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woo Economic trait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 of crude protein content and undegraded intake protein level on productivity, blood metabolites, carcass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economics of Hanwoo steers

  • Lee, Youn Hee;Ahmadi, Farhad;Lee, Myun;Oh, Young-Kyoon;Kwak, Wan Su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0호
    • /
    • pp.1599-1609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how feeding diets differing in crude protein (CP) and undegraded intake protein (UIP) levels affected productivity, blood metabolites, carcass characteristics, and the production economics of Hanwoo steers. Methods: Thirty-six Hanwoo steers (age = 8.2±0.5 mo; body weight = 254±16.1 kg) were assigned at random to one of three treatments (4 steers/pen; 3 pens/treatment): i) a low-CP diet (LP; control) containing 12.1% CP with 35.1% UIP, 12.0% CP with 36.8% UIP, and 12.9% CP with 48.8% UIP, in the growing, fattening, and finishing periods, respectively; ii) a high-CP, low-UIP diet (HPLU) containing 15.0% CP with 33.7% UIP, 14.0% CP with 35.7% UIP, and 13.1% CP with 46.7% UIP, respectively; and iii) a high-CP, high-UIP diet (HPHU) containing 15.0% CP with 45.8% UIP, 14.0% CP with 44.6% UIP, and 13.0% CP with 51.1% UIP, respectively. Results: The treatments did not affect feed intake and growth performance, except for average daily gain during the fattening period that tended to be the lowest (p = 0.08) in the HPLU-fed steers. The feed CP conversion ratio over the entire feeding period was higher with high-CP diets. The treatments did not affect most blood metabolites; however, blood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 concentrations during the fattening and finishing periods were the lowest in steers fed a HPLU diet. The treatments had negligible effects on cold carcass weight, yield traits including longissimus muscle area, backfat thickness, yield index, and yield grade, plus quality traits including meat color, fat color, texture, and maturity. However, marbling score and frequency of carcass quality grade 1++ were greater in HPHU-fed steers. Conclusion: Feeding diets with higher CP and UIP levels did not affect growth performance but tended to improve the carcass quality of Hanwoo steers, resulting in greater economic return.

Effects of Supplementing Microbially-fermented Spent Mushroom Substrate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a Field Study)

  • Kim, Y.I.;Lee, Y.H.;Kim, K.H.;Oh, Y.K.;Moon, Y.H.;Kwak, Wan-Su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1호
    • /
    • pp.1575-1581
    • /
    • 2012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icrobially-fermented spent mushroom substrates (MFSMS) on weight gai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efficiency of Hanwoo steers. Highly cellulolytic bacteria (Enterobacter spp. and Bacillus spp.) isolated from spent mushroom substrates (SMS) stacks were inoculated (1% v/v) into the SMS, which was anaerobically fermented and fed to the steers for 12.6 months during the growing and fattening periods. Growing Hanwoo steer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supplementation of Microbially-fermented SMS (MFSMS), to a treatment group with 50% of MFSMS (1/2 of the ad libitum group), and to a treatment group with ad libitum access to SMS (the ad libitum group). All the groups were fed the formulated feed and rice straw. The voluntary intake (DM basis) of MFSMS was 1.6 kg/d during the growing period and 1.4 kg/d during the fattening period. The voluntary rice straw intake decreased by 6 to 11%, but the total voluntary DMI increased by 7 to 15% with MFSMS fed. The increased DMI with MFSMS supplementation resulted in a tendency of increased (p = 0.055) live weight gain by 8 to 12%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t slaughtering, the supplementation of MFSMS increased (p<0.05) the ribeye area by an average of 10 cm2. In conclusion, feeding MFSMS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of Hanwoo steers and could successfully replace a part of conventional roughage such as rice straw commonly used in Asian countries.

PCR-RFLP를 이용한 한우 Leptin gene의 유전자형 변이와 경제형질과의 관련성 분석 (Association of Genetic Missense Mutation and Economic Traits of Leptin Gene using PCR-RFLP in Korea C밟le(Han-Wo이)

  • 임현진;오재돈;공홍식;전광주;이학교;이승수;윤두학;김종대;조병욱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295-300
    • /
    • 2004
  • 본 연구는 도체성적을 보유하고 있는 제 31차, 32차 한우 후보종모우 집단 228두를 선발하여 DNA를 분리 정제 후 exon 2에 위치한 bovine leptin gene 염기서열 가운데 특정 염기서열을 갖는 2좌위의 primer를 합성하여 PCR 수행 후 PCR-product를 이용하여 2 종류의 제한효소 Kpn 2 I, Msp I 으로 반응시킨 후 두 가지 형태의 대립 유전자를 검정하여 경제형질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PCR-RFLP를 통하여 얻어진 leptin gene의 유전자형 빈도는 Kpn2 I의 경우 C 유전자 빈도(0.25)보다 T 유전자 빈도(0.75)가 높게 나타났으며 Msp I으로 처리한 경우 M 유전자 빈도(0.35)보다 m 유전자 빈도(0.65)가 높게 나타났다.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각 유전자형에 대한 경제형질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제한효소 Kpn2 I으로 처리한 경우 도체율에서 CT 유전자형과 CC 유전자형 사이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으며(P < 0.05), Msp I의 경우 도체중 Mm 유전자형과 mm 유전자형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P < 0.05).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Exon 5번에서의 새로운 다형성 연구 (A Missense Mutation in Exon 5 of the Bovine Growth Hormone Gene)

  • 윤두학;김태헌;이경희;박응우;이학교;정일정;홍기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13-22
    • /
    • 2003
  • 성장호르몬 유전자는 하나의 작은 공통 선조 유전자로부터 아주 오랜 기간동안 유전자 중복에 의해 진화되어 온 그룹들 중의 하나이다. 이들에 속하는 유전자들은 동물 종간에 구조적인 상동성과 기능적 공통성 등 유사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 이런 연구결과들을 근거로 하여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에서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영역으로부터 새로운 아미노산의 변이(missense mutation)를 검출하였고, 이 변이의 대립유전자 빈도는 소(cattle)의 종(species) 및 품종의 지리적 분포에 따라 일정한 경향 치를 보여 주었다. 한편 변경되어진 아미노산은 Tryptophan으로 이는 생물체에 존재하는 많은 단백질들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중에서도 그 출현빈도가 가장 낮은 것이다. 또한 검출된 변이는 성장호르몬이 그의 수용체와 강하게 결합하는 부위로서, 성장호르몬의 구조적 변이를 초래하여 수용체와의 결합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이후 성장호르몬이 표적세포로의 신호전달과 같은 역할을 제대로 수행치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가축의 표현되어지는 경제형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대립유전자를 보유하는 개체는 집단에서 제거하는 방법에 의한 개량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속형 데이터에서 E-MDR과 D-MDR방법 비교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E-MDR and D-MDR in Continuous Data)

  • 이제영;이호근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6권4호
    • /
    • pp.579-586
    • /
    • 2009
  • 통계모형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기위해 비모수적인 방법인 다중인자 차원 축소(MDR)방법을 사용해 왔다. MDR 방법은 사례-대조 데이터에만 적용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Regression tree 알고리즘과 더미 변수를 활용한 회귀분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다중 범주를 High 범주와 Low범주로 분류함으로써, MDR방법에서 연속형 데이터에 적용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제시된 Expanded MDR방법과 Dummy MDR방법을 한우의 주요 경제형질(longissimus muscle dorsi area: LMA, carcass cold weight: CWT, average daily gain: ADG)데이터에 적용하여 한우의 경제형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 SNPs 마커를 규명하고, Permutation test를 통해 그 결과를 비교한다.

발효 팽이버섯 수확후배지의 급여 수준이 한우 거세우의 비육과 도체성적 및 경제성 분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fermented spent mushroom substrates of the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 문여황;조웅기;김현정;김지은;김보람;김혜수;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23-228
    • /
    • 2017
  • 본 연구는 팽이버섯 수확후배지를 이용한 발효 TMR 급여가 한우 거세우의 사양성적과 도체특성 및 경제성 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팽이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F-SMS) 제조를 위하여 자체 개발된 혼합배양액(Bacillus sp. UJ03+Saccharomyces sp. UJ14)을 사용하였다. 한우 거세우 14개월령 24두를 공시하여 성장단계(비육전기, 비육후기, 비육마무리기)에 따라 배합비를 조절하면서 사육한 후, 30개월령에 도축하였다. 처리구는 자체 TMR을 급여한 대조구(Control), F-SMS 10% 첨가구(T1) 및 30% 첨가구(T2)로 나누어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증체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건물과 TDN 섭취량은 비육 마무리기에 T1구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고, 조단백질 섭취량은 전 시험 기간 동안 T2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많았다(p<0.05). 배 최장근 단면적과 등지방두께는 팽이버섯 수확후배지 발효 사료 급여 시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T1구에서 육량 A등급 출현율이 가장 높았다. 순수익은 대조구에 비해 T1과 T2구가 각각 1.2% 및 13.3%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팽이버섯 수확후배지의 원료비와 발효사료 제조비용의 변동이 없고, 사료로서 안전성이 확보된다면, 팽이버섯 수확후배지는 한우 비육에 있어서 우수한 대체사료자원으로서 농가소득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도 한우와 제주흑우실용화축군 집단에서 ADD1 유전자의 다형성이 경제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etic Polymorphisms of ADD1 Gene on Economic Traits in Hanwoo and Jeju Black Cattle-derived Commercial Populations in Jeju-do)

  • 한상현;오홍식;이재봉;좌은숙;강용준;김상금;양성년;김유경;조인철;조원모;고문석;백광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1-28
    • /
    • 2015
  • 한우와 제주흑우실용화축군(JBC-DC) 집단에서 ADD1 유전자의 유전적 다형성을 조사하였다. ADD1 유전자형은 intron 7 영역에서 84-bp 절편의 유무에 따라 결정하고, 두 집단에서 ADD1 유전자형과 경제형질의 상관관계를 시험하였다. 한우 거세우집단에서는 ADD1 D/- 도체들이 WW 개체들보다 유의적으로 더 두꺼운 등지방두께를 보여주었다(p<0.05). 하지만, JBC-DC 집단에서는 이형접합인 WD에서 가장 두꺼운 등지방두께를 나타냄을 볼 수 있었고(p<0.05), 이는 W와 D 대립인자의 상승효과에 의해 등지방 축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육질등급지수나 근내지방도으로 측정된 근육조직에서 근내지방의 축적과 ADD1 유전자형과은 상관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ADD1 유전자는 근육조직의 근내지방보다는 피하조직에서 등지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DD 유전자형에서 W/-인 동물들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육색을 나타내었다(p<0.05). 흥미로운 것은 JBC-DC 집단에서만 도체중과 유전자형 사이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D/-인 동물들이 WW인 동물들에 비해 38 kg 이상 더 무거웠다(p<0.001). 연구결과는 ADD1 유전자형에 따라 빠른 성장률과 거세우의 생산성에 차이들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발견들은 ADD1 유전자형이 유전적 분자 마커로써 한우와 제주흑우-유래 축군의 개량을 위한 교배육종에서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Main Gene Combinations and Genotype Identification of Hanwoo Quality with SNPHarvester

  • Bae, Jae-Young;Lee, Jea-Young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9권6호
    • /
    • pp.799-808
    • /
    • 2012
  • It is known that human disease and the economic traits of livestock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a gene combination effect rather than a single gene effect. Existing methods to study this gene combination effect have disadvantages such as heavy computing, cost and time; therefore, to overcome those drawbacks, the SNPHarvester was developed to find the main gene combinations. In this paper, we looked for gene combinations using an adjusted linear regression model. This research finds that superior gene combina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Korean beef cattle among sets of SNPs using SNPHarvester. We also identify the superior genotypes using a decision tree that can enhance the various qualities of Korean beef among selected a SNP combination.

유전자 행렬 맵핑을 활용한 우수 유전자형 조합 선별 (Detection of major genotypes combination by genotype matrix mapping)

  • 이제영;이종형;이용원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3호
    • /
    • pp.387-395
    • /
    • 2010
  • 인간의 질병 및 가축의 특성치에 관한 유전자 규명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유전자원 보존과 유전능력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 역시 매우 중요한 관심사로써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을 진행해왔다. 통계모형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같은 전통적인 방법과 비모수적인 방법들이 개발되었지만 이들은 상호작용에 영향을 준 양적형질위치들의 하위 집단의 유전자형에 대해서 고려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양적형질위치들을 한 번에 비교하여 특성치에 영향을 주는 양적형질위치의 상호작용과 그 하위집단인 유전자형을 규명하는 방법으로 유전자형 행렬 맵핑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EST_based SNP 연관지도에 의해 선정된 17개의 후보 단일염기다형성을 대상으로 유전자 행렬 맵핑을 활용하여 한우의 주요 경제형질인 일당증체량, 도체중, 등심단면적, 근내지방도에 영향을 주는 우수 유전자형 조합을 선별한다. 그리고 선별된 조합에 대해 유전자 행렬 맵핑 방법에서 적용되지 않은 순열검정을 도입함으로써 우수유전자형 조합에 대한 통계적인 유의성을 확인한다.

MULTIFACTOR DIMENSIONALITY REDUCTION(MDR)을 이용한 한우 도체중에서의 주요 SNP 규명 (Main SNP Identification of Hanwoo Carcass Weight with Multifactor Dimensionality Reduction(MDR) Method)

  • 이제영;김동철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1호
    • /
    • pp.53-63
    • /
    • 2008
  • 일반적으로 인간의 질병과 가축의 경제적인 특성은 하나의 유전자가 아닌 여러 유전자의 상호작용으로 일어난다고 믿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대를 거듭할수록 대립유전자의 유전이 안정적으로 발생되어지고 개체의 기능적인 유전적 가치를 직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을 한우의 경제적 특성인도체중(carcass cold weight)에 대하여 모수적인 방법인 ANOVA와 비모수적인 방법인 multifactor dimensionality reduction(MDR)을 이용하여 하나의 유전자의 효과와 두 개의 유전자의 상호작용 효과를 비교하였다. ANOVA에서는 하나의 유전자 SNP1이 도체중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도체중에 유의한 효과는 없었다. MDR에서는 하나의 유전자의 효과인 SNP1과 두 개의 유전자의 상호작용인 SNP1*SNP2의 효과가 컸으며 SNP1과 SNP1*SNP2를 비교했을 시에는 SNP1*SNP2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개별 SNP유전자 보다 복합 SNP유전자의 상호작용이 경제적인 특성인 도체증에 더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