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vest period

검색결과 620건 처리시간 0.029초

들깨, 차조기 작물의 수확 후 저장 기간에 따른 종자 발아 변이 (Variation in Seed Germination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after Harvest in the Accessions of Perilla Species)

  • 사규진;홍탁기;박대현;이주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48-56
    • /
    • 2018
  • 우리나라에서 수집한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수확 이후 저장기간에 따른 종자발아율 변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2016년 가을에 수확한 59개의 들깨,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재배형 들깨 Type I 15계통, 재배형 들깨 Type II 4계통, 잡초형 들깨 20계통, 잡초형 차조기 20계통)들에 대하여 발아율 및 발아세 조사를 하였다. 수확 후 6개월 동안의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한 발아율 조사에서 재배형 들깨(Type I)의 계통들은 평균 80.8%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들깨와 차조기의 잡초형들은 평균 0.9%와 8.7%의 발아율을 보였다. 또한 재배형 들깨(Type II)의 계통들도 평균 18.2%의 발아율을 보였다. 그리고 발아세의 경우도 재배형 들깨(Type I)의 계통들은 평균 75.8%를 보였으나, 들깨와 차조기의 잡초형들은 평균 0.6%와 6.9%를 보였으며, 재배형 들깨(Type II)의 계통들도 평균 14.3%를 보였다. 그 결과 들깨,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수확 후 1개월째보다 2개월째에서 발아율 및 발아세가 다소 증가한 것으로 보였으나, 그 이후부터 6개월째까지는 크게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재배형 들깨의 경우는 2가지 Type, 즉 발아율이 높은 Type I과 낮은 Type II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모두 발아율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들깨와 차조기 작물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수확 후 6개월까지 저장기간에 따른 종자발아 변이를 이해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차조기(紫蘇葉) 채취시기별 유효성분 함량의 변화 (Available Components of Chajogi (Perilla sikokiana B.) at Different Harvest Periods)

  • 안홍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03-707
    • /
    • 2006
  • 본 연구는 각종 기능성을 함유하고 있는 차조기의 소비 증대와 부가가치 증대를 위하여 채취 시기별 차조기의 성분변화를 조사하였다. 수확 시기는 2005년 7월14일에서 2005년 9월2일 까지 총4회(I, II, III, IV)로 나누어 일반성분, 중금 속, 무기질, 아미노산, perillaldehyde, anthocyanin 성분을 분석하였다. 환원당의 함량은 수확시기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나 조단백질, 조지질, 총 아미노산 함량은 III차(8월15일) 채취시기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중금속(As, Pb, Cd, Hg)은 모든 처리구에서 감지되지 않았다. 무기질은 Zd, Fe, Mg는 III차 수확시기 이후 감소하였으나, Ca, K, P 함량은 수확시기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erilladehyde는 I 차 0.36% II차 0.42%, III차 0.45%, IV차 0.35%를 각각 나타냈다. Anthocyanin는 함량은 I차 0.53%, II차 1.15%, III차 1.21%, IV차 0.87%를 나타냈다.

주요 고농서를 통한 조선시대의 도작기술 전개 과정 연구 VIII. 수확 저장 요령 (A Study on Transition of Rice Culture Practices during Chosun Dynasty through Old References. VIII. Harvest and Storage)

  • 이숭겸;구자옥;이은웅;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99-303
    • /
    • 1992
  • 농업기술의 일반적인 농법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벼 수확법이나, 저장법 또는 조제법도 고대 중국의 기술과 방법을 받아 형성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벼 수확법의 최적시기는 손실을 막기 위해서 적절한 배수를 하므로써 정해진 수확과 조제를 위한 효율적인 농구가 사용되었으며 또한 벼 저장을 위한 특이하고 창조적인 기술이 교육됨으로서 쉽게 익혀졌다. 그것은, 풍우를 막고 좋은 통기조건을 갖게 했다. 15세기, 16세기에 저장보리의 곤충해를 막기위해 물여뀌 처리 그리고 벼낟알의 탈락을 막기위해 수확기 즉시에 벼베기를 하는 것이 장려되었다. 17세기는 창조적인 기술이 없었다. 18세기, 19세기에 포장에서 저장할 때의 쥐에 의한 해를 방제하기 위한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또한 여러 수도 품종들의 생태학과 장기간의 저장기술에 관한 연구들이 지역적으로 수확의 적시를 취하기 위하여, 또한 적시에 협동적으로 일하기 위하여 필순적으로 강조되었다.

  • PDF

대두(大豆)의 영양생리(榮養生理)에 관(關)한 연구(硏究)(제(第)4보(報)) -시비시기(施肥時期)에 따른 가리(加里)의 영향(影響) (Studies on the Nutritional Physiology of Soybeans. -4. Relation between growth and potassium nutrition with the fertilizational period)

  • 강영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9-51
    • /
    • 1969
  • 시비기(施肥期)를 5단계(段階)로 구분(區分)하여 각시험구(各試驗區)마다 대두(大豆)의 생육과정(生育過程)에 따른 K의 흡수대사과정(吸收代謝過程)을 구명(究明)하였다. 함유율(含有率)은 시비기(施肥期)의 조지(早遲)에 관계(關係)없이 수확기(收穫期)에 있어서의 치(値)는 그다지 큰 차(差)를 볼 수 없었다. 그러나 비교적(比較的) 빠른 시기(時期)에 시비(施肥)한 시험구(試驗區)에서는 K의 공급(供給)은 전탄수화물(全炭水化物)의 합성(合成)을 촉진(促進)하고 있는 점(點)을 나타냈고 비교적(比較的) 늦은 시기(時期)에 시비(施肥)한 시험구(試驗區)에서는 가용성당(可溶性糖)의 감소(減少)는 물론(勿論), 가용성질소(可溶性窒素) 및 단백태질소(蛋白態窒素)의 감소(減少)도 나타냄으로서 K의 공여(供與)와 질소동화(窒素同化)와의 관계(關係)도 고찰(考察)하였다.

  • PDF

대두(大豆)의 영양생리(榮養生理)에 관(關)한 연구(硏究)(제(第) 1 보(報)) -생육수량(生育收量) 및 탄수화물(炭水化物) 집적(集積)과의 관계(關係) (Studies on the Nutritional Physiology of Soybeans -1. Relations between the Growth and Yield of Soybean Plants)

  • 강영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3-80
    • /
    • 1968
  • 대두(大豆)의 영양생리(榮養生理)의 연구(硏究)로서 위선(爲先) 시비시기(施肥時期)의 조지(早遲)에 따라서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하였다. 시비시기(施肥時期)는 제(第)1복엽전개기(複葉展開期) 즉(卽) 비교적(比較的) 빠른 시기(時期)에 시비(施肥)한 것이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현저(顯著)하게 좋은 성적(成積)을 나타냈다. 또 제(第)6복엽전관기(複葉展關期)에 시비(施肥)한 것은 상기(上記)의 경우에 비(比)해서 양호(良好)하지는 않았지만 비교적(比較的) 양호(良好)한 결과(結果)를 나타냈다. 개비기이후(開肥期以後)에 시비(施肥)한 것은 큰 차(差)를 초래(招來)하였다. 특(待)히 착협기이후(着莢期以後)의 시비(施肥)는 의의(意議)가 거의 없었다. 또 탄수화물집적(炭水化物集積)의 경우(境遇)을 조사(調査)하였는데 전탄수화물양(全炭水化物量), 가용성당양(可溶性糖量)을 둘다 시비시기(施肥時期)에 따라서 기관(器官)마다 어느정도(程度) 특유(特有)한 소장곡선(消長曲線)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현저(顯著)한 사실(事實)은 만기(晩期) 시비(施肥)한 경우인데 이때에는 정상(正常)한 생육(生育)을 위(爲)한 소장곡선(消長曲線)은 나타내주지 않았다. 또 조기시비(早期施肥)의 경우는 광합성(光合成)의 촉진(促進)도 왕성(旺盛)하다는 점(點)은 비료성분중(肥料成分中)에서도 질소(窒素)의 흡수(吸收)에 의(依)해서 체내(體內)의 함질소물(含窒素物)의 증가(增加)에 기인(起因)되어 있다는 점(點)도 지적(指摘)되였다. 시비시기조지(施肥時期早遲)에 있어서의 탄수화물함량(炭水化物含量)의 다소(多少)는 조기시복시(早期施服時)의 비효의 의의(意義)의 일부분(一部分)을 또한 명백(明白)하게 시사(示唆)하여 주었다.

  • PDF

잎의 크기가 다른 White Clover 품종들의 몇가지 형태 및 생리적 특성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s of White Clover Cultivars with Different Leaf Size)

  • 강진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9-264
    • /
    • 1995
  • Several benefits provided by white clover (Tnifoliurn repens L.) can be elevated as relationship between its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s clarified. The experiment was don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the clover with different leaf size. Individual plants of Osceola (large leaf), Grasslands Huia (medium leaf) and Aberystwyth S184 (small leaf) were grown in 15m plastic pot containing a 1:2:1 soil:sand:Promix mixture for 55 days, and then clipped to remove all fully expanded leaves every 7, 14 or 28 days. To measure the cultivar response, plants were sampled for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on the date (0) after final harvest and 1, 3, 7, 14 and 28 days after the final harvest and then their relationship was analyzed. Osceola had greater leaf area per trifoliolate but less no. of leaves per plant to result in similar total leaf area per plant of all cltivars. Stolon length and no. of growing tips per plant declined with smaller leaf size although the result in biomass was reverse. Stolon of all cultivars showed the greatest fluctuation in total nonstructud carbohydrate during the regrowing period but nitrogen concentrations of all their fractions and dinitrogen fixation did similar patterns. Stolon and root of Osceola, moreover, were the highest ones. Biomass, stolon length and total leaf area per plant of all cultiva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carbohydrate concentration of all frauions and dinitrogen fixation. In Osceola relationship between nitrogen concentration of stolon and the characters showed in Osceola was positively done.

  • PDF

수도작 포장의 고저차 분석 (Variation Analysis of Elevation within a Rice Paddy Field)

  • 성제훈;장순우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1권3호
    • /
    • pp.188-193
    • /
    • 2006
  • Elevation differences within a paddy field relate strongly to plant health, crop homogeneity, and pest control. For precision agriculture (PA), the elevation within a field should be precisely controlled. We analyzed variation in elevation within a rice paddy field over one crop cycle. The study took place in a rectangular plot (100 m x 30 m). Elevations within the a plots was measured by a laser-equipped surveying instrument, that could determine elevations to precisions of I mm. The test field was divided into grids with 30 squares; elevation was measured at the center of each 5 x 10-m grid square. This study measured elevation during nine observation periods from pre-plowing to post-harvest.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the highest elevations after plowing due to soil disturbanc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revealed significant elevation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plowing and transplanting, although elevations were similar over the period of crop growth. Comparison of pre-plowing and post-harvest data showed differences in elevations, indicating that elevation changes occurred during plowing, rice transplanting, plant growth, and harvesting. In summary, the above statistical analysis indicated that elevation changes occurred due to plowing but not during the plant growth season or due to harvesting.

Orchargrass - Red Clover 초지의 예취빈도와 높이가 목초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Frequency and Height on the Herbage Yield and Quality of Orchargrass - Red Clover Mixtures)

  • 이형석;이인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95-306
    • /
    • 1994
  • The object of this experiment was to suggest the suitable cutting frequency and cutting height for orchardgrass (0G)-red clover(RC) mixtures under the intensive system of short-term pasture utilization. The fields trials were conducted over 3-year period(1991-1993) to evaluate dry matter yield, botanical composition, chemical composition and CP, DDM yield on the cutting frequency (30, 40 and 50 days) and cutting height(5, 7 and 9cm) With decreasing the cutting frequency, the DM yield of OG in the OG-RC mixtur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P

  • PDF

육계 출하 후 관리 (Handling of Harvested Broiler)

  • 김동훈;유영모;조수현;박범영;김용곤;이종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24-432
    • /
    • 2004
  • The handling and transport of broiler birds from farm to the processing factory is known to cause injury and dead. The preslaughter period can be compromised through thermal stress, emotional stress, starvation, dehydration, metabolic exhaustion, trauma to the skin and bone fraction resulting in bruising and dead.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trol points of individual post Harvest stages by reference to recent literature. In catching, the injuries and deads are caused from fracture of bone, skin damage and hipbone dislocation. It can be improved by training the catchers. The primary factor of dead during transportation is from thermal stress. It is related to stocking density, type of crate and vehicle, ventilation and transportation time. Of the factors, the ventilation is very important. The holding place should be built with consideration of protection from the hostile external environment. There were not much progresses in this area, however, many researches are conducting to focus on animal welfare in European Union. Recently, it is rapidly changed in marketing custom from whole carcass to portion cut in Korea. This means the increase of economic loss due to the mishandling at post harvest. The systematic approach is demanded for this area.

Incidence Rates of Major Diseases of Kiwiberry in 2015 and 2016

  • Kim, Gyoung Hee;Kim, Deok Ryong;Park, Sook-Young;Lee, Young Sun;Jung, Jae Sung;Koh, Young 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434-439
    • /
    • 2017
  • Incidence rates of diseases in kiwiberry orchards were investigated monthly from late June to late September in Gwangyang and Boseong in 2015 and 2016. The impact of postharvest fruit rot was investigated during ripening after harvest. Bacterial canker was only observed on one single tree in 2015, but black rot, powdery mildew, leaf spot and blight, and postharvest fruit rot diseases were problematic throughout the study period in both 2015 and 2016. Incidence rates of the diseases varied with kiwiberry cultivar, region and sampling time. Incidence rates of powdery mildew, leaf spot and blight disease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late growing stages near fruit harvest, while black rot peaked in late August. Incidence rate of postharvest fruit rot on fruit without fruit stalks was less than half of fruit with fruit stalks, regardless of kiwiberry cultivars. Among the four cultivars, Mansu was relatively resistant to black rot and postharvest fruit rot diseases. In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various potential pathogens of kiwiberry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