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Risk Factors Analysis and Improvement of VDT Syndrome in Nuclear Medicine

핵의학과 Video Display Terminals Syndrome 유해 요인 조사 및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Jung-So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Seung-Jeo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Hong-Ja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Jin-Eui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Hyun-Jo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Han, In-Im (Wonjin Working Environment Health Laboratory) ;
  • Joo, Yung-Soo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 김정수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김승정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이홍재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김진의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김현주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한인임 (원진 노동환경건강연구소) ;
  • 주영수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산업의학과)
  • Received : 2009.12.25
  • Accepted : 2010.01.13
  • Published : 2010.06.05

Abstract

Purpose: Recently,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have an interest in Video Display Terminals (VDT) syndrome includ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ophthalmologic disorders, trouble of electromagnetic waves and stress disorders occur to VDT workers as the growing number of users and rapid pace of service period supply in large amount. This study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for VDT syndrome in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NUH), discover the problem and draw a plan of upcoming improvement. The aim of this study establish awareness about VDT syndrome and is to prevent for it in the long run. Materials and Methods: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NUH is composed Principle part, Pediatric part and PET center. We estimated risk factors visit in each part directly. Estimation method use "Check list for VDT work" of Wonjin working environment health laboratory and check list is condition of VDT work, condition of work tables, condition of chairs, condition of keyboards, condition of monitors, working position, character of health management and other working environment. Analysis result is verified in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d Hospital.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s, VDT condition of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NUH is rule good. In case of work tables, recent of things are suitable to users upon the ergonomical planning, but 15% of existing work tables are below the standard value. In case of chairs are suitable, but 5% of theirs lost optimum capacity become superannuated. The keyboards are suitable for 98% of standard value. In case of monitors, angle control of screen is possible of all, but positioning control is impossible for 38%. In case of working position, 10% is fixed positioning for long time and some of the items researched unsuitable things for standard. At health management point, needed capable of improvement. Also, other working condition as lighting, temperature, noise and ventilation, discovered the problem, but is sufficient to advice value. Conclusion: VDT syndrome is occurrences of possibility continuously, come economical expensive about improvement, is inherent in various causes and originate without your knowledge. So, there is need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In Nuclear Medicine, VDT syndrome make it better that constant interest and effort as improvement of ergonomical working environment, improvement of working procedure, regular exercise and steady stretching, and can be prevented fairly. This promote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 of worker in top form in comfortable working environment, so this is judged by enlargement of operations efficiency and rising of satisfaction ratings of the inside client.

VDT는 Video Display Terminals의 약어로 시각 표시 단말기를 뜻한다. 최근 핵의학과에 VDT가 대량 보급되면서 점차적으로 사용자들이 늘어남과 동시에 사용 기간이 급증함에 따라 VDT 증후군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를 대상으로 VDT 유해 요인 평가 도구를 적용하여 그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향후 개선에 관한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VDT 증후군에 관한 의식을 정립하고 궁극적으로 예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를 본원 핵의학과, 소아 핵의학과, PET 센터의 3개 파트로 분류하고, 2009년 4월 한 달 동안 현재 근무 중인 방사선사 23명을 대상으로 근무 부서를 직접 방문하여 유해 요인을 평가하였다. 평가에 사용한 도구는 원진 노동환경건강연구소의 "VDT작업에 관한 체크리스트"를 적용하였고 VDT 작업 조건, 업무 책상의 조건, 의자의 조건, 키보드의 조건, 모니터의 조건, 작업 자세, 보건 관리 특성, 기타 작업 환경의 8개 부문, 총 55개 항목을 통하여 현장 조사 및 평가하였으며 이에 대한 분석 결과는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산업의학과에서 검증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의 VDT 작업 조건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었다. 책상의 경우 최근 도입한 경우에는 인체공학적 설계로 사용자에게 적합하였으나 기존 책상의 15%는 기준치에 미달하였다. 의자의 경우는 기준에 적합하였지만 노후화로 인하여 적정 기능을 상실한 것이 5%였다. 키보드는 98%가 기준에 적합하였고 모니터는 화면의 각도 조절은 모두 가능하였지만 위치 조절이 불가능한 것이 38%로 조사되었다. 작업 자세의 경우 부적절한 자세로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가 10%였으며 일부 항목에서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건 관리 측면에서도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명과 온도, 소음, 환기 등 기타 작업 환경은 일부 항목에서 문제점이 발견되었지만 권고치를 충족하였다. 핵의학과 업무는 과거에 비하여 육체적인 업무는 줄었으나, 장시간 정적인 자세로 고도의 정밀도와 집중력을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는 필연적으로 VDT 증후군을 유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VDT 증후군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개선에 대한 경제적 비용이 상당하다는 점과 다양한 발병 요인을 내재하며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발생한다는 점에서 보다 구체적이며 효율적인 관리 체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핵의학과의 VDT 증후군은 인체공학적 사무 환경의 개선, 업무 절차(procedure)의 개선과 업무의 효율화, 직원간의 협동작업(teamwork) 그리고 규칙적인 운동, 꾸준한 스트레칭 체조와 같은 사용자 스스로의 노력, 지속적인 관심과 작은 노력으로 충분히 개선될 수 있으며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것은 쾌적한 업무 환경속에서 사용자의 육체적, 정신적 상태를 최상으로 이끌고 업무 효율성의 증대와 함께 내부 고객 만족도 상승으로 이어질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