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ir management behavior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1초

소매서비스업에서의 고객참여행동 수준에 관한 연구 (The Level of Customer Participation in Retailing Service)

  • 안진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3호
    • /
    • pp.191-215
    • /
    • 2011
  • 소매서비스업은 고객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차별화를 시도하면서도 서비스의 생산 및 전달과정에 참여하는 고객의 행동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소매서비스업에서 고객참여행동을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소매서비스업에 따른 고객참여행동의 수준을 보다 면밀히 파악하고 알아야 할 필요가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주요한 소매서비스업을 선별하여 고객참여행동의 수준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4가지 소매서비스업 유형(접촉의 정도와 참여행동 수준의 정도에 따라 구분된 패밀리 레스토랑, 미용서비스, 병원서비스, 교육서비스)에 따라 고객참여행동의 하위차원 (적극성, 소통성, 교감성, 순응성)이 어떤 수준의 차이를 보이는 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 적극성과 소통성에 있어서는 소매서비스 유형별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감성의 경우에는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고, 순응성의 경우에는 한계수준에서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네 가지 소매서비스 유형중 가장 고객참여행동의 수준이 높은 소매서비스는 병원서비스이며, 다음으로 패밀리레스토랑, 교육서비스, 그리고 미용실서비스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는 소매서비스업 유형에 따라 고객참여행동의 내용과 양이 다르다는 것을 실증하였으며, 소매서비스업 유형별 고객참여행동의 수준을 확인하고 이를 고객참여행동 유도전략에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PDF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Psychosocial Health of Female Undergraduates')

  • 이인숙;양윤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01-312
    • /
    • 2015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신체상과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며, 2014년 9월부터 10월까지 일부 도시의 여대생 총 19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상은 5점 만점에 $3.12{\pm}1.06$점으로 조사되었다. 외모관리 행동은 5점 만점에 $2.82{\pm}1.00$점이며, 대상자들은 메이크업과 의복관리 행동을 많이 하지만 운동, 섭식 행동은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심리사회적 건강 점수는 평균 $22.90{\pm}5.96$점으로 대상자의 73.2%가 잠재적 위험군이며, 고위험군은 25.8%로 전체 대상자가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 학년, 전공, 비만도, 건강관심도 및 체중조절 의도는 주요 변수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대상자의 신체상은 외모관리 행동과 심리사회적 건강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외모관리 행동 하위 영역에서도 운동은 섭식과, 섭식은 헤어관리행동과, 헤어는 메이크업, 의복관리행동, 메이크업은 의복관리행동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심리사회적 건강은 신체상 및 헤어관리행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신체상, 건강 관심도, 학년 순으로 대상자의 심리사회적 건강을 14.4% 설명하였다. 즉, 신체에 대한 불만족이 높을수록, 건강 관심도가 낮을수록, 학년이 낮을수록, 심리사회적 건강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건강에 대해 관심을 갖도록 하며 자신의 외모와 신체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심리사회적 건강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남성들의 외모관리 정보수용도에 따른 추구가치와 뷰티서비스 융합마케팅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Marketing of Pursuing Value and Beauty Service in Accordance with Men's Acceptance of Information about Beauty Care)

  • 김혜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569-578
    • /
    • 2015
  • 남성들도 외모 추구스타일 변화, 그리고 외모관리행동과 그 추구가치에 상당한 변화가 나타났다고 보며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가 대두되었다. 이를 위해 남성들의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 수용도와 이에 따른 추구가치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거주 직장인 남성 약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섯 가지 외모관리행동의 실용적 가치에 대한 추구 정도가 가장 높고, 미적 가치는 다른 두 개의 가치에 비해 외모관리행동 유형에 따라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피부관리 양식의 수용도는 다른 양식과는 달리 사회문화적 가치, 실용적 가치, 미적 가치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적가치 추구의 소극성과 실용적 가치와 사회문화적 가치의 중시 경향으로 나타났다. 헤어관리는 실용적 가치에 의해, 성형수술은 미적 가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양식 부분에서는 피부관리 수용도만이 복합적 가치 추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 양식별 마케팅으로는 헤어관리는 대규모 마케팅 캠페인이 오히려 효과적일 수 있으며, 성형 수술에 대한 비즈니스에 대해서는 좀 더 심미적 차원의 캠페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여성 소비자의 화장품 소비성향이 제품선택속성과 정보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rean Female Consumer's Propensity to Consume Cosmetics on the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

  • 주영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61-7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장품 소비자들의 성향을 파악하고, 소비성향 요인을 중심으로 제품선택속성과 정보탐색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화장품 시장의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수립 방안을 찾음으로서 기업 경영에 필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화장품 산업에서 마케팅 방향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변수의 요인을 추출한 결과 쇼핑성향은 유행추구 성향, 쾌락 추구 성향, 과시 추구 성향, 경제 추구 성향으로 도출되었고, 제품선택속성은 브랜드 요인, 서비스 요인, 마케팅 요인, 품질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정보탐색행동은 구매 전 탐색, 지속적 탐색으로 도출되었다. 변수 간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를 근거로 3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검증한 결과 첫째, 소비성향은 제품선택속성에 부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성향은 정보탐색행동에 부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선택속성은 정보탐색행동에 부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owe syndrome 환아의 치과적 치료 : 증례보고 (DENTAL TREATMENTS OF THE CHILD WITH LOWE SYNDROME : A CASE REPORT)

  • 주찬희;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1-165
    • /
    • 2012
  • Lowe syndrome은 X-염색체 반성열성 유전 질환으로 1952년 Lowe 등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대부분 남성에게 발생하며, 주요 임상증상으로는 선천성 백내장 및 녹내장 등의 안구증상, 정신지체 및 근긴장저하 등의 근신경계 증상, 신장의 기능이상 등이 있고, 정신지체에 의한 행동조절 문제로 인해 전신마취를 시행할 경우 신장 기능 저하에 따른 대사성 산증과 악성 고열 발생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Lowe syndrome으로 진단된 10세 2개월 된 남아가 치석이 많고, 칫솔질이 어렵다는 것을 주소로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임상 검사 시 전반적으로 심한 치석의 침착, 법랑질 형성 부전, 변연성 치은염, 영구치의 맹출 지연, 전반적인 치아 동요 등의 소견을 보였으며, 심한 정신지체로 인해 환자의 협조도가 부족하여 진정요법 하에 외래에서 치과치료를 시행하였다. 행동조절의 어려움과 전신마취시의 위험성, 대사장애 처치에 사용되는 각종 약물로 인한 치아착색과 치석형성의 용이함 때문에 Lowe syndrome 환아의 치과적 관리는 특히 예방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제주지역 고등학생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eju High School Students'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 김옥선;최인숙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3권
    • /
    • pp.79-11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creating a more successful health enhancement program,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olicy which can enhance health management abilities and enable a healthy school life by examining relation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health perception, who are in early adolescence, and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13 students from 8 high schools on Jeju Isl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one-way ANOVA through questionnaires by researcher on the basis of advance research.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s : 1. When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health perception was mo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ose who were boys, whose family income was on a higher level, who scored better in school, whose parents were more concerned about their children's health, and who had experiences of being hospitalized. Especially, the more parents were concerned about their children's health, the higher the child's self-confidence on health(p<.05), anxiety on health(p<.05), practicality on disease prevention(p<.05), self-confidence on future health(p<.01), health care ability(p<.01), and family roles on health(p<.05). The less parents were concerned about their children's health, the higher the child's anxiety on disease(p<.01) and uncertainty on future health(p<.01). 2. When students'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concerned, in the area of Eating Habits, having regular meals(72.9%), moderate consumption of meat(89.7%) and a balanced diet(64%) were common, whereas having a regular breakfast(37.4%) and eating vegetables and fruits(43.6%) were rare. In the area of Exercise, all subareas such as exercising 3 or 4 times a week(76.7%), more than one hour of exercise at a time(74.9%), a short distance walk(51.8%), exercise within one hour after meals(87%), and whether wanning up or not(88.6%) were above average. In the area of Personal Hygiene, all subareas such as drinking boiled water(57.3%), washing hands after using the bathroom(71%), brushing teeth after eating(42.4%), washing up after going out(50.3%), and washing hair and taking a frequent bath(77.2%) were rare. In the area of Control of Personal Relations, consulting personal problems with family(78.7%) had a positive response, whereas meeting someone new(59.8%), maintaining sound relations with the opposite sex(47.3%), having respect for one's opinion(51.5%), and maintaining peaceful relations with people(58.4%) had rare negative results. In the area of Stress Management, not being competitive(69.4%), releasing problems(62.4%) and sleeping soundly(66.2%) were common, whereas having your own ways to relieve stress(46.8%) and having your own dreams and hopes(58.5%) were rare. 3. When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as far as relation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concerned, the boy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area of Eating Habits(p<0.01) and Exercise(p<0.01), and the girls were in the area of Personal Hygiene. As family economic status was high and parents were concerned about their children's health, the entire area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hether or not they were hospitalized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4. When their regions were considered, it comparing city to tow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perception and relation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s seen in the results above, high school students' level of health perception and level of practi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generally low. In conclusion, by enhancing health perception, a plan for activating health education, which can implement positive health promotion behavior, should be made.

  • PDF

미용실 서비스 속성이 고객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rvice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Beauty Salon)

  • 최성일;김현태;최우정;김지현;김은정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0권4호
    • /
    • pp.19-29
    • /
    • 2019
  • Purpose: In beauty industry, service quality is very critical, because it impacts on the customer's positive attitude and behavior to the beauty salon or beauty brand. Thus,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service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beauty salon. This research suggests the guidelines for how beauty salons should manage their physical environment, price policy, professional skills, and employees that improve manage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attributes,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Service attributes divide into four sub-dimensions such as servicescape, price service, technical service, and employee service. In order to tes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All constructs were measured with multiple items developed and examined in previous studies. A total of 16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and 150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10 that were unresponsive or unfaithfu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martPLS 3.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Resul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ll sub-dimensions of service attributes such as servicescape, price service, technical service, and employee service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satisfaction. Second, customer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 impact on loyalt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an integrated model of the relationship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salon service attributes affect customer loyalty through satisfaction, and suggests how to manage and allocate limited resources in the beauty industr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is shown to be increased by servicescape, technical characteristics, value of money, and human attributes. Thus, beauty salon management should focus o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ustomers how to improve customer loyalty through satisfaction. The quality of beauty service influences customer's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beauty salon. Considering the beauty business, where th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beauty services are determined by the hairdresser's beauty skills,, the beauty salons must find ways to improve their skills and new trend of hair style. If beauty salon customers perceive the high quality of beauty service, they revisit beauty salon and recommend it to others.

Lowe 증후군 환아의 전신마취를 이용한 치료증례보고 (TREATMENT OF THE CHILD WITH LOWE SYNDROME UNDER GENERAL ANESTHESIA: A CASE REPORT)

  • 장우혁;이긍호;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7-242
    • /
    • 2002
  • Lowe 증후군 또는 안뇌신증후군(oculocerebrorenal syndrome)은 X-염색체와 관련된 유전성 질환으로 반성열성유전양상을 나타낸다. 선천성 백내장과 녹내장 등의 안 증상, 근긴장 저하 건반사감소 등의 근신경계 증상, 신장 기능이상이 가장 특징적인 임상 증상이며, 이외에도 정신 지체, 성장지연, 전두부 융기, 가늘고 성긴 모발, 돌출된 귀, 골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Lowe 증후군 환자는 정신지체로 인해 치과치료시 전신마취하에서의 처치가 요구되나, 대사성 산증, 악성고열의 발생위험과 사용약제에 의한 부작용 등이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내과 또는 소아과 의료진이 참여된 협진체제 하에서 가능한 짧은 시간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치과적 처치의 어려움으로 Lowe 증후군 환자에서 치과질환의 예방이 좀더 강조되어야 하면, 이를 위해 보호자의 주위의 적극적 관리가 요구된다.

  • PDF

직장 남성의 스트레스 및 정서 상태에 따른 금연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Stress and Emotional Status of the Korean Male Office Workers)

  • 양미영;안경민;손애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364-6372
    • /
    • 2013
  • 본 연구는 직장 남성의 스트레스 및 정서 상태에 따른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해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간접흡연(Zero), 연기 없는 직장 금연캠페인"에 참가한 C회사의 흡연자 106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25일부터 12월까지 8개월 간 조사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금연 동기, 정서 상태, 스트레스 대처행동, 생활 스트레스, 희망, 직무 만족도의 정서적 변수를 가지고 사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성공자에 한 해 금연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30대 이상의 연령층과 기혼에서 금연 성공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비성공자와 성공자의 정서적 변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공자의 사전 사후 효과 분석을 한 결과 금연 동기와 관련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불안관련정서상태, 스트레스 대처행동, 직무 만족도에서 경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직장인 남성이 금연에 성공하려면 금연동기와 불안이나 스트레스 대처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를 적용하는 금연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금연캠페인의 메시지도 핵심집단(target audience)별로 정서적 측면을 강조한 메시지 개발이 요구된다.

건강행태와 영양제 복용 유무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nutrient supplement intake)

  • 이종숙;김인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498-508
    • /
    • 2017
  • 이 연구는 영양제 복용 유무를 조사하고 영양제 비복용자에 대한 영양제 복용자의 건강행태의 관련성과 기타 의약품 복용자 집단에 대한 영양제 복용자의 건강행태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건강한 집단이 영양제를 복용하면 더 건강해 질수도 있지만 오남용으로 될 수 있기에 실제 본연의 역할에 충실한지를 파악해 보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2008년 한국의료패널 자료의 가구원 24,614명, 즉 7,006명의 가구주 중 2009년 부가조사 (appen)자료에 응답한 자는 총 6,009명이었으며 자료의 특성상 가구주의 수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그 중 조사 시점에서 지난 1년 동안 약국에서 구매한 생활/건강증진 관련 의약품(01, 비타민제/영양제)을 3개월 이상(예정) 복용한다고 답변한 응답자를 영양제 복용자로 정의하였다. 그 외의 다른 의약품(05, 탈모 치료제, 06, 비만 치료제, 10.기타)을 복용한 사람을 기타 의약품 복용자로 보았다. 연구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고, 영양제 복용 유무에 따른 건강행태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양제 복용자와 비복용자를 대상으로 분석(A)한 결과 여성, 50세 이상일수록, 평균 이상의 생활비를 지출하는 경우 영양제를 더 복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행태변수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영양제 복용자와 기타 의약품 복용자를 대상으로 분석(B)한 결과 고졸 이상, 배우자가 있는 경우, 비흡연자일수록, 약물을 복용할수록,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경우, 경제적, 가족 갈등으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수록 영양제를 더 복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건강이 좋지 않거나, 문제가 있다고 느끼거나, 좀 더 건강해지기 위한 노력의 방편으로 영양제를 복용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건강해지고 싶다는 심리적 욕구에 의해 영양제를 복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