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eavy metal Pb

검색결과 1,396건 처리시간 0.026초

Enterobacter intermedious KH410의 중금속 흡착 특성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Biosorption by Enterobacter intermedious KH410)

  • 김영희;정영기;김광현;김병우;정경태;김병석;박지원;이동준;신현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21-427
    • /
    • 2003
  • 담수 식물 뿌리에 부착하는 미생물의 중금속 흡착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Enterobacter intermedious KH410을 분리하여 이 균주에 대한 납과 카드뮴, 구리에 대한 생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중금속에 대한 최저 생육 저지 농도는 납은 1.78 mM, 카드뮴은 0.17 mM, 구리는 1.39 mM 이었다. 흡착에 이용하기 위한 최대 균체 생산은 최적 조건하에서 2.56 g DCW/ $\ell$-medium이었다. 최적 흡착조건은 0.6 g-biomass, pH 4, 온도는 $20^{\circ}C$일 때이었다. 흡착평형은 30분에서, 반응용액은 400 mg/$\ell$이었다. 흡착용량(K)은 구리가 카드뮴의 1.5배, 납은 카드뮴의 1.1배로 구리가 가장 높았으며 흡착강도(1/n)는 카드뮴>구리>납의 순 이었다. 흡착강도에 따른 등온식 적용은 세가지 중금속 모두 Freundlich 흡착등온식이 적합하였다. 건조 균체를 이용한 최대 흡착은 납과 카드뮴, 구리에 대하여 각각 56.2, 58.0, 55.8 mg/g-biomass 이었다. 흡착강도를 높이기 위한 전처리제로는 0.1 M NaOH가 적합하였으며 중금속 별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중금속 회수를 위한 탈착 시험에서는 납은 0.1 M EDTA에서, 카드뮴과 구리는 0.1 M HNO$_3$에서 높은 탈착율을 나타내었다.

남극삿갓조개 (Nacella concinna) 장의 중금속 축적에 관한 연구 (Bio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Intestine of Nacella concinna)

  • 이용석;조용훈;한연수;고원규;안인영;정계헌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7-9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남극삿갓조개 (Nacella concinna) 의 장 (intestine)의 중금속 농축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카드뮴 노출실험을 실시한 후 중금속에 노출 시 동물체내에서 유도되는 단백질 중의 하나인 metallothionein을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추적하고 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을 이용하여 세포의 미세구조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더불어 SEM-EDS 장비를 이용한 원소분석을 통해 중금속의 분포를 알아보아 중금속의 축적 및 해독기작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Metallothionein의 분포를 살펴보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실험이 수행된 바, 중금속이 농축되고있는 삿갓조개의 장상피세포의 첨단부에 metallothionein이 많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미세구조 관찰결과 노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핵막의 팽창, whorl 구조의 출현, 핵 내 봉입체를 관찰할 수 있었다. SEM-EDS 관찰결과 카드뮴 노출결과, 황이 급격하게 줄어들었고, 칼슘과 아연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Cd 노출의 정도에 따라 비교적 빠른 세포반응을 보이는 남극삿갓조개의 특징은 자연 상태에서 Cd의 노출에 따른 효과적인 생물 지표종으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GWP (Global Warming Potential)를 고려한 가시박 바이오차르의 토양 납 제거 효과 분석 (A Study of Burcucumber Biochars to Remediate Soil Pb Considering GWP (Global Warming Potential))

  • 김유진;박한;김민호;서성희;옥용식;유가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432-440
    • /
    • 2015
  • 유기물의 열분해로 생성되는 바이오차는 토양 탄소 저장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기후변화를 완화할 수 있는 전략으로 소개되고 있다. 또한 바이오차는 토양의 흡착능을 증대시켜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할 수 있다고 보고된다. 본 연구는 두 종류 바이오차의 토양 중금속 제거 효과와 함께 기후변화 완화효과를 동시에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두 종류의 바이오차는 가시박 및 차 찌꺼기 바이오매스를 열분해 하여 준비했다. 납으로 오염된 농경지 토양은 바이오차 및 바이오매스와 혼합되어 60일 동안 배양하였다. $CO_2$, $CH_4$, $N_2O$는 배양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측정되었고 토양 분석은 배양 종료 후 아세트산을 이용한 납 추출량을 비롯한 생화학적 요소에 대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배양 후 납의 양은 BC_Ch에서 71% 만큼 감소했다. 배양 중 $CO_2$$N_2O$ 발생은 BC_Ch, TW_Ch에서 각각 BC_Bm, TW_Bm 대비 약 24%, 34% 감소하였다. $CH_4$ 발생은 바이오차 처리에 의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GWP 계산 과정에서 온실가스($CO_2$, $CH_4$, $N_2O$), 토양에 처리한 가시박 및 차 찌꺼기 바이오매스와 바이오차, 토양 내 총 탄소량을 고려하였으며, 바이오차 투입으로 토양 내 납의 농도가 감소한 BC_Ch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와 대조구에 제올라이트를 투입하였다고 가정하여 GWP 계산을 수행하였다. BC_Ch가 GWP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것을 보였는데, 이는 가시박 바이오차가 높은 납 흡착과 토양 내 탄소 격리 효과를 나타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가시박으로부터 생성한 바이오차를 투입하는 것이 토양 오염 저감과 기후변화 완화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전략임을 시사한다.

동일비료(同一肥料) 장기연용(長期連用) 토양(土壤) 및 현미중(玄米中)의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 (Content of Heavy Metal in Paddy Soil and Brown Rice under Long-Term Fertilization)

  • 정구복;김복영;소규호;이종식;연병열;정이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0-157
    • /
    • 1996
  • 동일비료(同一肥料) 및 퇴비(堆肥), 석회(石灰),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등(等)의 장기연용(長期連用)이 논 토양(土壤) 및 현미중(玄米中)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에 미치는 토양개량효과(土壤改良效果)를 밝힐 목적(目的)에서 조사(調査)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황산(黃酸)암모늄, 요소(尿素), 3요소(要素) 등(等) 비료(肥料)의 장기연용(長期連用)으로 토양중(土壤中) Cu, Zn(0.1N-HCl 침출)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한 반면 현미중(玄米中) Cu, Zn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고 Cd, Pb함량(含量)은 토양(土壤) 및 현미(玄米)에서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2. 석회(石灰) 및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장기연용(長期連用)으로 토양중(土壤中) Cu, Zn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한 반면 현미중(玄米中) Cu, Zn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였고 Cd, Pb함량(含量)은 토양(土壤) 및 현미(玄米)에서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3. 퇴비장기(堆肥長期) 연용(連用)으로 토양중(土壤中) Cu 및 Zu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으나 Cd, Pb함량(含量)은 토양(土壤) 및 현미(玄米)에서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 PDF

실내 microcosm실험에 의한 시흥광산 및 덕음광산 주변 오염 논토양내 중금속의 지구화학적 거동 연구 (Geochemical Behavior of Metals in the Contaminated Paddy Soils around Siheung and Deokeum Mines through Laboratory Microcosm Experiments)

  • 김정현;문희수;안주성;김재곤;송윤구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6호
    • /
    • pp.553-565
    • /
    • 2002
  • 본 연구는 시흥 동연아연 및 나주 덕음 금은 폐광산 주변 오염 논토양을 대상으로 시기별 중금속의 수직적 분포 및 함량변화를 실내 microcosm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산화환원 환경 변화에 따른 중금속의 지구화학적 거동 양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두 지역의 원 논토양은 광물학적 구성, 중금속 함량 및 pH와 같은 지구화학적 특성이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덕음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중금속 함량에 비해 높은 교환성 형태의 비율로 중금속 용출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18주의 침수기간동안 microcosm토양 상하부는 산화환원 환경 차이를 유지하였으며 pH의 경우 시흥의 상하부 토양 및 덕음의 하부 토양에서는 중성-알칼리성을 유지하였으나 덕음 상부는 3.2-3.8의 강산성을 나타내었다. 용존 Fe, Mn은 상부에 비해 하부에서 높은 농도를 보여 환원성 용해현상에 의한 용출거동을 나타내었다. Pb 및 Zn는 산화환경인 상부에서 그 용출이 높게 나타나며 pH가 높은 시흥의 경우 상층수/토양 경계면에 철 및 망간이 풍부한 층이 형성되고 중금속의 이동을 억제하는 트랩역할을 하여 용출정도가 낮았다. 반면 pH가 낮은 덕읍에서는 원 토양의 상대적으로 낮은 중금속 함량에 비해 그 용출정도가 높았으며 침수 및 배수의 시기별 화학적 존재 형태의 변화도 나타났다. 강산성의 논토양에서는 침수기에 토양 상층부에서 벼작물의 중금속 흡수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배수후에는 교환성 형태의 증가로 역시 그 흡수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주, 포항, 울산지역 보건.환경성 질환 위해 인자 (Risk Factors for Health and Environmental Disease in Gyeongju, Pohang, and Ulsan)

  • 정종현;최봉욱;문기내;석성자;김현규;손병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2-94
    • /
    • 2010
  •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an attempt to provide scientific grounds in explaining the causes of environmental and respiratory diseases resulting from air pollutants in Gyeongju and its neighboring areas. In relation to heavy metals, lead (Pb) was $0.0135{\sim}0.1744\;{\mu}g/m^3$ and high in order of Pohang, Ulsan, and Gyeongju while nickel (Ni) was $0.0023{\sim}0.0115\;{\mu}g/m^3$.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the investigated areas did not exceed the environmental standards or Guideline Value of Korea or other countries. However,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apply intensive control to some heavy metals including cadmium (Cd) that show a relatively high level of hazard. Based on the responses to the survey, measured personal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basic knowledge of the causes of the respiratory diseases was higher in those with a family history of allergic reactions to metals and bronchial asthma. The incidence of allergic disease was higher in those who are currently in poor health state. In addition, the general knowledge of environmental pollutants was higher in those with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those with a higher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Personal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was higher in those with higher basic knowledge of environmental polluta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wareness through better education and campaigns on environmental pollution.

Cu 내성 근권 세균 Alcaligenes sp. KC-1의 분리 및 생장특성 (Characterization of Growth Inhibition and Isolation of a Copper-Resistant Rhizobacterium, Alcaligenes sp. KC-1)

  • 홍선화;신기철;이은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82-187
    • /
    • 2011
  • 습지의 갈대토양으로부터 중금속에 내성이 있는 세균이 분리되었다. 분리된 균주는 16S rDNA 염기서열분석에 의거하여 Alcaligenes sp.로 동정되었다. 납, 크롬, 카드뮴, 아연 및 구리와 같은 중금속을 배지에 첨가하였다. 분리균주 Alcaligenes sp. KC-1을 구리가 0 mM에서 20 mM의 농도로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균주의 생장에 미치는 독성을 알아보았다. 분리균주는 구리가 존재할 때 42시간 배양된 후 7.34 mM의 $EC_{50}$값과 $OD_{600\;nm}$에서 0.83의 흡광도 값을 보여주는 구리 내성균주였다.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geochemical behaviour of heavy metals around the abandoned Songcheon Au-Ag mine, Korea

  • Lim Hye-sook;Lee Jin-Soo;Chon Hyo-Teak;Sager Manfred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fusion technology
    • /
    • pp.544-547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levels and dispersion patterns of arsenic and heavy metals and to estimate the bioaccessible fraction of the metals in soil and plant samples in the vicinity of the abandoned Songcheon Au-Ag mine. Tailings, soils, plants (Chinese cabbage, red pepper, soybean, radish, sesame leaves, green onion, lettuce, potato leaves, angelica and groundsel) and waters were collected around the mine site. After appropriate preparation, all samples were analyzed for As, Cd, Cu, Pb and Zn by ICP-AES and ICP-MS. Elevated levels of As and heavy metals were found in tailings. Mean concentrations of As in agricultural soils were higher than the permissible level. Especially, maximum level of As in farmland soil was 513 mg/kg.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As and Zn were found in Chinese cabbage (6.7 mg/kg and 359 mg/kg, respectively). Concentrations of As, Cd, and Zn in most stream waters which are used for drinking water around this mine area were higher than the permissible levels regulated in Korea. Maximum levels of As, Cd and Zn in stream waters were 0.78 mg/L, 0.19 mg/L and 5.4 mg/L,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ine tailings can be the main contamination sources of As and heavy metals in the soil-water system in the mine area. The average of estimated bioaccessible fraction of As in farmland soils were $3.7\%$ (in simulated stomach) and $10.8\%$ (in simulated small intestine). The highest value of bioaccessible fraction of metal in farmland soils was $46.5\%$ for Cd.

  • PDF

대중음식중 중금속 함량 (Studies on the Heavy Metals of Common Restaurant Meals)

  • 김정헌;조남준;박성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16-320
    • /
    • 1989
  • 대중음식의 오염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지역의 대중음식점에서 주로 이용되는 11종의 음식을 21개 지역 49개 식당에서 1인분씩 구득하여 7종의 중금속함량을 원자흡광광도계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dot}$ 대중음식 한그릇당 중금속 평균함량은 납 $131.8{\mu}g$, 카드뮴 $18.4{\mu}g$, 크롬 $135.5{\mu}g$, 구리 $804.9{\mu}g$, 철 $7430.6{\mu}g$, 아연 $2807.4{\mu}g$, 망간 $841.6{\mu}g$이었다. ${\cdot}$ 대중음식으로부터 1일 1인 중금속 총섭취량은 FAO/WHO의 허용량보다 모두 낮은 수준이었다.

  • PDF

인산염을 이용한 납오염 토양 고정화 반응의 가속화

  • 이의상;이상봉;이인원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01-204
    • /
    • 2004
  • Immobilization is seen as a promising technology for lead remediation. In a laboratory experiment, immobilization of lead with soluble P was tested as a function of reaction time and P concentration. The P treated with an acidic solution to enhance heavy metal immobilization was worked into the soil, and within 7 days, lead was stabilized. Different molar ratios of soluble phosphates (super-phosphate and KH$_2$PO$_4$) would be considerably effective to accelerate the formation of highly insoluble minerals due to the lack of leachable Pb in the contaminated soil. Although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addition of soluble phosphates with an acidic solution significantly reduced available lead in soil up to over 95%, remaining phosphorus in soil matrix might cause a possible groundwater eutrophication in the near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