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woo steer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39초

Comparison of Tastes-Related Components and Eating Quality between Hanwoo Steer and Cow Longissimus thoracis Muscles

  • Cho, Soohyun;Seol, Kukhwan;Kang, Sunmoon;Kim, Yunseok;Seo, Hyunwoo;Lee, Wangyeol;Kim, Jinhyoung;Ba, Hoa V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908-923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astes-related components and eating quality properties between Hanwoo steer and cow meats. Longissimus thoracis (LT) muscles with same quality grade (1+ grade) collected from left sides of the steer and cow carcasses were used for analyses of technological quality traits, free amino acids (FAAs), metabolites, nucleotides, fatty acids and sensory attributes. there were no differences occurring in the chemical composition (fat, protein, moisture and collagen) and technological quality traits (cooking loss, water holding capacity, shear force and color) between the two beef types (p>0.05). The cow meat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amounts of some FAAs associated with umami (e.g., glutamic acid and lysine), sweetness (e.g., proline and glutamic acid) and saltiness (e.g., histidine and glutamic acid) compared to the steer meat (p<0.05). Regarding the nucleotides, no differences occurred in all the identified nucleotides between the two beef types (p>0.05). A total of 27 metabolites were identified, however, only some compounds (e.g., acetate, creatine, creatinine, glucose and inosine, etc.) showed their significantly higher amounts in the cow meat compared with those in the steer meat (p<0.05). In terms of sensory aspects, the panelists found no differences in scores of all the eating quality traits between the two sex types of beef (p>0.05). Overall, excepts some variations in tastes-active compound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in general and eating quality in particular between the cow and steer meats when they were in the same quality grade.

한우 암소에서 근내지방도 관련 DNA 마커의 활용 (Application of DNA marker related with marbling score in Hanwoo cow)

  • 이윤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3호
    • /
    • pp.733-739
    • /
    • 2016
  • 본 연구는 이미 한우에서 검증된 지방산 합성 효소 유전자의 g.15532 C>A, g.17924 G>A 단일염기다형성과 암소의 후대들 중 거세우의 도체성적을 이용하여 유전자 활용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을 분석하기 위해 경북지역에서 사육된 암소 270두와 이들의 후대들 중 도체성적이 있는 거세우 270두의 게놈 DNA를 추출하여 단일염기확장법으로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모델은 GLM의 ANCOVA 방식을 사용하였다. 한우 거세우와 암소집단에서 g.15532 C>A와 g.17924 G>A 단일염기다형성들과 근내지방도간 연관분석을 한결과 거세우집단에서 근내지방도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암소집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일반 한우농가에서 개량하는 있는 방식인 후대검정우 등급판정 결과를 이용하여 이 단일염기다형성과 분석한 결과 암소 집단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g.15532 C>A와 g.17924 G>A 단일염기다형성은 한우 암소 개량에 있어 후대검정우 등급판정결과와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근내지방도 개량에 효율적인 선발 보조도구 활용가치가 높을 것이라 판단되어진다.

사회인구학적 요인이 1++ 등급 거세한우고기의 부위 및 요리형태별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Sensory Properties for Hanwoo Steer Beef with 1++ Quality Grade by Different Cut and Cooking Methods)

  • 조수현;김재희;김진형;성필남;박범영;김경의;고윤실;이종문;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63-372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고급육으로 유통되는 육질등급이 $1^{++}$인 거세한우고기에 대하여 소비자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한국 소비자들의 관능특성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 결과를 한국 소비자들을 위한 요리방법 및 부위별 맛 예측 모델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28-30개월령 거세한우를 도축한 후 업진, 보섭, 채끝, 등심, 꾸리, 홍두깨, 목심, 설깃, 우둔, 양지 부위를 분리하여 전국 소비자 650명을 대상으로 탕, 그릴 및 구이형태로 각각 조리하여 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탕 형태로 조리된 거세한우고기는 거주지역, 연령, 성별, 직업 및 10개의 부위에 대한 관능특성 4가지 요인(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과 모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기섭취습관 및 숙성여부도 연도 및 전반적인 기호도와 유의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스테이크 형태인 경우 쇠고기에 대한 기호 성향이 거주지역, 숙성여부 및 부위가 관능특성 4가지 요인(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과 모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수입 및 고기섭취습관 등도 연도 및 전반적인 기호도 특성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구이 형태인 경우 거주지역, 연령, 직업, 가계수입, 고기섭취 습관, 숙성 여부 및 부위에 따라 연도, 다즙성, 향미 및 기호도 성향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또한, $1^{++}$ 등급과 같은 최상의 육질등급을 받은 거세한우고기의 관능평가 결과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리방법에 따라 연도, 다즙성, 향미 및 기호도가 부위별 관능특성에 미치는 가중치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소비자들은 동일한 조건의 쇠고기일지라도 요리방법 및 부위에 따라 쇠고기 맛을 평가하는 기호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부위별 요리방법별 맛 예측모델을 확립한다면 한우고기를 차별화 할 수 있는 유통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우 거세우의 적정 출하월령 추정 (Estimation of Resonable Market Month of Age for Hanwoo Steer)

  • 윤지환;원정일;이경수;김종복;이정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5호
    • /
    • pp.405-416
    • /
    • 2013
  • 본 연구는 도체월령별 도체형질의 변화를 분석하여 적정 도축시기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2005년 10월부터 2011년 9월 사이에 도축된 거세우 17,249두의 도체형질자료를 이용하였다. 각 도체형질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도축일령, 도체중, 등지방두께, 등심면적, 근내지방도, 육량지수, 도체단가 및 도체 총가격에서 각각 $940.4{\pm}73.00$, $437.0{\pm}48.70$ kg, $12.1{\pm}4.32$ mm, $90.3{\pm}9.51cm^2$, $5.7{\pm}1.86$, $65.13{\pm}3.23$, $14.150{\pm}1.77$천원 및 $6181.18{\pm}1009.46$천 원으로 나타났다. 도체월령별 회귀계수에서 조기 도축그룹에서는 도체 단가를 제외한 전체 형질들에서, 만기 도축그룹에서는 근내지방도를 제외한 전체 형질들에서 월령별 회귀계수가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28개월령 이전으로 도축시기를 결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속가능한 친환경 한우 사양 전략 수립을 위한 일당증체량과 도체 특성에 관한 상관성 (Correlation of Effective Average Daily Gain and Carcass Traits for Sustainable Hanwoo Steers Feeding Strategy)

  • 박명선;전은정;한재규;김정용;원미영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7-148
    • /
    • 2021
  • 일련의 분석결과 10~23개월령 한우 거세우의 일당 증체량이 도체 성적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한우 생산성 향상과 영양 및 사양관리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hysicochemical attributes, oxidative stability, and microbial profile of boneless sirloin and bone-in T-bone steaks from Hanwoo steer with reference to dry-aging

  • Ali, Mahabbat;Nam, Ki-Cha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5호
    • /
    • pp.1169-1181
    • /
    • 2021
  • We investigated the comparative physicochemical attributes, oxidative stability,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28 days dry-aged meat in between boneless sirloin (gluteus medius) and bone-in T-bone steaks (infraspinatus) muscles from Korean Native Hanwoo Steer (KNHS). Results reveal that regardless of the muscles, dry-aging increased protein content and water-holding capacity (WHC) (p < 0.05). Meat from infraspinatus-aged muscle led to darker meat with higher pH values than un-aged meat (p < 0.05). However, fat content, CIE a*, and CIE b* remained unchanged in both muscles at aging. At aged meat,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from bone-in infraspinatus muscle was 2.5-fold higher than boneless gluteus medius muscle (p < 0.05). Dry-aging led to an increase in the contents of total unsaturated fatty acids (UFAs),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s), and UFA/saturated fatty acids (SFA) in both muscles (p < 0.05). Furthermore, gluteus medius aged muscle concentrated with olic acid (C18:1) compared to infraspinatus aged muscle. Irrespective of the muscles, dry-aging enhanced the total free amino acids (FAAs) as well as tasty, and bitter amino acid contents whereas decreased the tasty/bitter amino acids (p < 0.05). Aromatic amino acid, tryptophan that converted to serotonin was 2-fold higher in boneless gluteus medius muscle than bone-in infraspinatus muscle at pre and post aging processes (p < 0.05). Aged Infraspinatus muscle increased total bacteria (p < 0.05) while no salmonella spp. was detected in both muscles. Taken together, our study confirms that 28 days dry-aging profil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neless sirloin (gluteus medius) and bone-in T-bone steaks (infraspinatus) distinctly while gluteus medius aged steak performs better owing to oxidative stability and functional compounds than infraspinatus aged steak.

성별이 한우 등심의 육질등급요인,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x on Quality Grade Factors, Physicochemical and Sensory Traits of Longissimus Dorsi in Hanwoo)

  • 이종문;최주희;오미화;김용수;천동원;서상철;황규석;장애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21-327
    • /
    • 2010
  • 성별 한우쇠고기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육질등급이 5개로 개전된 후 첫 해인 2005년도에 전국에 출하된 42,113두의 육질등급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2005년부터 2008년도 상반기까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도축된 257두의 쇠고기 품질을 분석하였다. 성별 한우의 육질등급요인(근내지방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한우 거세우가 가장 우수하였다(p<0.05). 근내지방도, 성숙도 및 조직감은 거세우가 각각 5.02, 2.17 및 1.31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에 따라 육질등급 지수도 2.75($1^{++}$ 등급 =1, 3등급= 5)로 가장 높았다(p<0.05). 수분함량은 수소가 73.23%로 가장 높았으며, 조지방 함량은 거세우가 17.27% 가장 높았다(p<0.05). 거세우의 명도($L^*$), 전단력 및 보수력은 각각 39.01, 4.03 kg 및 57.08%로 가장 높았으나(p<0.05), 암소와 수소 간의 차이가 없었다. 전단력에 있어서 암소 및 수소가 각각 7.73 kg 및 8.35 kg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난 것은 연도 증진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관능검사 결과 연도, 다즙성, 향미 및 총 점수에서 거세우가 가장 좋았다(p<0.05). 이와 같은 연구는 시대적으로 변화하는 한우산업의 여건에 따라 단계 별로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암소의 경우 경산우 비육이 대부분인 우리나라의 실정에 비추어 볼 때 산차별 또는 연령별 품질관련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Effects of Rumen Protected Oleic Acid in the Diet on Animal Performances, Carcass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Hanwoo Steers

  • Lee, H-J.;Lee, S.C.;Oh, Y.G.;Kim, K.H.;Kim, H.B.;Park, Y.H.;Chae, H.S.;Chung, I.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7호
    • /
    • pp.1003-1010
    • /
    • 2003
  • The effects of different rumen protected forms, oleamide, Ca oleate, of dietary oleic acid on the carcass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intramuscular and subcutaneous fat tissues of Hanwoo steer were examined. Sixty, 25 month old Hanwoo steers divided into three groups were fed no supplement (Control), 2% of oleamide (Oleamide) or Ca-oleate (Ca-Oleate) in their diet for 45 or 90 days. Disappearance rates of oleic acid supplements in digestive tracts (Rumen bypass, abomasal and intestinal disappearance rate) were 48.5, 68.4 for oleamide and Ca oleate, respectively. Both oleic acid supplements affected feed intake, growth rate, cold carcass weight and carcass fatness. Live weight gain, carcass weight, back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 were higher in the oleic acid supplemented steers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control. Oleic acid supplements increased marbling score and ether extract in Hanwoo steer m. logissi thoracicmus. Rumen protected oleic acid increased not only the level of oleic acid but also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intramuscular and subcutaneous fat tissue. Total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in both fat tissues were decreased whereas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from control.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a oleate than any other steers. Lipid metabolites in blood were increased in rumen protected oleic acid treatments. HDL content in blood was increased in Ca-oleate supplemented steers whereas LDL was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The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s in the rumen protected oleic acid supplemented steers suggest that the oleic acid and unsaturated fatty acid were protected from rumen biohydrogenation and can be deposited in the fat tissues.

구제역이 한우 거세우의 적정 사육 기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ot-and-Mouth Disease on the Optimal Rearing Period of Hanwoo Steers)

  • 김세혁;김태균;최세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07-521
    • /
    • 2021
  • The livestock farmers are producing under uncertainties such as Foot-and-Mouth Disease (FMD) and Free Trade Agreement (F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capabilities of Hanwoo farmers to prepare them for the uncertainties just mentioned.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optimal rearing period in order to reduce the feed cost, which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operation cost of Hanwoo. Using the universal lattice model, 41,139 of 289,000 Hanwoo slaughter data from 2010 to 2019 were used for the FMD period and 246,605 heads for the general period. The results show that the maximum cutoff price of Hanwoo steer is 6,394,457 won at the 4th week of 27 months of age in general period, where as 6,242,752 won at the 2nd week of 26 months of age in the FMD period.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helpful for Hanwoo farms to maximize their business profits by slaughtering one month and two weeks earlier in the FMD period than in the general period. In addition, Hanwoo farmers need to break away from the conventional rearing method and improve their management efficiency through a more flexible rearing method.

한우 암소, 수소, 거세우의 비육단계별 발육성적과 혈액성상 및 도체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among Bull, Steer and Heifer on Growth Performance, Blood Compositio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attening Phase in Hanwoo)

  • 이상민;현종환;이신자;김언태;문여황;이성실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31-944
    • /
    • 2016
  • 본 연구는 한우의 성별 발육성적, 혈액성상 및 도체특성을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12개월령 한우 수소구(4두, 체중 $339.8{\pm}18.5kg$), 거세우구(4두, 체중 $309.8{\pm}13.2kg$), 암소구(3두, 체중 $290.0{\pm}16.7kg$)를 개체 사료급여기가 부착된 우사에 배치하여 총 20개월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일당증체량은 비육전기에는 한우 수소, 거세우 및 암소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비육중기부터 수소구가 높았으며 암소구가 가장 낮았다(p<0.05). 공시축의 체형차이는 24개월령부터 나타나, 한우 암소는 체고와 체장에서 가장 작았으나(p<0.05), 체고는 32개월령대에서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12개월령 공시축의 혈액성분 중, 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및 total protein함량은 암소구에서 높았으며, GPT 수준은 수소구에서 높았다(p<0.05). 혈청 GOT 수준은 처리구 공히, 비육후기에 높았으며, 수소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육량지수는 수소구와 암소구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거세우구가 가장 낮았다(p<0.05). 육질평가에서 근내지방도는 거세우구와 암소구가 수소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육질등급은 거세우구가 가장 높았다. 본 시험은 한우사양표준 개정에 있어서 성별간 비교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