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ercise Rehabilitation Field Revitalization Plan for Promoting Elderly Sport for All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운동재활분야 활성화 방안

  • Cho, Kyoung-Hwan (Department of Health Rehabilitation in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 조경환 (여주대학교 건강재활과)
  • Received : 2020.05.22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sent state of the exercise rehabilitation field, promote elderly sport for all, and present a revitalization program for higher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the coming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ged society.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activities for elderly sport for all and the relevant field of exercise rehabilitation, analyze the elderly health and welfare and elderly sport for all programs, and present a plan for revitalizing the field of exercise rehabilitation to promote elderly sport for all. Firs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awareness and promotion of the need and importance of exercise rehabilitation in inducing seniors to participate in sport for all.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it compulsory to place sport leaders for seniors at such places as elderly leisure and welfare centers and promote expertise in managing elderly health guidance efficiently through cooperation with welfare workers.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it compulsory to take exercise rehabilitation and similar subjects in the curriculums of sport for all, elderly sport welfare, and silver welfare sport as well as the subject of volunteering activities at such places as elderly leisure and welfare centers with the aim of giving opportunities for career choice.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characterized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s at senior welfare centers, community centers for the elderly, and elderly classes and employ experts equipped with exercise event and exercise rehabilitation capabilities as itinerant lecturers to contribute to the government's job creation policie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OCST)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Fifth, it is necessary to make a greater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required for elderly sport for all. Six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various exercise rehabilitation treatment videos and guidelines that seniors can use for themselves. This is associated with the fifth one; in particular, it is urgent to devise measures against Coronavirus 19. Seventh, it is necessary to reduce inefficiency and budget waste caused by overlapped tasks by establishing a new elderly sports promotion organization through adjustment by MOCST and MOHW; it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the functions of organization establishment with the aim of reinforcing the education area, which involves post-retirement health care, exercise rehabilitation, safety accident prevention, and virus.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와 고령사회를 맞아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해 운동재활분야의 현주소를 파악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노인생활체육 활동 및 관련 운동재활분야의 실태를 분석하고 노인보건복지와 노인생활체육 사업의 분석, 그리고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운동재활분야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노인들의 생활체육 참여 유인 홍보 시 운동재활의 필요성과 중요성의 인식과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노인여가복지시설 등에 노인스포츠지도사를 의무적으로 배치하여 사회복지사와의 협업으로 효율적인 노인건강지도 관리에 전문성을 강화시켜야 한다. 셋째, 대학의 생활체육학과, 노인체육복지학과 및 실버복지스포츠학부 등 교육과정에 운동재활 및 유사과목을 이수하도록 하며, 노인여가복지시설 등의 자원봉사활동 과목도 이수하도로 하여 진로선택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문화체육관광부와 보건복지부와의 협업을 통해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 등 특성화된 운동재활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운동종목 능력과 운동재활능력을 겸비한 전문가를 순회강사로 활용하여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에 이바지해야 한다. 다섯째, 노인생활체육에 필요한 연구개발에 투자를 확대한다. 여섯째, 노인대상의 혼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재활치료 동영상과 지침서를 개발하여 배포한다. 이는 다섯 번째와 연계된 내용이며, 특히, 코로나19 관련 긴급히 대비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문화체육관광부와 보건복지부의 조정된 노인체육진흥 기구신설을 통해 이중적 업무에 따른 비효율성과 예산낭비를 줄여야 하며, 기구신설의 기능을 확대하여 은퇴 후 건강관리, 운동재활, 안전사고 예방, 바이러스 등 교육부분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2019). 2018 보건복지백서.
  2. Gauthier, A.H.& Smeeding, T.M. (2005). Time use at older ages: Cross-national differences, Research on Aging 25, 247-248. https://doi.org/10.1177/0164027503025003003
  3. 김형경. (2016). 한국 교육정책에 나타난 노인복지교육의 인식변화.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0(2), 149-163.
  4. Y. G. Ji, & J. H. Shin. (2017). A Study on the Analysis and Solution of Health Risk Factors with Age in Elderly Women. Information Journal, 20(5-A), 3333-3340.
  5.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5). 건강 보험 주요통계 및 진료비 통계지표. 국민건강보험공단.
  6. 안용덕, 신정훈. (2019). 건강을 위한 여성고령자의 노인체력수준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3(8), 367-375.
  7. 남정원. (2007). 사회복지조직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안동수. (2011). 생활체육시설이용자의 선택속성과 지역사회애착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5(3), 67-77.
  9. 박경혜, 이윤환. (2006). 노인의 사회활동이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6(2), 275-289.
  10. 이미숙. (2004). 다양한 체험 활동을 활용한 바른 생활 습관 형성.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손용은. (2015).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치매 노인의 신체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Vargas L. G. (1998). The effect of aquatic physical therapy on improving motor function and decreasing pain in a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 a retrospective case report. Journal of Aquatic Physical Therapy, 6(1), 6-10.
  13. Ariyoshi M, Sonoda K, Nagata K et al. (1999). Efficacy of aquatic exercises for patients with low-back pain. Kurume Med J, 46(2), 91-61. Abstract in Journal of Aquatic Physical Therapy. 2001; 8(2). https://doi.org/10.2739/kurumemedj.46.91
  14. 김석원, 손지훈. (2016). 서울 일부 지역 노인들의 등속성 근기능, 유연성, 형성 측정 및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2), 37-44. https://doi.org/10.5762/KAIS.2016.17.2.37
  15. 신수미. (2016). 노인 생활체육프로그램 서비스 기대와 품질에 따른 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김경숙. (2010). 노인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노인복지주택 이용의사 결정요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17. 김해숙. (2009). 유료노인복지시설의 형황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문화체육관광부. (2019). 2017 체육백서.
  19. 문화체육관광부. (2017). 2017 국민생활체육 참여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 스포츠안전재단. (2020). 스포츠안전사고 실태 조사 종합 보고서.
  21. 문화체육관광부. (2018). 2018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
  22. 신종훈. (2013).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에 따른 운동중독과 자긍심 그리고 행복감간의 인과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홍숙자. (2011). 융복합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운동재활의 실천적 전략. 2011한국운동재활학회 추계학술대회(홈페이지), 1-12(ppt 자료).
  24.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개발원 교육 통계서비스.
  25. 문화체육관광부. (2019). 2017 체육백서.
  26.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지도자연수원. (2018). 체육지도자 양성 현황.
  27. 국민체육진흥공단. (2018). 종목별 장애인, 유소년, 노인스포츠지도사 양성 현황. 내부자료.
  28. 스포츠안전재단. (2020). 스포츠안전사고 실태 조사 종합 보고서.
  29. 한감. (2016). 한국과 중국의 노인요양원에서 운동관련 서비스 비교 연구.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홍숙자. (2011). 융복합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운동재활의 실천적 전략. 2011한국운동재활학회 추계학술대회(홈페이지), 1-12(ppt 자료).
  31. 보건복지부. (2019). 2018 보건복지백서.
  32. 보건복지부. (2019). 2018 보건복지백서.
  33. 보건복지부. (2019). 2018 보건복지백서.
  34. 문화체육관광부. (2019). 2017 체육백서.
  35. 국민체육진흥공단. (2018). 2017 국민체육진흥공단 종합업무현황.
  36. 대한체육회. (2018). 2017 대한체육회 사업결과보고서.
  37. 대한체육회. (2018). 어르신전담지도자 배치 실적. 내부자료.
  38. U.S. Public Health Service. (1980). Promoting health/preventing disease: Objectives for the nation.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39.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0). Healthy People 2010.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40. Guralnik, J. M., & Simonsick, E. M. (1993). Physical disability in older American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48, 3-10. https://doi.org/10.1093/geronj/48.Special_Issue.3
  41. Chodzko-Zajko, W.J. (1997). Editorial: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ssues Guidelines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mong Older Persons.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5,1,1-8. https://doi.org/10.1123/japa.5.1.1
  42. 문화체육관광부. (2018). 국민생활체육진흥기본 계획.
  43. 경기복지신문. (2010). 경로당 허약 노인 운동 재활 프로그램 큰 호응. 09-20.
  44. 가천대학교. (2020). 특성화사업단 운동재활복지학과. https://www.gachon.ac.kr/university/college/18_15.jsp/2020.03.11.
  45. 뉴시스(2020). 동의과학대 DIT스포츠재활센터, '학교기업 지원 사업' 선정. https://news.v.daum.net/v/20200514111600330/2020.05.14.
  46. 손석정. (2013).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1(3), 21-36.
  47. 김공. (2010). 노인들의 생활체육 참여 욕구에 대한 지도자역할 모형 구축.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대한재활의학회. (2020). 노인환자의 재활. https://www.karm.or.kr/info/disease03.php/2020.03.11.
  49. 이호성. (2012). 융복합학으로서 운동재활의 연구방향과 과제. 2012 한국운동재활학회 춘계학술대회(홈페이지), 1.
  50. 문화체육관광부. (2018). 국민생활체육진흥기본 계획.
  51. 홍숙자. (2011). 융복합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운동재활의 실천적 전략. 2011한국운동재활학회 추계학술대회(홈페이지), 1-12(ppt 자료).
  52. (주)산업경제리서치. (2020). 2020년 고령친화 산업별 시장동향 및 사업전망.
  53. 김공. (2010). 노인들의 생활체육 참여 욕구에 대한 지도자역할 모형 구축.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