fact of epidemiology including case-control and cohort study for more precision research affecting in short and long term intake of oriental medicines

  • PDF

충청남도 해안에 발달한 해빈과 해안사구 (Beach and Sanddune Development along the Coastline of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 강대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68-577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서해안에서 해안사구의 발달이 탁월한 충청남도 태안군의 학암포, 천리포, 만리포, 몽대포, 몽산포, 삼봉, 서천군의 송림리를 선정하여 해빈과 해안사구를 구성하는 물질의 특성과 공급원, 고사구와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충청남도 해안은 태안반도와 안면도를 비롯하여 육지가 바다로 돌출한 지역을 중심으로 해안선의 출입이 심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헤드랜드에 의해 분리된 만입으로는 파랑의 작용이 비교적 활발하게 미치므로 해빈이 발달한다. 해빈의 모래는 서풍 계열의 바람에 불려 해안사구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 지역에서는 연중 남서풍 계열의 바람이 지속적으로 불어온다. 본 연구 지역에 분포하는 해빈과 해안사구는 거의 대부분 석영과 장석으로 이루어졌으며 운모, 중광물도 포함한다. 학암포 해수욕장의 경우 석영 72.6%, 장석 20.3%, 운모 3.3%이고 이 밖에 각섬석, 녹렴석, 전기석, 지르콘, 기타 철산화물이 소량 포함되었다. 충청남도 해안은 모래가 부족한 편이며 화강암 기원의 것을 제외하면 입도가 아주 작고 원마도가 불량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모래의 이동 거리가 길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모래부족은 해빈의 침식과 해안선의 후퇴로 나타난다. 본 연구 지역의 해안사구는 플라이스토세의 고사구충을 기반으로 발달하였다.

저변형률하 불포화 이암풍화토의 동적거동 (Dynamic Behavior of Unsaturated Decomposed Mudstone Soil Under Low Strain Amplitude)

  • 허경한;정충선;배중선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9-27
    • /
    • 2004
  • 본 연구는 정적은 물론 동적 거동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포항지역의 이암풍화토에 대하여 저변형률하에서의 동적 거동 파악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동적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는 간극비, 포화도 그리고 구속압 등 3가지의 변수를 설정하였다. 그 중 간극비와 포화도를 달리하여 공시체를 제작하고 구속압을 단계적으로 증가시켜가며 저변형률하에서의 전단탄성계수와 감쇠비의 거동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저변형률하에서의 시험을 실시하기 위해 공진주 시험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값들을 이용하여 이암풍화토의 동적 거동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저변형률하에서 이암풍화토의 최적포화도가 $32{\sim}37%$ 나타났다. 이는 주광물의 비율과 형상뿐만 아니라 세립분의 함유량 차이로 인하여 화강풍화토보다 크게 나타났다.

견운모와 커피찌꺼기 복합 흡착제를 이용한 수용액의 Pb(II) 제거 (Removal of Pb(II) from Aqueous Solution Using Hybrid Adsorbent of Sericite and Spent Coffee Grounds)

  • 최희정
    • 공업화학
    • /
    • 제29권5호
    • /
    • pp.571-58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수용액에서 Pb(II)를 흡착 제거하기 위하여 커피찌꺼기(spent coffee grounds; SCG)와 점토광물인 견운모(sericite)를 혼합하여 복합흡착제(SS)를 제조하였다. FT-IR 분석결과 SS의 주요 관능기는 O-H, C=O와 C-N 그룹이었다. SS의 비표면적, 기공직경 그리고 양이온 치환 용량은 SCG와 sericite보다 크고, 높았다. SS 흡착제 제조를 위한 최적의 조건은 소성온도 $300^{\circ}C$, SCG : sericite 비율 8 : 2, 입자의 크기는 0.3 mm이었다. SS 흡착제를 이용하여 Pb(II)를 제거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Langmuir 흡착식이 Freundlich보다 적합하였으며, Langmuir 등온흡착식에 의한 Pb(II)의 최대 흡착용량은 44.42 mg/g이었다. 또한, 열역학 분석에 의하면 SS 흡착제를 이용한 Pb(II)의 흡착 공정은 물리적인 흡착이었으며, 자연적인 발열반응이었다. SS 흡착제의 흡착-탈착 실험에서는 88-92%를 회수할 수 있었으나, 탈착 횟수가 증가할수록 SS 흡착제의 활성사이트는 감소하였다. 위의 실험결과 SS 흡착제는 전처리 없이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Pb(II)를 수용액에서 흡착 제거할 수 있다.

가을철 배출원별 남은 음식물의 사료 영양적 특성 및 돼지 영양소 요구량과의 비교 평가 (Evaluation of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ources of Food Residues in Autumn and Comparisons with NRC Nutrient Requirements for Swine)

  • 곽완섭;강준석;정재덕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7-98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nutritional values of different sources of food residues(FR) released in autumn and to compare them with nutrient requirements on NRC standard feeding system of swine. Hospital or cafeteria FR contained more cooked rice and side dishes residues and less vegetable residues and fruit peel, resulting in higher energy and lower fiber contents, compared to apartment complex FR, which had opposite patterns to these results. Chemical composition between hospital and cafeteria FR was almost similar. Salt(NaCl) content was more than 9 folds of NRC swine requirement, but much lower than the maximum tolerant level. Essenial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profile was similar among FR sources. Hospital or cafeteria FR protein had a similar pepsin digestibility to soybean meal protein. Apartment complex FR protein, however, had a much lower pepsin digestibility. When NRC nutrient requirements are considered, FR in swine diets could satisfy requirements of protein and all the essential amino acids, 75${\sim}$111% of digestible or metabolizable energy, and most of the major and minor minerals. All the FR contained extremely low levels of toxic heavy metals, indicating that they are completely safe from these toxic substances. It was concluded that hospital or cafeteria FR could be a nutritionally excellent and balanced feed source for swine.

  • PDF

Arsenic environmental contamination, chemical speciation and its behaviour in the water system from some abandoned Au-Ag mines, Korea

  • Yi Ji-Min;Chon Hyo-Taek;Lee Jin-Soo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fusion technology
    • /
    • pp.522-525
    • /
    • 2003
  • Mine waters, surface waters and groundwaters were sampled around seven Au-Ag mine areas (Dongil, Okdong, Dongjung, Songcheon, Ssangjeon, Dogok and Gubong Au-Ag mines). The main contamination sources of As in these abandoned Au-Ag mines can be suggested as mine tailings and waste rocks including the sulfide gangue minerals (arsenopyrite). Th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As in mine waters was shown in the Dongil (524 ${\mu}g/L$) and the Dogok (56 ${\mu}g/L$) mine areas. Arsenic concentrations in stream waters from the Dongil ($0.9\~118{\mu}g/L$), the Songchon ($0.8\~63{\mu}g/L$), the Ssangjeon ($1.6\~109{\mu}g/L$) and the Gubong ($3.6\~63{\mu}g/L$) mine areas exceeded the permissible level for stream water in Korea. Groundwaters collected from the Dongil ($0.9\~64{\mu}g/L$ ), the Okdong ($0.2\~69{\mu}g/L$) and the Gubong ($0.5\~101{\mu}g/L$) mine areas contained high As concentration to cause the arsenicosis in these areas. In As speciation, the concentration ratios of As(III) to As(total) present up to $75\%$ and $100\%$ in stream waters from the Okdong and the Songcheon mines, and $70\%$ in groundwaters from the Okdong and the Dongjung mines. Arsenic concentration decreases downstream from the tailing dump correlatively with pH and Fe concentration. Highly elevated As concentrations are found in the dry season (such as April and March) than in the wet season (September) due to the dilution effect by heavy rain during summer in stream waters from the Dongil and the Songcheon mine areas.

  • PDF

해안사구의 물질 구설과 플라이스토세층 - 충청남도의 해안을 중심으로 - (The Origin of Coastal Dunesand in the Chungcheongnam-do)

  • 강대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05-517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서해안에서 해안사구의 발달이 탁월한 충청남도를 선정하여 해안사구의 구성물질이 어디에서 기원하는가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의 문헌을 검토하고 예비조사를 거쳐 중점연구지역을 선정한 다음에 각종 자료를 분석하여 지역연구의 바탕으로 삼았다. 우리나라의 서해안은 수심이 얕아서 조차가 크기 때문에 조류의 작용이 활발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태안반도, 안면도와 같이 육지가 바다로 돌출한 지방에서는 파랑의 작용도 활발하여 비치가 나타나고 그 배후에는 해안사구가 발달하였다. 해안사구의 구성물질은 거의 대부분 석영과 장석으로 이루어졌으며 운모, 중광물도 섞여 있다. 사구사는 화강암기원의 것을 제외하면 입도가 아주 작고 원마도가 불량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모래의 이동거리가 길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해안사구는 고조시에 파랑의 영향을 받아 후퇴한다. 해안사구의 트렌치에서는 플라이스토세층으로 생각되는 적색의 모래층이 관찰되는데, 이 모래층은 빙기의 산물이라고 판단된다.

제주(濟州) 연안(沿岸)의 해빈퇴적물(海濱堆積物)에 관(關)한 연구(硏究) (Beach Sediments of the Jeju Island, Korea)

  • 윤정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18권1호
    • /
    • pp.55-63
    • /
    • 1985
  • Studies based on field observation and laboratory analysis of the littoral sands of beaches in Jeju Island indicate that the shores exhibit a great variation in both the beach geometry and the composition in terms of geological agents. Most of the beaches around the Island are developed in relatively small patches and discontinuous, as the result of intervening sea cliffs and rocky headlands. The sand quality and the dimensions of the beaches in the Island are relatively poor; for example, these beaches are 220~2,780m in length, 41~313m in width, and $7^{\circ}$ steepness in average foreshore slope. According to the textural parameters analysis, the beach sediments in study portion shows medium grained ($average\;1.42{\phi}$), moderately well sorted ($average\;0.65{\phi}$) and negative skewed ($average\;0.34{\phi}$), which seems to reflecting a high energy marine depositional environment. The heavy and light minerals of te beach sediments are composed of quartz, volcanic fragments, Na-Ca feldspar, olivine, augite as major constituents, along with apatite, biotite and other minor components, which originates from the adjacent geology. The content of CaO-MgO in shell fragments of the littoral sands ranged from 4.69~51.96%, suggesting that the high CaO-MgO content in some of the Island's beaches is attributable to geologic environments conducive to the growth of shell organisms and sediments migration. The provenance of the sediments studied are derived predominantly from adjacent continental shelves and/or terrigenous older river portion, Which sediments were transported mostly by rolling or bottom suspension. The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Jeju beache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beaches distributed in the North and the Northeastern parts of the Island are dominated by marine enviroment, whereas beaches in the Southwestern portion are characterized by terrigenous agencies.

  • PDF

물김(Pyropia sp.)의 생산 시기별 및 지역별 주요 식품 성분 변화 분석 (Analysis of Seasonal and Regional Changes in Major Food Components of Raw Laver Pyropia sp.)

  • 강민균;정민철;박슬기;이장원;조정형;엄성환;허만규;김영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510-517
    • /
    • 2018
  • The study investigated the seasonal and regional changes in the food components of raw laver Pyropia sp.. Samples were obtained monthly from December 2017 to March 2018 at auction markets located in Gangseo-gu, Busan (Nakdong-raw laver), Seocheon-gun, Chungnam, Wando-gun, Jeonnam and Goheung-gun, Jeonnam. The general components, heavy metals and minerals, free amino acids, total phenolic compounds (TP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amples were analyzed. No significant physicochemical changes in the moisture, crude lipid, and ash contents were observed in the raw lavers tested. However,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Nakdong-raw laver was the highest in December 2017 at $7.20{\pm}0.28%$ and the content was higher seasonally and regionally than those of the other raw lavers. In addition, the taurine, zinc, manganese and TPC contents of Nakdong-raw laver was higher seasonally and regionally than those of the other raw lavers. The ethanolic extract of Nakdong-raw laver also ha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ncluding as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ABTS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PC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This study is the first analysis of seasonal and regional changes in the major food components of raw laver cultivated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