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over management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32초

Satellite Mobility Pattern Scheme for Centrical and Seamless Handover Management in LEO Satellite Networks

  • Tuysuz, Aysegul;Alagoz, Fatih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8권4호
    • /
    • pp.451-460
    • /
    • 2006
  • Since low earth orbit (LEO) satellite constellations have important advantages over geosynchronous earth orbit (GEO) systems such as low propagation delay, low power requirements, and more efficient spectrum allocation due to frequency reuse between satellites and spotbeams, they are considered to be used to complement the existing terrestrial fixed and wireless networks in the evolving global mobile network. However, one of the major problems with LEO satellites is their higher speed relative to the terrestrial mobile terminals, which move at lower speeds but at more random directions. Therefore, handover management in LEO satellite networks becomes a very challenging task for supporting global mobile communication. Efficient and accurate methods are needed for LEO satellite handovers between the moving footpri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eamless handover management scheme for LEO satellites (SeaHO-LEO), which utilizes the handover management schemes aiming at decreasing latency, data loss, and handover blocking probability. We also present another interesting handover management model called satellite mobility pattern based handover management in LEO satellites (PatHO-LEO) which takes mobility pattern of both satellites and mobile terminals into account to minimize the handover messaging traffic. This is achieved by the newly introduced billboard manager which is used for location updates of mobile users and satellites. The billboard manager makes the proposed handover model much more flexible and easier than the current solutions, since it is a central server and supports the management of the whole system. To show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s, we run an extensive set of simulations both for the proposed algorithms and well known handover management methods as a baseline model.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s are very promising for seamless handover in LEO satellites.

Handover 기반과 Non-Handover 기반의 Mobility Management 기법의 비교 (Comparison of Mobility Management methods Handover based and Non-Handover based)

  • 우중재;주형식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81-8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macro-cell 위에 동일한 주파수를 쓰는 pico-cell이 overlay 되어 있는 환경에서, 움직이는 사용자에 대한 management 방법이 움직이는 사용자가 지원 받을 수 있는 data rate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mobility management 방식에 따른 움직이는 사용자가 지원받을 수 있는 data rate는 사용자와 pico-cell의 상대적 위치에 의존함을 확인하였다.

A Scenario for Enhanced Network-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 Kim, Dong-Il;Kim, Kwang-Deok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6권3호
    • /
    • pp.245-248
    • /
    • 2008
  • Everytime a node moves out of its area, the connection to the node encounters a handover which may cause much latency. NetLMM(Network 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supports the mobility management for such nodes and improves handover latency using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function. In this paper, we add some messages to NetLMM procedure to improve handover latency and analyze its effects through a scenario based approach

3GPP LTE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키 관리 기법의 약점 연구 (Security Weaknesses of Handover Key Management in 3GPP LTE Network)

  • 한찬규;최형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5-31
    • /
    • 2012
  • LTE/SAE는 공격자의 키 획득 및 공격에 노출된 네트워크 노드를 고립시키기 위해 핸드오버 키 관리기법을 정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핸드오버 키 관리 기법이 비동기화 공격에 의해 전방향안전성이 보장되지 못 함을 보일 뿐만 아니라, 재전송 공격을 통해 안전한 핸드오버 키 전달을 저해하여, 핸드오버 지연을 유발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상기의 공격들을 방지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해결책에 따른 연산 및 통신소모를 분석한다.

네트워크 기반에서의 이동성 시나리오 제안 (A proposal scenario for Network-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 김광덕;허정희;김동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63-66
    • /
    • 2007
  • MIPv6에서는 노드가 이동하여 그 연결이 바뀔 때마다 일어나는 핸드오버 과정에서는 많은 지연을 가져 온다. 단말의 이동성 관리를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NetLMM(Network 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에서는 핸드오버 지연을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NetLMM 프로토콜에 추가적인 메시지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지연을 분석 한다.

  • PDF

PMIPv6에서의 위치관리기법을 고려한 이 기종 망간의 Fast Handover 기법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Fast-Handover Mechanism Between Hetrogeneous Networks Considering the Location Management in PMIPv6)

  • 심재성;박석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권3호
    • /
    • pp.219-228
    • /
    • 2012
  •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활성화 되면서 현재 많은 사용자들은 공간에 제약 없이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모바일 노드의 이동성 보장을 위한 IETF의 MIP, PMIP 등과 같은 이동성 관리 기법들은 모바일 노드에 무거운 프로토콜 스택을 탑재하게 하거나 LMA, MAG 등과 같은 신규 구성 요소 추가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PMIPv6에서의 위치관리기법과 Fast Handover 기법을 제안하였다. 위치관리기법은 노드의 이동패턴에 따라 페이징 영역을 동적으로 조정하도록 제안하였고, Fast Handover 기법은 MIH 기술을 적용하여 이 기종 네트워크간의 핸드오버 신호 처리 시간을 단축하였다. 이를 평가하기위해 노드가 이동하는 환경에서의 위치관리비용과 핸드오버 지연시간을 계산하였고, 제안기법이 PMIPv6보다 최소 29%, 최대 83% 더 효율적으로 평가되었다.

MIH 서비스를 이용한 고속 NetLMM 프로토콜 (Fast Network 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us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Services)

  • 박시헌;김영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1호
    • /
    • pp.35-4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진행 중인 NetLMM(Network 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WG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기반의 고속 핸드오버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NetLMM 프로토콜에서 핸드오버 지연을 개선하기 위해 IEEE 802.21 MIHS(Media Independent Handover Services)를 적용하였으며 Fluid Flow Mobility Model을 이용하여 제안하는 Fast NetLMM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Fast NetLMM 프로토콜은 다른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IPv6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을 통한 지연 감소 (Reducing Handover Latency through Protocols of IPv6 Mobility Management)

  • 김광덕;김동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43-46
    • /
    • 2008
  • 무선 사용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동안 단절은 핸드오버 프로세스 동안 일어날 수 있다. 핸드오버 과정 동안의 높은 핸드오버 대기시간은 무선 커뮤니케이션의 서비스 질을 저하 시킬 수 있다. 만약 작동 네트워크가 실시간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있다면 이 문제는 점점 더 심각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핸드오버 대기시간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 IPv6 이동성 관리의 프로토콜의 연동으로 보여 준다. 이기종간 장치가 있는 IPv6의 이동성에서 SIP프로토콜이 핸드오버 대기시간을 줄이는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 PDF

M-FHMIP mechanism for mobile multicasting in IP networks

  • Park, Young-Dug;Rhee, Woo-Seop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4권3호
    • /
    • pp.29-34
    • /
    • 2008
  • Fast handover is essential to support seamless multicast service in MIPv6. To reduce handover latency of multicast, there are two handover mechanisms, one is M-FMIP that prepares fast L3 handover before L2 handover and the other is M-HMIP that performs local area mobile multicast management. This paper proposes M-FHMIP that integrates an advantage of M-FMIP and M-HMIP, and analyzes the multicast handover latency.

3GPP LTE/SAE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키 최적 갱신주기에 관한 연구 (Optimal Handover Key Refresh Interval in 3GPP LTE/SAE Network)

  • 한찬규;최형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8C권4호
    • /
    • pp.237-242
    • /
    • 2011
  • LTE/SAE는 공격자의 키 획득 및 공격에 노출된 네트워크를 방지하기 위해 핸드오버 키 관리기법을 정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핸드오버 키 관리 기법이 비동기화 공격에 의해 전방향안전성이 보장되지 못 함을 보인다. 비동기화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인 루트키 갱신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그널링 부하와, 공격에 노출되는 패킷의 양을 최소화 하는 최적 루트키 갱신 주기를 도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