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d rice yield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6초

Characterization of Nivalenol-Producing Fusarium culmorum Isolates Obtained from the Air at a Rice Paddy Field in Korea

  • Kim, Da-Woon;Kim, Gi-Yong;Kim, Hee-Kyoung;Kim, Jueun;Jeon, Sun Jeong;Lee, Chul Won;Lee, Hyang Burm;Yun, Sung-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3호
    • /
    • pp.182-189
    • /
    • 2016
  • Together with the Fusarium graminearum species complex, F. culmorum is a major member of the causal agents of Fusarium head blight on cereals such as wheat, barley and corn. It causes significant yield and quality losses and results in the contamination of grain with mycotoxins that are harmful to humans and animals. In Korea, F. culmorum is listed as a quarantine fungal species since it has yet to be found in the country. In this paper, we report that two isolates (J1 and J2) of F. culmorum were collected from the air at a rice paddy field in Korea. Species identification was confirmed by phylogenetic analysis using multilocus sequence data derived from five genes encoding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histone H3, phosphate permease, a reductase, and an ammonia ligase and by morphological comparison with reference strains. Both diagnostic PCR and chemical analysis confirmed that these F. culmorum isolates had the capacity to produce nivalenol, the trichothecene mycotoxin, in rice substrate. In addition, both isolates were pathogenic on wheat heads and corn stalk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occurrence of F. culmorum in Korea.

호남평야지에서 쌀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수확시기 (Proper Harvesting Time for Improving the Rice Quality in Honam Plain Area)

  • 김상수;이준희;남정권;최원영;백남현;박홍규;최민규;김정곤;정광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62-68
    • /
    • 2005
  • 호남평야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품종별 적정 수확시기를 검토하기 위하여 $2002\~2004$년에 평야지인 익산에서 조생종인 삼천벼, 중생종인 화성벼, 중만생종인 남평벼를 공시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등숙비율은 삼천벼는 출수 후 $50\~55$일, 화성벼 $55\~60$일, 남평벼 60일 이후수확에서 높았고 현미천립중은 삼천벼는 출수 후 $50\~55$일, 화성벼 55일, 남평벼 $55\~60$일 수확에서 무거웠다. 2. 쌀 수량은 삼천벼는 출수 후 $45\~50$일, 화성벼 $50\~55$일, 남평벼 $55\~60$일 수확에서 많았다. 3. 완전미 수량은 삼천벼는 출수 후 45일, 화성벼 50일, 남평벼 $55\~60$일 수확에서 많았다. 4. 따라서 호남평야지에서 완전미 수량, 쌀 품위, 단백질 함량, Toyo 식미치 등을 고려한 수확적기는 삼천벼는 출수 후 52일(적산온도 $1,213^{\circ}C$), 화성벼는 출수 후 56일$(1,221^{\circ}C)$, 남평벼는 출수 후 60일$(1,207^{\circ}C)$경으로 생각된다.

벼 유기재배와 관행재배의 생육 및 수량과 품질 비교 (Comparison of Growth, Yield and Quality between Organic Cultivation and Conventional Cultivation in Rice (Oryza sativa L.) Field)

  • 차광홍;오환중;박노동;박흥규;안규남;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9-208
    • /
    • 2010
  • 벼 유기재배와 관행재배의 쌀 수량 및 품질의 비교를 조사하기 위하여 벼 병충해의 발생정도를 반남과 노안의 벼 포장에서 실시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시험에서 벼 병충해 방제는 노안지역 관행재배는 2회, 반남지역 관행재배는 4회 실시하였으며 유기재배는 노안, 반남지역 모두 2회 실시하였다. 포장에서 벼 병해충은 줄무늬잎마름병,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 혹명나방, 멸구류가 주로 발생하였다. 벼 병해충 중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혹명나방은 관행재배보다 유기재배에서 발생이 많았다. 2. 벼 생육상황은 간장이나 수장은 관행재배에 비해 유기재배에서 약간 짧은 경향이었다. 노안지역은 유기재배의 경우 관행재배에 비해 주당수수는 0.6개 정도 많았으나 수당입수, 등숙비율, 정현비율, 현미 천립중이 낮았다. 반면 반남지역은 유기재배의 경우 관행재배에 비해 주당수수는 0.8개 정도 적었으나 수당입수와 등숙비율은 높았고 정현비율은 낮았다. 전체 수량은 유기재배가 관행재배에 비해 노안지역은 84% 수준이고, 반남지역은 94% 수준이었다. 3. 쌀의 품위는 노안지역과 반남지역 두 지역 모두 완전립율이 관행재배보다 유기재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쌀의 품질은 반남지역의 경우 유기재배시 기비로 사용한 질소가 관행재배에 비해 많아서 늦게 비효가 발현되어 이삭도열병, 혹명나방 피해가 발생하여 관행재배에 비해 단백질, 취반미 윤기치값이 낮았다. 반면 노안지역의 경우 유기재배시 기비로 사용한 질소가 관행재배에 비해 적어서 관행재배보다 단백질, 백도, 취반미 윤기치값 등에서 양호하게 나타났다.

강원도 지역에서 우분의 시용이 사료작물의 건물수량 사료가치 및 가축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ttle Manure Application on Dry Matter Yield,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of Forage Crops in Gang-Wondo Area)

  • 노진환;이희충;김윤중;박상수;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7-263
    • /
    • 2013
  • 본 실험은 강원지방에서 유기 생우분과 유기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밭토양에서 하계작물로 sorghum ${\times}$ sudangrass 교잡종과 동계작물로는 rye 단파구, rye+red clover 혼파구, 논토양에서 벼 '추청' 재배 후, rye 단파구, rye+hairy vetch 혼파구를 도입하였을 때, 각 초종과 작부조합의 건물생산성, 사료가치, 혼파효과 및 가축사육능력을 평가하여 강원지역에서 조사료 생산에 적합한 작부조합을 선정하고자 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하계작물로 밭토양에서 sorghum ${\times}$ sudangrass 교잡종의 건물수량은 CCM150에서 15.12 ton/ha으로 많았으나, CM150과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조단백질 수량은 1차 예취에서 CCM150이 0.59ton/ha로 유의하게 많았고(p<0.05), 2차 예취에서는 CM150이 0.44ton/ha로 유의하게 많았다(p<0.05). $K_{CP}+K_{TDN}/2$ 값은 CCM 150이 7.76head/ha로 많았다. 논토양의 유기 생우분 시용구에서 볏짚의 건물수량은 4.95 ton/ha으로 화학비료 시용구의 4.84ton/ha보다 많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화학비료 시용구의 볏짚이 4.09%로 유의하게 높았고(p<0.05), TDN 함량은 유기 생우분 시용구의 볏짚이 55.63%로 화학시용구의 볏짚 53.94%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유기 생우분 시용구에서 볏짚의 $K_{CP}+K_{TDN}/2$ 값은 연간 1.89head/ha였다. 동계작물로 밭토양의 rye+red clover 혼파구의 건물수량은 CCM100에서 4.36ton/ha로 많았으나, 다른 처리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Rye+red clover 혼파구의 조단백질 함량은 CCM100에서 7.33%로 높았으나 CM100에서 rye+red clover 혼파구의 7.19%와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Rye+red clover 혼파구의 $K_{CP}$$K_{TDN}$ 값은 각각 2.32head/ha와 2.36head/ha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5). 논토양에서는 rye+red clover 혼파구의 건물수량은 4.19ton/ha로 많았으나, rye 단파구와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Rye+red clover 혼파구의 조단백질 함량과 TDN 함량은 각각 7.21%와 59.33%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강원지방에서 유기우분을 시용하여 조사료를 생산할 경우 밭토양에서는 sorghum ${\times}$ sudangrass 교잡종을 재배한 후 rye+red clover의 혼파가, 논토양에서는 벼 재배 후 rye+hairy vetch를 혼파하는 작부조합이 생산성, 사료가치 및 가축사육능력을 높이는데 우수하였다고 판단된다.

벼 극조기 재배 적응 유망계통의 농업적 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A Promising Line Adaptable to Extremely Early Cultivation)

  • 이종희;오성환;김상열;조준현;이지윤;여운상;송유천;최경진;박태선;강항원;이학동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07-412
    • /
    • 2010
  • 벼 2기작 재배의 전기작 재배에서 농업적 특성 및 품질 등을 고려하여 선발한 유망계통 '밀양255호'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극조생 공시계통인 '밀양255호'의 출수기는 7월 3일로 대비품종인 '진부올벼'보다 2일 늦었으며, 간장과 수장은 각각 58.3 cm, 16.0 cm이며, 주당수수와 수당립수는 각각 18.0개 52.5개였다. 수량은 394 kg/10a로 12%정도 증수되었다. 2. '밀양255호'의 현미의 길이, 폭 및 두께는 각각 4.19 mm, 2.64 mm 및 1.91 mm의 단원형이며, 장폭비는 1.59로 '진부올벼' 1.48에 비해 약간 긴 편이었다. 현미 천립중도 21.0 g으로 '진부올벼'에 비해 3.2 g 작았다. 3. '밀양255호'의 단백질 함량과 아밀로스 함량은 '진부올벼'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밥의 윤기는 높고 경도는 낮았다. 4. '밀양255호'는 백미완전미율이 91.2%로 '진부올벼' 62.4%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분상질립율은 3.0%로 낮았으며, 8월 5일경 수확한 시험구에서 등숙율과 백미완전미율이 높았다.

맥류의 토양 전염성 Bymovirus의 감염이 국내 육성 맥주보리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Growth and Yield of Korean Malting Barley Cultivars by Soil-borne Bymovirus Infection)

  • 박종철;김미정;이은숙;박철수;강천식;현종내;이정준;김태수;김기종
    • 식물병연구
    • /
    • 제16권1호
    • /
    • pp.21-26
    • /
    • 2010
  • 우리나라에서 가장 우점하는 BaYMV(Barley yellow mosaic virus)에 의한 국내 육성 맥주보리의 품종의 저항성 정도에 따룬 생육 및 수량 피해를 조사하였다. 바이러스 감염 검정에서 두산 29호는 BaYMV와 BaMMV(Barley mild mosaic virus)에 감염되어 있었으나 진양보리와 호훔보리는 BaYMV에 만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월동후 초장과 수확기 간징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폼종별 저항성 정도에 따라 8~29%의 신장 억제율을 보였다. 생육 후기의 간장 단축률은 9~12%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월동후 경수는 호품에서는 발병포장와 건전포장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감수성인 두산 29호와 진양에서는 10~14%감소되었다. 그러나 수확기경 수수는 BaYMV 감염에 의해 26~33%까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출수기는 발병 포장에서 1~3일까지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수확후 수량구성요소의 피해정도를 조사하였다. 천립중과 l 중도 품종별 저항성 정도에 따라 피해를 받아 각각 4.0~6.6%와1.0~ 4.2% 감소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aYMV 감염시 6.0~8.6% 정 도의 비립이 발생하였으나 건정포장에서는 2.9~3.6%로 감소되어 두배 이상 비립발생이 증가하였다. 품종간 종실 수량 피해를 조사한 결과 건전한 포장에서의 품종간 평균 수량은 약 509kg~632kg/10a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병 포장에서는 품종별 저항성 정도에 따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중저항성인 호품의 경우 약 467kg/10a, 중약과 감수성인 진양과 두산29호에서는 각각 390kg과 290kg으로 조사되어 감수성인 두 품종에서는 77~177kg/10a의 수량 감소를 보였다. BaYMV 감염에 의해 수량성은 품종의 저항성 정도에 따라 26~43%의 감소되었다.

Agronomic traits of advanced backcross lines having bacterial blight resistant gene from a cross between japonica and indica

  • Kim, Woo-Jae;Park, Hyun-Su;Chun, Jae-Beom;Kim, Hyun-Soon;Kang, Kyung-Ho;Jeong, Ji-Ung;Ko, Jae-Kwon;Kim, Bo-Kyeo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65-265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rice variety integrated with rice bacterial blight resistance gene and to know the information of major agronomic traits of developed variety. Advanced backcross Lines 21 having Xa3 and Xa21 gene cross from japonica cultivar Hwanggeumnuri and indica variety IRBB21. Days after seeding and culm length of ABLs21 were 108 days (Aug. 16) and 76 cm, respectively. Ripened grain rates was 87.4 %, which was similar to the parents. 1000 grain weight of brown rice of ABLs21 was 21.4g, which was lower than the donor parent. Milled rice yield of ABLs21 was 532 kg/10a, which was smaller than recurrent parent and higher than the donor parent. Grain length/width ratio of brown rice was form of japonica with short-ellipse and glossiness of cooked rice has japonica trait. Head rice rate showed a large difference compare to the donor parent and similar to the recurrent parent. ABLs21 would be useful genetic resources for resistance breeding program against bacterial blight.

  • PDF

도정수율(搗精收率)과 성능향상(性能向上)을 위(爲)한 연구(硏究)(IV) -연삭(硏削)·마찰(磨擦)의 조합식(組合式) 정백작용(精白作用)이 정백성능(精白性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illing Recovery and Performance (IV) -Rice Whitening Performance of the Combined Abrasive- and Friction-type Whiteners-)

  • 김삼도;정창주;노상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7권2호
    • /
    • pp.72-85
    • /
    • 1983
  • Rice whitening is performed by basically two different whitening actions known as abrasive and frictional. The former adopted in the emery stone abrasive type whiteners and the latter in the jet-air friction type. Comparative milling yields and whitening efficiencies between the whitening system consisting of jet-air friction type whiteners only and the system consisting of both abrasive- and jet-air friction-types have not yet been rigorously defined.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bined operations of abrasive- and jet-air friction-type rice whiteners on milling yields and whitening efficiencies. The small capacity commercial units of the abrasive- and friction-type whitener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s. The combinations of whitening treatments were: 1) Once in the abrasive type and then two to three times in the friction type, 2) twice in the abrasive and then two to three times in the friction type and 3) three to five times in friction type. In these tests, counter pressures for the friction type whiteners were established differently as required to get about the same degree of whitening at the end of predetermined numbers of the repeated operations. The speed of emery stone and the slot angle of the screen were also the factors varied in the abrasive type whitener. Sheukwang rice variety having 13.05% M.C. was used in the test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milled- and head-rice recoveries and electricity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in the whitening systems consisting of abrasive- and friction-type whiteners slot angle of the screen, the rotational speed of emery stone roller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milling yields and whitening efficiency. In general, the increase of the emery stone roller speed from 690 to 950 rpm presented a positive effect on milling yield, and one-pass abrasive milling combinations had higher milling yields than two-pass abrasive milling combinations. 2. It was apparent that if the slot angle of the screen and the speed of emery stone roller are modified and set at an optimum level, the combination whitening system consisting of abrasive- and friction-type whiteners is better than the pure frictional whitening system consisting of jet-air friction type in terms of milling yields and efficiencies. 3. In the rice whitening system consisting of abrasive- and jet-air friction-type whiteners, the best whitening performance was obtained when the slot angle of the screen and the rotational speed of emery stone roller were $45^{\circ}$ and 950rpm, respectively, for the one-pass abrasive milling combinations. However, for the two-pass abrasive mi11ing combinations, the best performance was obtained with $75^{\circ}$ of slot angle and 950 rpm of the emery stone roller speed. 4. As compared with pure frictional whitening systems, the combination systems produced more milled rice by 0.8-1.0% point and more head rice by 0.5-1.5% point, and consumed less electricity by 0.15-0.20 KwH per 100kg of milled rice when the abrasive whiteners were operated in the modified conditions as described in item 3 above.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to find out optimum operational and design conditions of abrasive type whiterners.

  • PDF

ALC 축분 발효퇴비 시용 및 논오리 사육이 벼 수량 및 미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Cattle Manure Compost Incoporated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ALC) Waste and Raising Duck in Rice Paddy Field on Rice Yield and Quality.)

  • 김현호;이주열;박기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4-58
    • /
    • 1998
  • 축산폐기물을 산업에서 발생하는 무기계 ALC폐기물을 이용하여 발효된 퇴비의 효과를 벼 재배논에서 검토하고 유기농법과 관련하여 논오리 사육에 의한 쌀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ALC이용 축분발효퇴비 10a당 2,000kg 시용하였을 때 쌀 수량은 468kg/10a로서 표준비(화학비료)대비 2.9% 정도 감수되었으며 ALC이용 퇴비 1,000kg + 오리방사 처리구에서도 4.1% 감수된 근소한 수량차이를 보여 신유기질비료로서 그 효과가 인정되었다. 2. 쌀의 품질은 처리가 큰 차이는 없었으나 ALC이용 퇴비 $1,500{\sim}2,000kg$ 시용구에서 완전미 비율이 다소 높았고 심복백도 적어 외형미질이 양호하였으며 Mg/K 비율은 ALC이용 퇴비 1,000kg + 오리방사구에서 0.26으로 가장 높았으며 ALC이용 퇴비 1,500${\sim}$2,000kg시용에서도 $0.23{\sim}0.24$로 높은 경향으로 미질개선 효과가 기대되었다. 3. 아밀로그램 특성에서도 ALC 이용 퇴비 1,000㎏ + 오리방사, 1,500kg, 2,000kg 시용시 최고, 최저 점도가 높고 응집성이 낮아 미립 물리성이 양호하였다. 4. 오리방사에 의한 잡초방제효과는 93%로서 제초제 처리구와 대동소이하여 제초제를 사용치 않고 오리사육에 의해 잡초방제가 가능하였으며, 오리수확후 증체량이 마리당 1,159g으로서 유기물공급원 및 잡초방제효과 뿐만 아니라 농가소득원으로서도 그 가치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