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workers

검색결과 4,313건 처리시간 0.041초

여성119구급대원에 대한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A Study of Paramedic Students' Perception Type on Female 119 Paramedics)

  • 한송이;박소미;최은숙;이재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70-80
    • /
    • 2015
  • 본 연구는 여성119구급대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소방 조직 내에서 여성119구급대원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그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된 연구이다. 연구는 2013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Q표본을 선정하여 구급차동승 현장실습을 경험한 응급구조(학)과 학생 총 31명을 대상으로 QUANL program을 이용한 Q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슈퍼우먼형', '체력한계 히어로형', '섬세한 수호천사형', '능숙한 데스크잡형'의 총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설명력은 제I유형 42.2%, 제II유형 4.8%, 제III유형 4%, 제IV유형은 3.6%로 전체변량의 54.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여성119구급대원을 전문가로 인식하고 있지만 체력적인면과 출산 및 육아에 대하여 부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 구성원의 인식 변화와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직업성 긴장과 근로자 결근 (Effects of Job Strains on Absenteeism from Work)

  • 차봉석;장세진;최홍렬;김형식;고상백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4호
    • /
    • pp.505-512
    • /
    • 199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ains and absenteeism from work. Methods : The study design was cross-sectional, and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166 workers who were employed in the small-sized industries.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job demand, job control), and social support(coworker support, supervisor support) at work. The Job Content Questionnaire(JCQ) was used to assess job demand(2 items) and decision lattitude(10 items). Social support at work (10 items) was measured using JCQ. Sick absence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 and were rechecked by the attendance record of their company.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ain and sick absence were estimated. The modify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evaluated by stratification.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ain and sick absence. Results : In the bivariate analysis, the variables related to sick absence were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job demand. Four distinctly different kinds of level of job strain were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job demand and job control: low strain group, high strain group, active group, and passive group. The crude odds ratio of high job strain was 1.78(95% CI: 1.26-2.53), and those of active group and passive group were 1.33(95% CI: 1.07-1.66) and 1.13 (95% CI: 0.88-1.47), respectively. The odds ratio of high job strain after adjusting for age and occupation were still significant The odds ratio of high job strain in low social support was 5.96(95% CI: 2.45-14.51), but that in high social support was 0.73(95% CI: 0.26-2.01). Conclusions : Job strai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absenteeism from work, and social support at work modified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ain and sick absence.

  • PDF

사업장(事業場) 근로여자(勤勞女子)의 영양실태(營養實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Nutritional Survey for Working Females at a Factory)

  • 조미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권4호
    • /
    • pp.143-153
    • /
    • 1969
  • 여성(女性)의 노동(勞動)과 영양(營養)의 문제가 근로자의 건강과 생산성(生産性)과의 중요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世代)의 건강에까지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관점에서 1969년 8월 13일부터 8월 20일까지 1주일간(週日間) 서을 시내 소재 한 가발공장 여자 기숙사 근로자 949명(名)에 대하여 식품및 영양 섭취상태를 조사하였고 아울러 대상자의 신장및 체중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중(中) 임의유출법(任意油出法)에 의하여 선정된 44명(名)에 대하여 임상조사 및 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조사대상자는 체위(體位)가 표준치(標準値)에 미달(未達)이었고 16세(歲)${\sim}$20세(歲)가 전인원(全人員)의 82%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여자 근로자로서, 노동정도는 중등노동(中等勞動)에 속하였다. 급식(給食)상황에 있어서는 기초식품의 배합이 고르지 못하여 누락된 식품군이 매(每)식단마다 발견할 수 있었다. 완전영양을 위한 균형식사가 여기에 강조되어야 하겠다. 식단(食單)이 너무 단순한 탓으로 저(低)칼로리와 저(低)영양상태를 초래하고 있으며 열량, 단백질의량에 있어서도 권장량보다 부족되며 특히 동물성 단백질량이 부족된다. 그러나 단백질의 질적(質的)문제에 있어서는 비록 그 양은 적으나 75의 단백가(蛋白價)로서 비교적 양질(良質)이다. 여기서 식물성단백질에서 섭취되는 좋은 현상을 발견할수 있다. 그리고 지방질의 섭취량이 평균 1일(日) 1인당(人當) 8.8g으로 매우 적고 무기질 및 비타민의 섭취량도 모두 우리나라 권장량 보다 저치(低値)를 나타내고 있다. 임상조사(臨床調査) 및 생화학적(生化學的) 검사결과(檢査結果)에 있어서도 비타민 결핍증과 빈혈(貧血) 특히 철(鐵)결핍성 빈혈을 초래하고 있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급식은 장구히 계속 된다면 근로자의 체위저하(體位低下)는 물론 작업능력 및 건강에도 악(惡)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은 특수환경에 있는 대상에 대해서 앞으로 영양관리와 건강관리에 대한 채선이 시급히 요망된다고 사료되는 바이다.

  • PDF

임파워먼트가 치과 의료종사자에게 미치는 영향 (Impact of the empowerment of dental personnels)

  • 이혜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97-310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mpact of the empowerment of dental personnels as one of variable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dental institutions and to seek ways of boosting their organizational productivity.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dental personnels who worked in dental institutions. After three investigators were trained, a pilot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 to November 20, 2009, and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pilot survey was finali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2.0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Results: 1. The dental personnels investigated got 3.98 in meaningfulness, one of the empowerment factors. They found a meaning in their job when they performed it. 2. The dental personnels who were older were more excellent in self- determination and influence, and age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empowerment. 3. The dental personnels who were better educated were more superior in terms of empowerment, and academic credential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empowerment factors was statistically. 4. The dental personnels whose yearly salary was larger were more which were the factors of empowerment of each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5. Dental health agency workers less than three years accounted for most of 152 people were working longer duration of empowerment as a whole was that each of the factor scores. Empowerment of each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6. The dental hygienists made up the largest group among the dental institution employees, and the kind of occupation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meaningfulness, competency and influence, which were the factors of empowerment. 7. The greatest group of the dental personnels worked in dental clinics, and the dental hospital employees surpassed the dental clinic employees in competency, self-determination and influ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luence factor according to the type of dental institutions. Conclusions : Thus, the dental personnels were more aware of the meaningfulness factor when their perception of the job-related empowerment was checked, and it indicated that most of them attached importance to meaningfulness during their job performance. But just employees who worked in dental institutions located in particular regions were examined, the findings might not be generalizable. In the future, more extensive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and the sorts of programs that could stir up empowerment among dental institution employees or bolster organizational empowerment should be developed.

다발성 경화증의 업무상 재해 인정과 그 시사점 : 대법원 2017. 8. 29. 선고 2015두3867 판결을 중심으로 (Recognition of Occupational Accidents related Multiple Sclerosis and Its Implications)

  • 전병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559-566
    • /
    • 2017
  • 산업현장에서의 사고와 질병을 차단하기 위해서 정부가 각종 예방대책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 재해율과 달리 질병 재해율은 감소하지 않고 있다. 업무상 질병은 잠복기를 거치고 발병되거나,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서 근로자는 업무와 질병 사이의 인과관계를 증명하는 것이 쉽지 않다. 더욱이 산업현장과 관련된 자료는 대부분 사용자에게 있으며, 자료의 일부가 근로자에게 있더라도 의학적 전문지식이 부족하여 질병의 특성 및 발현과정을 규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2017년 8월 대법원은 첨단산업 분야에서 유해화학물질 노출에 의한 직업병(다발성 경화증)의 업무상 재해를 인정함에 있어 근로자의 증명책임을 완화한 전향적 판결을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당사건을 중심으로 첨단산업 현장에서 발생한 업무상 질병 사건에 대한 판례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희귀질환의 업무상 재해 인정에 대한 관련 법률의 미비점을 보완하여 근로자가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근무함으로써 건강권과 노동권을 담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 연구원들의 생물안전 개념에 대한 현황 (Laboratory Biosafety Status of Researchers in Korea)

  • 김대식;김미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71-76
    • /
    • 2018
  • 본 연구는 2017년 1월 3일~3월 25일까지 실험실 연구자를 대상으로 생물 안전성에 대한 현황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국내 감염병 병원체 취급대학 및 의과대학 소속 실험실에서 병원성 미생물을 취급하는 실험실 연구자 총 500명을 설문 조사하여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는 높은 수준의 인지도를 보였으나 전반적인 생물 안전성 규칙 및 규정을 준수하지는 않았다. 실험실의 생물안전 시설의 등급 여부에 관한 문항에 관한 질문에는 '알고 있다'가 55.8%,'모른다'가 44.2%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적절한 안전 조치가 개인을 보호 할 수 있으며, 안전 장비와 생물 안전 계획이 충분하지 않음에도 실험실이 안전하다고 믿었다. 생물안전 교육에 관련된 조사에서 연구자의 80%는 실험실 안전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고 20%는 안전교육을 받은 적이 없었다. 생물안전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66%,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46%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자들은 이미 생물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지만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생물 안전성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훈련 프로그램 및 교육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실험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실험실 생물 안전에 대한 보다 개선된 교육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의료기관 영양서비스 현황 I : 영양부서 조직.인력체계 및 작업생산성 (Hospital Nutrition Services I : Organization, Personnel and Productivity of Nutrition Department)

  • 김동연;이윤태;김정원;장영애;서희재;김영찬;윤성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4호
    • /
    • pp.458-471
    • /
    • 2001
  • To evaluate the infra structure supporting hospital nutrition services,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unit of organization, unit of dietitians work system, number of personnel engaged on nutrition services, productivity of food service, management of dietitians works, computerization of nutrition services etc. Total ninety-six hospital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y were varied in terms of hospital classification, location, number of beds and type of food service management. All of the large hospitals with more than 400 beds conducted nutrition services under the department of nutrition, but some of the middle and small hospitals with less than 400 beds conducted nutrition services under the other department such as administration. In most of the tertiary hospitals, the work of dietitians were separated in which food services and medical nutrition services were conducted independently by different dietitians, whereas, in most of general hospitals and all the hospital, food services and medical nutrition services were conducted by the same dietitians in all time. The numbers of dietitians and cooks per 100 beds were fewer in the large hospitals with more than 400 beds than the hospitals with less than 400 beds, and the number of cooking and meal serving assistants were the just opposit. The average productivity of food service was 44.5 meals per hour for each dietitian, 84.8 meals per hour for a cook and 7.0 meals per hour for a cooking and meal serving assistant. The productivities for dietitians and cooks tend to be higher in large hospitals than middle and small hospitals, whereas the productivities for cooking and meal serving assistants were just opposite. The large hospitals seemed to solve the problem on the lack of working personnels by hiring part-time workers and by utilization of computer system for their works. The pattern of daily work management in food service area was not much different between dietitians duties, but the pattern of daily work management in medical nutrition service area was different in a way which the analysis of patients nutrient intakes was almost not conducted by dietitians handling both food services and medical nutrition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fra structures conducting nutrition services among hospitals, suggesting that the strategies to improve this improve this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ies need to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Korean J Nutrition 34(4) : 458∼471, 2001)

  • PDF

안경원 이용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Various Factors giving Impacts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spectacle Wearers)

  • 주경복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81-186
    • /
    • 2000
  • 이 연구는 안경원이 제공하는 여러 가지 서비스에 대한 만족상태와 이에 관련된 변수를 파악하여 안경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안경원 다섯 곳을 선택하여 이들 안경원에 내원하는 안경사용가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1999 10. 1부터 1999. 12. 1까지 2개월간에 구조화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250부이였으나 답변이 불확실한 28부를 제외하고 222부만을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남자 54.1%, 여자 45.9%였으며, 연령군 별로는 20~29세가 47.7%로 가장 많았고, 학력은 대졸이상이 35.1%, 고졸 32.4%였다. 2. 안경원에 대한 안경사용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원항목과 진열된 안경테 항목이었다. 3. 안경원에 대한 안경사용자가 재 이용할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설상태 항목, 의견반영 항목 그리고 직원 서비스 항목이었다. 4. 안경원을 방문한 안경사용자가 자기가 방문한 안경원을 다른 제 3 자에게 추천할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원 항목, 진열된 안경테 항목, 시설상태 항목 그리고 가격 항목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안경원을 이용하는 안경사용자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안경원의 직원(안경사)이 안경에 관련된 풍부한 지식을 갖추고 안경사용자에게 친절히 설명하여 신뢰감을 주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Is the Agricultural Work a Risk Factor for Koreans Elderly Spinal Sagittal Imbalance?

  • Hong, Jong-Hwan;Han, Moon-Soo;Lee, Seul-Kee;Lee, Jung-Kil;Moon, Bong Ju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3권5호
    • /
    • pp.623-630
    • /
    • 2020
  • Objective : A primary degenerative sagittal imbalance has been considered because of unique lifestyles such as the prolonged crouched posture during agricultural work and perform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the floor. Previous papers have reported that sagittal imbalance disease is often seen distinctly in the farming districts of "oriental" countries such as Korea and Japan. However, this finding was only evaluated with the use of X-ray, and other factors such a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muscle volume, compression fracture, and laboratory results were not considered. Thus, using these, we evaluate the agricultural work-associated factors for Korean elderly spinal sagittal imbalance. Methods : We recruited 103 Korean participants who had a sagittal vertical axis (SVA) of >5 cm in this Korean Elderly Sagittal Imbalance Cohort Study. The following were evaluated : radiological parameters, MRI, compression fracture, vitamin D, parathyroid hormone, C-terminal telopeptide, osteocalcin, bone mineral density and muscle fatty change, muscle volum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rom patients' survey. Moreover, in this survey, the farmers' annual working hours were investigated. Subsequently, we analyzed the associated factors for spinal sagittal imbalance depending on occupation. Results : A total of 46 participants were farmers, and the others were housewives, sellers, and office workers. The farmer group had more SVA (141 vs. 99 mm, p=0.001) and pelvic tilt (31° vs. 24°, p=0.004) and lesser lumbar lordosis (20° vs. 30°, p=0.009) and thoracic kyphosis (24° vs. 33°, p=0.03) than non-farmer group.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the working hour and SVA in the farmer group (p=0.014). The visual analogue scale score for back pain (8.26 vs. 6.96, p=0.008)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23.5 vs. 19.1, p=0.003) in the farmer group were higher than that in the non-farmer group, but the Short Form-36 sco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Mini-Mental State Exam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armer group than in the non-farmer group (24.85 vs. 26.98, p=0.002). Conclusion : The farmer group had more sagittal imbalance and back pain in proportion to the working hours even though the muscle and bone factors and general laboratory condi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results supported that the long hours spent in the crouched posture while performing agricultural work were a risk factor for severe sagittal imbalance.

미국작업치료학회지(AJOT)에 나타난 직업재활에 관한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Through Analysis of Studies i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 노동희;조은주;감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36-444
    • /
    • 2017
  • 본 연구는 미국작업치료학회지(AJOT)에 게재된 연구를 바탕으로 작업치료 영역에서 직업재활과 관련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2000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미국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직업재활과 관련 있는 3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형태, 연구의 질적 수준, 연구대상자, 연구주제 등을 분류하여 기술적 통계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연구형태에서는 종설과 메타분석이 8편(22.9%), 질적 및 자연주의적 연구가 7편(20%), 집단비교 및 상관관계연구, 실험 및 결과연구는 각 4편(11.4%), 사례 연구 및 단일대상연구, 설문조사는 각 3편(8.6%)순으로 나타났으며, 질적 수준은 level V 14편(40.0%), 연구 대상자의 진단명은 정신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7편(33.3%)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주제별 분류 및 결과에서는 직업재활 과정과 관련된 연구 25편(71.4%), 일의 의미 및 가치에 관련된 연구 10편(28.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미국의 작업치료 분야에서 직업재활과 관련된 주요 연구동향과 대상자, 연구형태, 질적 수준을 알 수 있었고 추후 국내에서도 직업재활과 관련하여 질적으로도 높고,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아울러 직업재활의 과정과 일의 의미 및 가치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