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workers

검색결과 4,395건 처리시간 0.038초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운동재활분야 활성화 방안 (An Exercise Rehabilitation Field Revitalization Plan for Promoting Elderly Sport for All)

  • 조경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05-319
    • /
    • 2020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와 고령사회를 맞아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해 운동재활분야의 현주소를 파악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노인생활체육 활동 및 관련 운동재활분야의 실태를 분석하고 노인보건복지와 노인생활체육 사업의 분석, 그리고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운동재활분야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노인들의 생활체육 참여 유인 홍보 시 운동재활의 필요성과 중요성의 인식과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노인여가복지시설 등에 노인스포츠지도사를 의무적으로 배치하여 사회복지사와의 협업으로 효율적인 노인건강지도 관리에 전문성을 강화시켜야 한다. 셋째, 대학의 생활체육학과, 노인체육복지학과 및 실버복지스포츠학부 등 교육과정에 운동재활 및 유사과목을 이수하도록 하며, 노인여가복지시설 등의 자원봉사활동 과목도 이수하도로 하여 진로선택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문화체육관광부와 보건복지부와의 협업을 통해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 등 특성화된 운동재활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운동종목 능력과 운동재활능력을 겸비한 전문가를 순회강사로 활용하여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에 이바지해야 한다. 다섯째, 노인생활체육에 필요한 연구개발에 투자를 확대한다. 여섯째, 노인대상의 혼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재활치료 동영상과 지침서를 개발하여 배포한다. 이는 다섯 번째와 연계된 내용이며, 특히, 코로나19 관련 긴급히 대비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문화체육관광부와 보건복지부의 조정된 노인체육진흥 기구신설을 통해 이중적 업무에 따른 비효율성과 예산낭비를 줄여야 하며, 기구신설의 기능을 확대하여 은퇴 후 건강관리, 운동재활, 안전사고 예방, 바이러스 등 교육부분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보건진료원의 정규직화 전과 후의 보건진료원 활동 및 보건진료소 관리운영체계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Activities and Primary Health Post Management Before and After Officialization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 윤석옥;정문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9권2호
    • /
    • pp.141-158
    • /
    • 1994
  • 정부는 보건진료원으로 하여금 지역주민들에게 보다 더 의욕적으로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1992년 4월 1일부터 보건진료원을 별정직 공무원으로 정규직화 하였다. 본 연구는 보건진료원의 정규직화가 보건진료원의 업무활동과 보건진료소의 관리운영체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의 보건진료소 중 집락추출법과 단순확률추출법으로 50개소를 뽑아 보건진료원을 대상으로 직접 면담조사하고 제반기록 및 보고서에서 필요한 자료를 발췌하였다. 조사기간은 1992년 1월 1일에서 3월 31일까지(정규직화 이전)와 1993년 1월 1일에서 3월 31일까지(정규직화 이후)였다. 보건진료원들의 96%가 정규직화를 원했는데 그 이유는 신분보장과 보수가 좋아지리라는 것이었다. 정규직화 후 보건진료원직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는 사람이 24%에서 46%로 증가하였다. 신분보장에 대해서는 항상 불안하다는 사람이 30%에서 10%로 감소하였다. 정규직화 후 월평균 급여액은 802,600원에서 1,076,000원으로 34% 증가했으며 90%가 만족한다고 했다. 업무 내용별 자율성 인지정도는 업무계획, 업무수행, 진료소관리(재정)운영, 업무평가 영역에 대한 자율성 인지도가 정규직화 후에 증가되었다. 보건진료원의 활동내용 중 지역사회 자원파악, 지도작성상태, 지역사회조직 활용정도, 인구구조 파악정도와 가정건강기록부 작성은 정규직화 후에 특별한 변화는 없었다. 또한 집단보건교육, 개인보건교육, 학교보건교육의 실시도 정규직화 후에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가정방문 실시현황은 1인당 월평균 13.6%회에서 정규직화 후에는 27.5%회로 늘었다. 모성보건 및 가족계획 사업 그리고 예방접종도 정규직화 후에 타기관에 의뢰하는 것이 더 늘었다. 통상질병관리 가운데 성인병관리는 3개월 동안 1개 진료소당 평균 고혈압환자는 12.7%명에서 11.6명으로, 암환자는 1.5명에서 1.2명으로, 당뇨병환자가 4.3명에서 3.4명으로 줄었다. 각종 기록부 비치상황은 장비대장, 약품관리 대장, 환자진료기록부는 100% 비치되었으나 기타 기록부는 그렇지 않았고 정규직화 후에도 변화는 없었다. 보건진료소가 보건소로부터 지원을 받는 내용은 약품 14.0%에서 30%로, 소모품 22.0%에서 52.0%로, 건물유지 및 보수가 54.0%에서 68% 로, 보건교육 자료가 34.0%에서 44.0%로 증가하였고, 장비는 58.0%에서 54.0%로 감소했다. 보건진료소의 월평균 수입은 진료수입이 약 22,000원 증가했고, 국비 또는 지방비 보조금이 4,800원에서 38,508%원으로 증가했으나 회비 및 기부금은 줄어 총수입은 약 50,000원 증가했다. 지출총액은 큰 변동이 없었다. 보건소로부터 3개월 동안 받은 지도감독 중 지시공문을 받은 진료소가 20%에서 38%로 늘었고, 방문지도는 79%에서 62%, 회의소집은 88%에서 74%로 감소하였다. 전화지도는 보건진료소당 평균 1.8회에서 2.1회로 늘었다(p<0.01). 면보건요원과의 협력관계가 있다고 한 보건진료원은 42%에서 36%로 감소하였다. 보건소장과의 관계가 좋다는 보건진료원이 46%에서 24%로 감소하였고, 보건행정계장과 관계가 좋다는 사림이 56%에서 36%로 감소하였다(p<0.05). 보건진료소 운영협의회 회장과의 관계가 좋다는 사람은 62%에서 38%로 감소되었고 보건진료소 운영협의회가 보건진료소에 별로 도움이 안된다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람이 정규직화 전과 후에 각각 92.0%, 82.0%였다. 운영협의회가 필요 없다는 사람은 정규직화 전에 4%에서 16%로 증가되었다(p<0.05). 보건진료원제도 발전을 위해 제안된 사항은 보건교육중심의 활동, 보건진료소운영의 자율성 보장 보건소에 경험이 풍부한 보건진료원을 두어 지도감독하게 할 것과 사용하는 약품의 종류를 늘려 줄 것 등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하 정규직화 후 보건진료원의 역할, 기능 등의 업무활동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나 신분보장과 봉급에 대한 만족도는 향상이 되었고 또한 자율성도 증가하였다. 보건소의 지원은 약간 늘었으며, 지도감독체제에서 지시 공문의 증가로 사무보고 업무가 많아지고, 근무 확인을 위한 전화감독은 늘었으나 업무치진을 위한 행정직 지도 또한 기술적 지도는 거의 없었다.

  • PDF

일부 직업인들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강증진생활양식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 Promoting Life Style among Some Workers)

  • 강홍구;이은경;전선영;김상덕;정재열;이영길;장두섭;송용선;이기남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0-68
    • /
    • 2001
  • In this study, grade of subjective symptom appealed by laborer of Jeollabuk-do was evaluated using questionary regarding factor made effect on musculoskeletal disease and in addition, studied relationship with health promotion life style of them. Based on the result, relationship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 and life-style of the subjects was concluded as below.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were as following. Ratio of male was higher as 57.7% of male and 42.2% female and age distribution was 5.1% of 20s, 34.99% of 30s, 36.3% of 40s and 23.7% of 50s and therefore, $30{\sim}40$ aged groups showed highest ratio. Most subjects (74.9%) was married status and in case of education level, high-school graduate and dropout (23.3%) and over-college graduate (46.8%) showed highest distribution. $1{\sim}2$ Mil. KRW (29.5%) and $2{\sim}2.99$ Mil. KRW (21.2%) is the main income distribution and however there was high ratio of non-reply (29.0%). In case of employment period, $10{\sim}14$ years (15.3%) and over 15 years (29.6%) showed highest ratio and there were many non-reply (39.4%) and in addition, 67.6% replied as own house and 14.3% as lease on deposit base in question of residence type. 2. Subjects showed high ratio of subjective symptom appeal of 62.79% and many cases (50.23%) appealed 1 or 2 symptoms. Symptom by body region was 29.8% (waist), 27% (shoulder), 21.2% (knee), 15.5% (neck), 9.5% (ankle), 8.1% (wrist) and 5.0% (elbow) in order. In case of relationship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female comparing with male, non-residence of own house, subjects with lower education level and employment period of $10{\sim}14$ years showed higher appeal rate and kind of symptoms than other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 appeal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gender, level of living, education level, age and employment period. 3. In case of severe pain of upper body except waist and ankle, it was appealed in both or right side and it means that upper body pain is originated from right side and right region pain is transited to both region pain. In addition, there was 39.41% of non-reply to existence of right-left region pain and therefore, it was evaluated that, in may cases, there was no awareness of their own symptom condition even on subjective symptom. 4. Degree of pain was, as pain over middle level, evaluated as 2.79 on full mark of 4.0 and in order of waist (2.97), ankle (2.83), knee (2.82), wrist (2.82), neck (2.79), shoulder (2.70) and elbow (2.62). In addition, 71.97% appealed $2{\sim}3$ cases for the latest 1 week. Owing to subjective symptom, 54.95% drop into hospital or pharmacy, 10.32% made temporary retirement or absence, 7.99% transferred into more comfortable duty and $39.4{\sim}54%$ experienced one or more managing mentioned above. 5. Fulfillment of health promotion life style of subjects was evaluated on full mark of 4.0 and total score was 2.63. Average mark of each area was personal relationship (3.05), self-realization (2.92), stress management (2.63), health control (2.48), physical exercise (2.19) and nutrition management (2.19) and personal relationship was highest and physical exercise and nutrition management were lowest. As gener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life style, gender, residence style and employment peri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Male showed higher mark than female and showed higher mark in order of own house, others, lease on deposit base, monthly rent. Subjects with longer employment period showed higher mark with significant difference. 6. Accounting of factor influencing each area of health promotion life style, self-realization showed significance in marriage status, income, residence style and education level and health control in age, residence style and employment period. Physical exerci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ge, residence style and employment period and nutrition in gender, age, residence style and employment period. Stress manag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dence style and employment period and however not in personal relationship. 7. Health promotion life style relating with existence and kind of pai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 except personal relationship area. In absence of pai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score in all area even in total health promotion life style and all area. Accounting of kind of pain, cases of $1{\sim}2$ kinds of pain and $5{\sim}6$ kinds of pain showed relatively high score and it was lower than mark of subject stated absence of pain. 8. Subjects appeal symptom were classified by symptom region and difference of total and each areas were evaluated. General area (p=0.002), self-realization (p=0.012), health management (p=0.023), physical exercise (p=0.028), nutrition management (p=0.028) and stress control (p=0.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not in personal relationship area. Especially, elbow, shoulder and neck area marked high and group appealed pain of knee, arm and elbow, foot and ankle marked low. Based on those results, subjective symptom should be accounted seriously in diagnosis of occupational musculoskeletal disease of laborer and among subjective symptom, general characteristics of gender, age, condition of living, education level and employment period make effect. Generally subject appeal symptom marked lower than subject without symptom appeal and it means that life management of subject appealing musculoskeletal pain make important role in management and treatment of occupational musculoskeletal disease.

  • PDF

VDT 증후군의 환경적 요인과 증상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Symptoms of VDT Syndrome)

  • 정승희;이선영;어선미;김덕훈;이은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5-69
    • /
    • 2009
  • 목적: 최근 컴퓨터가 대량 보급되면서 VDT 증후군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VDT 증후군은 VDT 작업자들에게 나타나는 근골격계 질환, 신경정신계 장애, 눈의 긴장, 피로, 자극과 충혈 등 안과적 증상을 포함한다. VDT 증후군의 환경요인으로는 전자파, 컴퓨터 화면의 크기, 밝기, 조명, 모니터 및 작업대의 높낮이, 작업시간, 작업의 종류, 작업자와 스크린과의 거리, 실내습도 및 온도, 사무실내의 공기오염, 환기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거리 시각 작업으로 인한 VDT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주요 신체증상 및 신체 및 심리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을 조사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19세부터 28세사이의 남자 54명, 여자 66명으로 총 120명이었다. 책이나 문서 읽기, 컴퓨터 작업 등에 대한 근거리 작업을 할 때에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과 육체적 불편함을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에는 근업작업에 따른 주요 신체 증상과 눈의 자각 증상, 작업환경에 대한 만족도, 키보드, 마우스 사용시의 손목 통증 경험 등을 포함하였다. 결과: 장시간 컴퓨터, 문서,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에 대부분(70%)이 신체적인 통증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부위는 주로 목과 허리(57.1%), 눈(45.2%), 두통(31%) 등이었다. 환경적 요인에서는 적절치 못한 조명으로 눈의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78.3%였다. 대부분의 증상은 '눈의 피로'(38.3%), '눈의 건조성'(31.9%), '눈의 흐릿함'(23.7%)이었다. 대상자들은 의자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였고 키보드, 마우스 사용 때 손목의 통증은 대부분 경험하였다. 결론: 전자기기, 문서 등을 이용할 때 빛, 공간, 자세, 작업대 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이 조화롭지 못해 눈의 피로, 신체적인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문서작업을 할 때에는 휴식시간에 대한 자기관리와 같은 예방법을 개발하여 눈의 피로를 줄여야 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해 최적의 시각적인 환경을 위한 인간공학적 디자인으로 작업환경을 바꾸어야 할 것이다.

  • PDF

치과의료 종사자들의 연봉제 실시에 관한 의식도 조사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he Yearly Income System among Dental Personnels)

  • 윤미숙;이경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10
    • /
    • 2003
  • 치과의료 종사자의 연봉제 도입에 대한 의식 고찰을 통하여 연봉제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 설정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문헌과 자료를 조사하고, 전국 치과 병, 의원에 종사는 구성원 95명을 대상으로 2002년 4월부터 8월까지 약 5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근무하는 병원의 형태에 따라 연봉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치과병원의 종사자가 치과의원의 종사자보다 연봉제 실시로 인한 경영참여의식(p<.001)과 업무생산성의 향상(p<.01), 목표달성에 대한 사명감(p<.01), 장래에 대한 불안감(p<.05)에 대해 더 높은 인식을 보였다. 2. 연봉제에 대한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치과의사가 치과위생사보다 연봉제 실시로 인한 성과평가의 공정성(p<.01)과 능력발휘 풍토변화(p<.01), 업무생산성의 향상(p<.001), 목표달성에 대한 사명감(p<.001), 그리고 연봉제에 대해 높은 인식(p<.01)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근무경력에 따라 연봉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근무경력이 오래될수록 업무의 엄격성 강화정도(p<.05)와 단기 업적주의 치중 가능성(p<.05)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3~5년 종사자가 다른 종사자보다 근무시간의 변화(p<.01)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고, 2년 이하의 종사자가 연봉제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p<.05)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연봉제가 성과를 거두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평가결과의 공정성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치과의료 종사자가 3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노사 상호간의 이해와 신뢰구축 26.3%, 연봉제의 구성원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16.8%, 연봉제에 대한 최고경영자(주체)의 확고한 신념 12.3%, 연봉산정의 기준이 되는 목표치의 달성가능 10.5%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과의원 종사자가 치과병원 종사자보다 연봉제가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연봉제의 구성원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p<.05)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고, 치과의사가 치과위생보다 연봉산정의 기준이 되는 목표치의 달성가능(p<.001)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 PDF

사회$\cdot$경제적 요인별 차별 사망력의 변화: 1970 ~ 1986 (The Changes of Mortality Differentials by Socioeconomic Determinats(1970~86) : Based on Death Registration Data)

  • 윤덕중;김태헌
    • 한국인구학
    • /
    • 제12권2호
    • /
    • pp.1-21
    • /
    • 1989
  • For the analysis of mortality differentials by socioeconomic factors based on death registration data, we have considered four variables : place of residence, educational attainment,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The age range adopted were 5 to 64 years of age for place of residence, and 25 to 64 years of age for the other factors. The mortality differentials by socioeconomic variables were clear and in the expected direction: mortality levels among urban residents, better educated groups, and non- agricultural workers were lower than among the other sub- groups. The average mortality level in rural areas is much higher than in urban areas : the rural mortality levels were at least double the urban levels at ages below 40 years, but became smaller after age 40, and no clear differentials by urban I rural residence increased until 1974~76 for the both sexes, but since the then differentials have declined slowley for both sexes. This changing pattern of mortality differentials by place of residence can be explained by historical socioeconomic development : the development generally started in urban areas, and rural areas followed : in the course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ath rates in the two areas became smaller and finally the mortality levels in the two areas became nearly the same, as is found in the developed countries nowadays. The inverse relationships between mortality and educational level became stronger between the periods 1970~72 and 1984~86, but showed the same atterns of mortality differentials in both period : larger differences among the younger age groups, and for males, than among the older age groups, and for females. The increasing mortality differentials in the fourteen-year period between 1970~72 and 1984~86 were caused by inadequate living standards of the non- educated, whose proportion in the total population, however, dropped sharply during that period. Also, the much lower proportions of low - educated groups or of persons with no formal education among males than females helped to establish the clearly pronounced differentials. The mortality differentials by marital status in Korea showed the usual pattern : the mortality rates of the married in each age and sex group were clearly lower than those of others during the fourteen-year period between 1970~72 and 1984~86. In Korean society which remotes universal marriage, the never married recorded especially high death rates, presumably mainly because of ill - health, but also possibly because of the stigma attached to celibacy. However, the mortality differentials by marital status changed with the changes in the proportionate distribution by marital status during the period :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ath rates of the married and never married groups became smaller, the proportion of the never married group increased : in contrast, the differences between mortalities of the married and widowed / divorced / separated groups widened, with the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the later group ; this tendency was perticularly marked for females. Occupational groups also showed clear mortality differences : among four occupational groups mortality of males was highest among agricultural workers and lowest among 'professional, admi-nistrative and clerical workers, However, when the death rates were standardized by educational level, the death rates by occupation in age group 45~64 years were nearly the same (excet for the mixed group consisting of unemployed, students, military servicemen and unknown). Therefore, the clear mortality dfferentials by occupation in Korea resulted mainly from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level between different occupation groups. Sinc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each other, the net effect of each variable was examined. Each of the three variables - 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and urban / rural residence affected significantly Korean adult mortality when the effects of the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Among the three variables educational level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adult mortality level. When male's occupation was added to the above three variables, the effects of occupation on adult mortality were notably smaller after control for the effects of the other three variables while the net effects of these three variables were nearly the same irrespectively whether occupation was included or not. Thus,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level (mainly), place of residence and marital status bring out the clear differences in observed mortality levels by occupation.

  • PDF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들의 치과홈페이지 인식도 조사 (An investigation on the recognition degrees of the dental clinics' homepages by students of dental hygienic departments in some areas)

  • 김선영;장선희;문상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753-767
    • /
    • 2009
  • Objectives : The study is to gain some basic material for the improvement of dental clinics' homepages through a survey investigation, in which college students of three Dental Hygienic departments participated in Kwangju and Cheollanamdo Province. Methods : In the investigation three factors were analyzed : the degree of knowledge on dental clinics' homepages, the degree of recognition on them, and whether they have paid a visit on them or not. A total of 509(96.8%) respondents are valid except 17sheets of responses. Results : 1. When asked about the degrees of knowledge on the formation of the homepages by students' years, the correct rate on Information Service was higher in a row of the second year, the first year, and the third year. And it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the part of Counseling Service, the rate of correct answers was highest in the second year, and then the first year and the third year. It also shows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case of Visual Service, the second year got the highest rate of correct answers, and then the first year and the third year. 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school years<0.01) 2. It was asked whether they have visited the dental clinics' homepages. The results are like this: 145 sophomores(28.5%) have visited them, and 115 juniors(22.6%) and 85 freshmen(16.7%), and i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3. It was asked how many sites they have visited. Among the freshmen, not a few students visited two sites (34, 9.9%), among sophomores 48 students visited five sites(13.9%), and among juniors the highest answers were two sites (41, 11.9%). It shows signigicant difference(p<0.01). 4. It was asked what is the purpose of the visits. At this 27 freshmen answered for having counseling(7.8%), and 80 sophomores(23.3%) and 43 juniors(12.5%) answered they visited them for the purpose of gaining some materials about their major. I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p<0.001). 5. It was asked with what opportunity they have visited them. They answered through searching activities like this : freshmen (68, 19.8%), sophomores (130, 37.9%), and juniors (98, 28.6%). I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p<0.05). 6. In regard with the recognition of the homepages, all the participants said that the management of the homepag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images of the clinics($3.96{\pm}0.781$). But it is found that they do not think that the effective management of dental clinics' homepages is the task of dental hygienic workers as a part of dental hygienic($3.12{\pm}0.971$). 7. There is some difference concerned with the homepages among each group of students; sophomores have highest recognition on them and then juniors and freshmen, and i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p<0.01). In addition, those who have visited them show higher recognition than those who have never visited them(p<0.001). Conclusions :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each group of students in regard with the formation service, the purpose of visiting them and such experiences, and the opportunities. Whereases they think that the management of the homepag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images of the clinics, they do not think that the effective management of dental clinics' homepages is the task of dental hygienic workers as a part of dental hygien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ctively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dental clinics' homepages, which will result in the higher recognition on the homepages by the dental hygienic students and the workers.

  • PDF

상급종합병원근무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미치는 영향요인 -장기기증·이식의 지식 및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및 인식- (Factors Influencing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Tertiary General Hospital Workers -Knowledge and Attitude of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wareness of Death, Knowledge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 제남주;화정석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3호
    • /
    • pp.92-103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병원 근무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기증, 장기이식, 죽음,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지식, 태도 및 인식을 알아본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K도 J시에 위치한 일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228명의 대학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으로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관련 지식은 연령, 학력, 직종, 근무부서, 생명의료윤리 교육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뇌사 장기기증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죽음에 대한 인식은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은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연명치료 중단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호스피스 병동 근무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으로 연명치료 중단 태도를 32.5% 설명하였다. 결론: 연명치료 중단 태도에 호스피스 병동 근무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이 관련이 있었으며, 생명의료윤리에 기반을 둔 다양한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일부 조선업 근로자들의 bisphenol A 노출실태와 생물학적 지표 (The Exposure Status and Biomarkers of Bisphenol A in Shipyard Workers)

  • 김청식;박준호;차봉석;박종구;김헌;장성훈;고상백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6권2호
    • /
    • pp.93-100
    • /
    • 2003
  • 용접공은 용접과정에서 용접 흄, 중금속 및 bisphenol-A에 노출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직무노출 메트릭스에 근거하여 근로자들의 내분비 교란물질의 노출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뇨중 대사산물 농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대사효소의 유전적 다형성 분포를 조사하였으며 이들 유전자가 뇨중 대사산물 배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에 있는 모 조선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84명으로 용접공 47명과 대조군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름, 연령, 보호구 착용 여부, 흡연습관, 음주여부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시료채취는 건강검진이 진행되는 오후에 하였으며 뇨중 BPA는 뇨중 크레아티닌으로 보정하여 측정하였다. 대사효소의 유전자 다형성은 혈액의 백혈구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제한 효소 절단 단편 다형성(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법으로 검사하였다. 흄 중 BPA의 농도는 최대값 229.9 ng/mg, 최소값 5.7 ng/mg, 평균 61.9 ng/mg 이었다. 흄 총 중량과 흄중 BPA 양 간에 상관계수는 0.516으로 양적 선형관계를 보여주었다. 뇨중 BPA 농도는 대조군보다 용접공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CYP1A1, CYP2E1, UGT1A6등의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 뇨중 BPA 농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뇨중 BPA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노출등급만이 유의한 변수였다. 용접 흄에 노출된 후 뇨중 BPA농도에 영향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노출등급이었으며, 대사효소의 유전적 다형성은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유연근로시간제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lexible Working Hours)

  • 권용만;서의석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2호
    • /
    • pp.97-108
    • /
    • 2021
  • 근로계약은 형식상으로는 노동력상품과 임금의 교환관계로서 나타나지만, 단순한 물물교환의 차원을 초월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제학적으로 노동력상품과 화폐의 교환관계로서 '매매'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고 '임대차'로 파악할 수도 있다. 상품교환관계를 법적인 측면에서 보면, 노동력과 임금의 교환관계를 합법적으로 지지하고 그것에 구속력을 부여하여 강제화하는 법적인 장치가 계약이다. 이러한 근로계약은 임금을 수령하고, 임금의 수령의 반대급부로 일정한 시간을 사용자의 지휘·감독하에 두는 관계를 가져오게 하였다. 근로시간은 자신의 노동력을 사용자의 처분권하에 둔 종속시간이기 때문에 장시간의 근로는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가치를 침해하는 행위가 될 수 있음으로 그 규제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근로시간의 단축은 인간의 생체적 한계를 설정하고, 확대 재생산을 할 수 있도록 생산적 측면에서 근로자의 문화에 대한 향유와 인간으로서 삶의 질을 확보하는 사회적인 측면에서 단축이 필요하지만, 사용자의 기업 경영상의 노동력 확보와 생산 활동 및 자본주의 국가에서 추구하는 것과 비교하여 이 둘의 양립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근로시간은 개인에게서의 시간과 사회전체에서의 시간으로 볼 수 있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장시간 근로는 개인에게서의 시간은 줄어들게 되어 개인적 차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사회전체적인 차원에서 생산 활동에 투입시간의 증대로 인한 생산물의 증가는 사회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근로시간은 이러한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에서의 균형을 찾아간다는 측면에서 근로시간을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근로시간의 규제방법이 근로시간의 시작과 근로시간의 종료에 대한 것으로 근로시간의 총량을 규제하는 것이었다면, 근로시간의 유연화, 탄력화는 근로시간의 총량을 1주 최대 52시간의 범위 내에서 범위를 한정하면서 기업의 새로운 업무의 출현에 따라 근로시간을 탄력적으로 배분하고 편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근로시간의 질적인 규제방식이다. 이에 따라 근로시간은 단축하되 기업의 상황에 따른 유연근로시간제를 확대하여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현재 6개월로 제한되어 있는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운용의 폭의 유연화와 사용자와 근로자간의 합의에 의한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실 근로시간에 대한 처리,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4차 산업혁명에 기반한 새로운 근로형태에 출현에 따른 재량근로시간의 대상 업무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