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ploid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4초

중국도입 배추 소포자배양에 의한 배가반수체의 종자생산능력 (Seed Production Ability of Doubled Haploid Plants through Microspore Culture in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Introduced from China)

  • 조만현;함인기;박민영;김태일;임용표;이은모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5호
    • /
    • pp.573-578
    • /
    • 2012
  • 새로운 육종소재를 개발하고 신품종 육성에 이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중국도입 배추 11종의 소포자를 배양하여 식물체를 생산하였으며, 획득개체의 종자생산능력을 조사하였다. 화뢰당 획득 소포자유래배는 1.6-35.4개이었으며, 11품종 중 IT26110과 IT 26153만이 화뢰당 34개 이상의 소포자유래배를 얻을 수 있었다. 저온처리 후까지 생존한 식물체비율은 획득 소포자유래배 대비 0.2-11.7%로 낮았으며, 이들 식물체 중 임성개체 비율은 7.7-58.8%이었으나 IT26118, IT26122, IT26128, IT26130, 그리고 IT26164는 50% 이상이었다. 이들을 자식하여 종자생산능력을 조사한 결과 IT26128은 장각과당 11.9개의 채종하였으나 나머지 품종들은 10개 미만이었다. 이와 같이 유전적 기원이 다른 모본을 이용한 소포자배양을 할 때 배상체 획득수나, 소포자유래배에서 유도된 식물체수 및 임성개체 비율, 그리고 정립생산능력이 획득된 배가반수체 계통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Establishment of a Simple and Effective Method for Isolating Male Germline Stem Cells (GSCs) from Testicular Cells of Neonatal and Adult Mice

  • Kim Kye-Seong;Lim Jung-Jin;Yang Yun-Hee;Kim Soo-Kyoung;Yoon Tae-Ki;Cha Kwang-Yul;Lee Dong-Ry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9호
    • /
    • pp.1347-1354
    • /
    • 2006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a simple and effective method for isolating male germline stem cells (GSCs), and to test the possibility of using these cells as a new approach for male infertility treatment. Testes obtained from neonatal and adult mice were manually decapsulated. GSCs were collected from seminiferous tubules by a two-step enzyme digestion method and plated on gelatin-coated dishes. Over 5-7 days of culture, GSCs obtained from neonates and adults gave rise to large multicellular colonies that were subsequently grown for 10 passages. During in vitro proliferation, oct-4 and two immunological markers (Integrin ${\beta}1,\;{\alpha}6$) for GSCs were highly expressed in the cell colonies. During another culture period of 6 weeks to differentiate to later stage germ cells, the expression of oct-4 mRNA decreased in GSCs and Sertoli cells encapsulated with calcium alginate, but the expression of c-kit and testis-specific histone protein 2B(TH2B) mRNA as well as the localization of c-kit protein was increased. Expression of transition protein (TP-l) and localization of peanut agglutinin were not seen until 3 weeks after culturing, and appeared by 6 weeks of culture. The putative spermatids derived from GSCs supported embryonic development up to the blastocyst stage with normal chromosomal ploidy after chemical activation. Thus, GSCs isolated from neonatal and adult mouse testes were able to be maintained and proliferated in our simple culture conditions. These GSCs have the potential to differentiate into haploid germ cells during another long-term culture.

잣나무 엽록체 Simple Sequence Repeat 표지자 개발 및 특성 분석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Chloroplast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in Pinus koraiensis)

  • 이제완;백승훈;홍경낙;홍용표;이석우;안지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549-55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엽록체 DNA의 전체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엽록체 SSR(chloroplast simple sequence repeat)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primer를 개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잣나무 엽록체 DNA에서 총 30개의 SSR 영역을 탐색하였으며, 이들 영역을 증폭하기 위한 30개의 primer를 제작하였다. 모든 primer가 잣나무를 대상으로 PCR 증폭이 가능하였다. 근연종에 대한 primer의 종간 전환률은 잣나무와 동일한 아속(Subgenus Strobus)에 속하는 눈잣나무(100%)와 섬잣나무(97%)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소나무아속(Subgenus Pinus)에 속하는 소나무와 구주소나무에서의 종간 전환률은 73%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점봉산 잣나무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3개의 유전자좌에서 다형성이 관찰되었으며, 평균 haploid 다양도(H)는 0.512로 계산되었다. 다형적 유전자좌로부터 조합된 haplotype의 수(N)는 25개로 확인되었고, haplotype 다양도($H_e$)는 0.992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집단내 독특하게 관찰되는 haplotype은 22개(88%)로 전체 28개체 중에서 22개체(79%)를 식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cpSSR primer는 높은 종간 전환률을 나타냄에 따라 소나무속의 근연종, 특히 잣나무아속 수종에 활용 가능성이 높고, 잣나무 유전변이 분석을 위한 충분한 다형성을 제공하는 유용한 표지자로 판단된다.

고추의 약배양에 의한 캘러스 및 배상체형성 (Embryoid and Callus Formation from Microspores by Anther Culture of Pepper(Capsicum annuum L.))

  • JO, Man Hyun;MATSUBARA, Sachiko;KANG, Tae Jin;LEE, Eun Mo;WOO, In Sik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19-223
    • /
    • 1998
  • 고추(Capsicum annuum L.) 8품종을 공시하고, 1핵기의 화분을 포함한 약을 0.004㎎/L 2,4-D, 0.1㎎/L kinetin, 3% sucrose 그리고 0.2%Gelrite를 첨가한 MS배지에 치상하고, 35℃에서 24시간처리 후, 25℃ 16시간 조명에서 40일간 배양하였다. 캘러스와 배상체형성율은 품종에 따라 다양하였다. 배상체는 'Cheongyang'과 'Fushimi Amanaga'에서 형성되었고, 반면에 캘러스는 'California Wonder', 'Fushimi Amanaga' 그리고 'Geoseong'에서 형성되었다. 활성탄 l%를 첨가한 배지에서의 배상체는 'Cheongyang'만 0.5% 형성되었고, 반면에 캘러스는 형성되지 않았다. 1/2MS배지에서 배상체는 'Shishitou', 'Yatsufusa' 그리고 'Taka no Tsume'가 1.2%, 0.4% 그리고 0.4% 각각 형성되었지만, 1/2 B5배지의 캘러스는 'Yatsufusa' 그리고 'Taka no Tsume'가 2.8% 그리고 2.7% 각각 형성되었다. 배상체는 MS배지로 이식하여 생장하였다. 'Cheongyang'의 근단 염색체수는 2n=x=12의 반수체이었다.

  • PDF

벼멸구 저항성 Bph18 유전자가 벼의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own Planthopper Resistance Gene, Bph18 to Yield Components in Rice)

  • 신문식;김우재;신운철;박현수;서춘순;최인배;하기용;강현중;고재권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6-61
    • /
    • 2011
  • 벼멸구 저항성 Bph18 유전자를 가진 SR30071-3-7-23-6-1-1-1계통과 감수성인 '새누리'를 교배하여 육성한 약배양집단 192계통에 대해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 Bph18이 벼의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 Bph18과 밀접히 연관된 7312.T4A 마커의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저항성 유전자형을 가진 계통은 24계통이었고 감수성 유전자형을 가진 계통은 168계통이었다.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 Bph18은 벼의 출수일수를 짧게하고, 간장과 수장은 길게하며 등숙율은 낮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벼의 수수, 수당입수, 정조천립중 및 정조수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청청/낙동 배가반수체 집단에서 QTL을 통한 출수기와 수량관련 유전자좌 분석 (Characterization of Heading- and Yield-related Gene Loci in the Cheongcheong/Nagdong Doubled Haploid Line using Rice QTLs)

  • 장윤희;박재령;김경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1-17
    • /
    • 2019
  • 본 연구는 2017년 CNDH 계통을 이용하여 출수기와 수량을 QTL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가졌다. 1. 도수분포표에서 QHD, QTPW, QM, QTGW, QY는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었다. 2. 출수기 관련 QTLs은 총 1개가 잡혔고, 수량관련 QTLs은 총 9개가 잡혔다. QHD에서는 LOD 2.85가 가장 컸고, QTPW에서는 5.39, QM에서는 3.92, QTGW에서는 4.80, QY에서는 3.7이 가장 컸다. 3. 유전자 분석을 통해, 2, 3, 7, 8, 10번 염색체에서 총58개의 후보유전자를 찾았다. 이 중 수량요소인 QM에서 Rcd1 protein, OsERF3 유전자, QTGW에서 MtN3, Zinc finger protein 유전자, QY에서 OsNAC3 protein 유전자를 발견하였다. 4.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CNDH 계통 내의 수분함량, 천립중, 수량에 관련된 유전자의 존재여부를 찾아낸다면 조생종, 수중형에 가까운 품종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벼 약배양에서 유기된 식물체의 배수성 (Variation in Ploidy Level of Rice Plants Derived from Anther Culture)

  • 손재근;이수관;오병근;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8-333
    • /
    • 1984
  • 벼 약배양을 통하여 분화된 식물체의 배수성분포와 반수체식물의 효과적인 염색체배가시험을 실시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5조합의 F$_1$을 재료로 하여 약배양한 결과 얻어진 574 식물체의 배수성분포는 반수체가 49.7%, 2배체는 48.6%, 다배체는 1.7%로 나타났다. 2. 통일형조합(Japonica/Indica)에서는 반수체(60.6%)가 많은 경향이었고, 일본형조합(Japonica/Japonica)에서는 2배체(54.8%)가 많은 경향이었다. 3. 2,4 -D, NAA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반수체가, Kinetin이 첨가된 배지에서는 2배체가 많은 경향이었다. 4. 반수체의 분얼경 분주에 의한 염색체자연배가율은 개체에 따라 0~25%로 나타났고 평균 8.2%였다. 5. Colchicine 0.1% 용액의 잎집주사접종법에 의한 염색체배가율은 0~33.3%의 변이를 보였으며 평균 18.8%로 나타났다. 6. 약배양에서 유래된 식물체의 배수성에 따른 형태적인 차이는 반수체가 2배체에 비하여 간장이 64.6%, 수장이 63.4%, 지엽장은 68%, 지엽폭은74.4%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Triploidy that escaped diagnosis using chromosomal microarray testing in early pregnancy loss: Two cases and a literature review

  • Park, Ji Eun;Park, Ji Kwon;Kang, Min Young;Jo, Hyen Chul;Cho, In Ae;Baek, Jong Chul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76-80
    • /
    • 2019
  • About 15% to 20% of all clinically recognized pregnancies result in spontaneous abortion or miscarriage, and chromosomal anomalies can be identified in up to 50% of first trimester miscarriages. Chromosomal microarray analysis (CMA) is currently considered first-tier testing for detecting fetal chromosomal abnormalities and is supported by the absence of cell culture failure or erroneous results due to cell contamination in pregnancy loss. Triploidy is a lethal chromosome number abnormality characterized by an extra haploid set of chromosomes. Triploidy is one of the most common chromosomal aberrations in first trimester spontaneous abortions. Here, we report two cases of triploidy abortion that were not detected using array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based CMA. The aim of this report was to remind clinicians of the limitations of chromosomal testing and the misdiagnosis that can result from biased test selection.

생쥐 원형정자세포의 미세주입에 의한 수정 (Fertilization by Microinjection of Mouse Round Spermatid)

  • 이상민;백청순;구덕본;김묘경;김진회;박흠대;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1-179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ertilizing ability of round spematids isolated from seminiferous tubules. A round spermatid was introduced into the perivitelline space of a mature oocyte using Leitz micromanipulators and then subjected to electrofusion. Electrofusion was induced by applying a single DC pulse of 90V with a duration of 60$\mu$sec using Model 611 Square Wave Stimulator(Phipps and Bird, U.S.A) in 0.3 M sucrose fusion medium containing 0.05mM CaCl2 and 0.1mM MgSO4, Oocyte pre-activation was conducted by exposure to a single DC(80V, 80$\mu$sec) pulse in electrofusion medium at 1 hour before electrofusion. The incidence of fusion with pre-activated oocytes(23.8%, 57/239) was higher than that with nonactivated oocytes(6.7%, 3/45). The most of electro-stimulated mouse oocytes cleaved regardless of the success or failure of fusion. Karyotyping of embryos that developed into blastocysts after exposure to the fusion pulse were performe. We found that blastocysts from the fused oocytes were diploid whereas blastocysts from the unfused oocytes were haploid. About 11.7 and 11.5% of fused and unfused oocytes were developmental potentials of fused and unfused oocyte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use mture oocyte can be fertilized by fusion with a round spermtid and subsequently developed normally.

  • PDF

Hordeum bulbosum을 이용한 보리 반수체의 배배양에서 식물체의 발생률 향상 (Improvement of Plant Generation Rate in in vitro Cultured Haploidy Embryos from H. vulgare Pollinated with H. bulbosum)

  • 정동희;민경수;천종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3-197
    • /
    • 1994
  • Hordeum bulbosum을 이용한 보리 반수체육종법의 실용화를 체계화하기 위해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유배의 적취시기, 유배의 크기에 따른 배배양 반응, 배지 및 환경조건 등을 조사하였다. 1. 유배의 적취시기는 배발육과 식물체 발생률을 고려할 때 수분 후 17일이 적기였다. 2. 식물체 발생에 유리한 유배의 크기는 0.9mm내외였다. 3. 식물체 발생에 효과적인 배지 및 배양조건은 MS배지의 암상태에서 발생시킨 후 명상태로 하는 것이 정상 식물체 발생률(3%)이 높았으나, 작업상의 편리성을 고려한다면 B5배지에서 24시간의 일장처리조건이 좋았다. 4. 반수체는 정상 2배체에 비하여 배 및 식물체의 발생이 현저히 부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