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ir component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초

사람태아 성장기 모낭에서 결합조직-상피 경계부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n Connective Tissue-Epithelial Junctions in Anagen Hair Follicle of Human Fetus)

  • 김백윤;박민아;남광일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3호
    • /
    • pp.321-332
    • /
    • 1997
  • The dermal papilla is known to playa major role in influencing the form and dynamics of the hair follicle, which probably involves regulatory substances crossing the basal lamina.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junctions between the dermal papilla and the surrounding epithelial cells of the hair bulb, or between the connective tissue and the epithelial cells on the outside of the hair follicl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ultra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dermoepidermal junction of the skin and connective tissue-epithelial junctions on the outside of the hair follicle and around the dermal papilla of normal anagen hair follicles in the human fetal scalp skin.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of dermoepidermal junction in scalp skin showed that basal lamina was very irregular and undulated, and it contained many attachment plaques of hemidesmosomes with sub-basal dense plates, tonofilaments, and anchoring filaments. Also invaginations of plasma membrane of basal keratinocytes were seen.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both on the outside of the follicle and around the dermal papilla as compared with similar junction in the skin. In particular, neither hemidesmosomes nor tonofilaments, as seen in dermoepidermal junction, were observed in the dermal papilla. Also attachment plaque, sub-basal dense plate and anchoring filaments were not observed at the junction on the outside of the follicle and the dermal papilla.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connective tissue-epithelial junctions on the outside of the hair follicle and around the dermal papilla, ie, smoothness of basal lamina and orthogonal arrangement of collagen fibers were seen in the outside of hair follicle, but not in the dermal papill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air follicle and the connective tissue component is much weaker than that between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in skin, and it reflects the dynamic processes during the anagen phase of the hair follicle compared to the relatively permanent state of the epidermis.

  • PDF

Investigation of Phenolic, Flavonoid, and Vitamin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Kim, Ji-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3호
    • /
    • pp.263-270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enolic, flavonoid, and vitamin constituents in the main root, root hair, and leaf of ginseng. The total individu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the leaf, followed by the main root and root hair. Ferulic acid and m-coumaric acid were found to be the major phenolics in the main root and root hair, while p-coumaric acid and m-coumaric acid were the major phenolics in the leaf. Catechin was the major flavonoid component in the main root and root hair, while catechin and kaempferol were the major flavonoid components in the leaf. Pantothenic acid was detected in the highest quantity in the non-leaf parts of ginseng, followed by thiamine and cobalamin. Linolenic acid and menadione were the major components in all parts of ginseng.

포장방법이 칼치제품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aging Method on the Storage Stability of Hair Tail Products)

  • 조길석;김현구;강통삼;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51
    • /
    • 1988
  • 포장방법이 칼치 Chunk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료를 염장 혹은 무염처리 상태로 진공포장, 탈산소제 포장 및 대조구로 하여 $0^{\circ}C$ 또는 $5^{\circ}C$에 저장하면서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염장 칼치의 적정 염농도를 4% 내외로 하였을때 적정 식염수의 농도는 15%였고 염장기간은 24시간 이었다. 염장 혹은 무염 처리구의 VBN, TMA, 생균수는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TBA 값은 $5{\sim}15$일 경에 최고값에 달한후 감소하였다. 칼치 Chunk의 품질 유효지표 성분은 VBN 이었으며 그 함량의 상한선은 29mg%였다. 칼치 Chunk의 간이 품질 평가방법을 도출하였다. $0^{\circ}C$에 저장한 무염처리 칼치의 진공포장, 탈산소제 포장 및 대조구의 경우, 저장 가능기간은 14, 10 및 6일 이었으며, $5^{\circ}C$의 경우는 7, 6 및 4일 이었다. 또한 염장한 칼치를 $5^{\circ}C$에 저장할 경우는 각각 14, 13 및 10일 이었다.

  • PDF

한약재 복합추출물이 모발 성장 및 멜라닌 생성 촉진에 미치는 영향 (Ethanol extract of medicinal herbal mixture accelerates hair growth and melanogenesis in vivo and in vitro)

  • 김지윤;김유진;김문주;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9-18
    • /
    • 201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transdermal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medicinal herbal mixture (SHJ) on hair growth in C57BL/6 mice and melanogenesis in melanoma cells. Methods : Mice were divided into 3 experimental groups including vehicle (CON), SHJ extract and 5% minoxidil (MNXD, positive control)-treated group. SHJ was applied topically on the hair-shaved skin of C57BL/6 mice everyday for 15 days. The thickness and density of hair with a folliscope and morphometry of hair follicle with a H&E staining were monitored at last day. Also then, hair growth-associated gene expressions were measured by immunoblot assay. Results : The MNXD or SHJ-treated group promoted on hair growth compared to that of vehicle-treated group (CON). Hair density and thickness of MNXD or SHJ treated-group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vehicle application on the 15 days, respectively. Induc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1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were also accelerated by application of SHJ extract compared to those of CON group. But 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1$ decreased in SHJ treated-group compared to that of CON group. Furthermore, SHJ extract showed to increase melanin contents in a dose-dependent manner. Tyrosinase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SHJ-treated group compared with CON group in dose-dependant manner.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HJ can be used as a component of cosmeceuticals for hair care via promoting growth and melanogenesis of hair.

Hair microscopy: an easy adjunct to diagnosis of systemic diseases in children

  • Dharmagat Bhattarai;Aaqib Zafar Banday;Rohit Sadanand;Kanika Arora;Gurjit Kaur;Satish Sharma;Amit Rawat
    • Applied Microscopy
    • /
    • 제51권
    • /
    • pp.18.1-18.12
    • /
    • 2021
  • Hair, having distinct stages of growth, is a dynamic component of the integumentary system. Nonetheless, derangement in its structure and growth pattern often provides vital clues for the diagnosis of systemic diseases. Assessment of the hair structure by various microscopy techniques is, hence, a valuable tool for the diagnosis of several systemic and cutaneous disorders. Systemic illnesses like Comel-Netherton syndrome, Griscelli syndrome, Chediak Higashi syndrome, and Menkes disease display pathognomonic findings on hair microscopy which, consequently, provide crucial evidence for disease diagnosis. With minimal training, light microscopy of the hair can easily be performed even by clinicians and other health care providers which can, thus, serve as a useful tool for disease diagnosis at the patient's bedside. This is especially true for resource-constrained settings where access and availability of advanced investigations (like molecular diagnostics) is a major constraint. Despite its immense clinical utility and non-invasive nature, hair microscopy seems to be an underutilized diagnostic modality. Lack of awareness regarding the important findings on hair microscopy may be one of the crucial reasons for its underutilization. Herein, we, therefore, present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available methods for hair microscopy and the pertinent findings that can be observed in various diseases.

저분자 Silk Peptide의 모발 보호효과 및 미세구조 분석 (Hair Care effects of hair cosmetics including Low molecular weight silk peptide component and micro structure analysis)

  • 현지원;이광길;여주홍;최태부
    • KSBB Journal
    • /
    • 제23권5호
    • /
    • pp.439-44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누에고치의 기능적인 면을 고려한 모발화장품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타진하여 최종적으로는 누에고치 가수 분해물인 실크 단백질을 이용한 제품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연구하였다. 분자량 300-500의 저분자 실크펩타이드를 원료로 한 트리트먼트를 제조하고 성분함량에 차이를 두어 총 4개의 sample을 제조, 저분자 실크단백질이 손상모발 내부로 침투하여 모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모발 화장품으로써의 효용성과 모발 보호 효과에 대한 기초물성 실험을 하고, AFM을 통한 모발의 미세구조변화를 연구하였다. 누에고치 가수분해 단백질을 이용한 제품의 모발 보호 효과에 대한 기초물성 실험으로 모발의 질량, 모간 굵기, 흡광도, 보습력 변화를 측정한 결과, S.P.T 처리 후의 모발 sample은 이전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모발의 질량, 굵기가 증가함과 동시에 뛰어난 보습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모발표면의 손상정도와 두께, 큐티클의 height변화에 대한 roughness를 측정한 결과에서 또한 S.P.T 샘플이 건강모와 같은 수준의 큐티클 상태로 회복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성분함량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존재하였으나 실크펩타이드를 원료로 한 Treatment 조성물은 전반적으로 화학시술로 인하여 손상된 모발표면에 흡착, 큐티클 손상부를 부드럽게 매워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향후 효과적인 천연 모발 컨디셔닝 제품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이변화를 위한 얼굴영상의 분석과 합성 (Analysis and Syntheris of Facial Images for Age Change)

  • 박철하;최창석;최갑석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1B권9호
    • /
    • pp.101-111
    • /
    • 1994
  • The human face can provide a great deal of information in regard to his/her race, age, sex, personality, feeling, psychology, mental state, health condition and ect. If we pay a close attention to the aging process, we are able to find out that there are recognizable phenomena such as eyelid drooping, cheek drooping, forehead furrowing, hair falling-out, the hair becomes gray and etc.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method to estimate the age by analyzing these feature components for the facial image. Ang we also introduce the method of facial image synthesis in accordance with the cange of age. The featur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age can be obtainec by dividing the facial image into the 3-dimensional shape of a face and the texture of a face and then analyzing the principle component respectively using 3-dimensional model. We assume the age of the facial image by comparing the extracted feature component to the facial image and synthesize the resulted image by adding or subtracting the feature component to/from the facial image. As a resurt of this simulation, we have obtained the age changed ficial image of high quality.

  • PDF

침입자 탐지용 인공 유동감지모의 응답 모델링 (Responses of Artificial Flow-Sensitive Hair for Raider Detection via Bio-Inspiration)

  • 박병규;이준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4호
    • /
    • pp.355-364
    • /
    • 2010
  • 주위 매질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섬유상 감지모는 대부분의 생물체에 존재하여 침입자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기능을 모방한 인공 감지모의 가능한 작동영역 및 응답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공유동센서의 수학 모델에 대한 매개변수 해석을 수행하고, 각 변수들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진동성분을 갖는 복합 공기 유동장에서 감지모의 길이 및 직경이 기계적인 감도와 주파수 응답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감지모의 길이에 따라 각속도, 각속도, 각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력 및 가상 질량에 의한 토크가 매우 작지만 감지모의 움직임에 매우 큰 영향을 나타냈다. 감지모의 길이 및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공진 주파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 참나무속 유식물의 건조스트레스에 대한 기공저항의 조절과 전략의 분화 (Stomatal Control and Strategy Segregation to Drought Stress in Young Trees of Several Oak Species)

  • 김종욱;김준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3호
    • /
    • pp.241-249
    • /
    • 1994
  • 참나무속 식물 6종류의 잎의 확산저항, 기공밀도, 공변세포의 길이 및 털의 밀도를 측정하여 건조스트레스에 대한 이 식물들의 전략을 주성분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및 졸참나무의 잎의 확산저항은 다른 3종보다 높은 Ψleaf 또는 낮은 WSD에서 빠르게 상승함으로써 수분 스트레스를 회피하였다. 그러나, 신갈나무와 떡갈나무는 낮은 Ψleaf, 낮은 기공밀도, 작은 기공 크기 및 높은 털밀도로 수분스트레스를 회피하였다. 그러나 신갈나무와 떡갈나무는 낮은 Ψleaf에서 기공 확산저항의 상승을 보였다. 건조스트레스에 대한 조정능과 관련된 15변수의 주성분분석에서 참나무속 식물은 2그룹, 즉 건성생육지종인 굴참나무, 신갈나무 및 떡갈나무와 중성생육지종인 상수리 나무, 갈참나무 및 졸참나무로 구별되었고, 건성생육지종인 굴참나무는 높은 털밀도, 낮은 기공밀도 및 높은 LAR에서 신갈나무 및 떡갈나무와 다시 구별되었다. 이 결과는 자연생육지에서 참나무속 식물의 건조에 대한 전략을 잘 설명하고 있다.

  • PDF

고삼, 인삼 및 단삼 혼합물에 의한 모발의 성장과 분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air Growth and Distribution by Sophorae Radix, Panax ginseng, Salvia miltiorrhiza BUNGE Water Extracts)

  • 황초원;심재환;김상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5-21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발모의 성장결여로부터 모내기의 천연성분에 의한 침투력, 침투면적, 모발성장속도, 모발의 수 및 표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제모를 통한 모발의 성장 속도와 모내기의 피부 침투력, 약물도달 부위를 CLSM710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는데, 고삼, 단삼 및 인삼의 혼합물인 모내기를 $10\;{\mu}g/mL$ 농도로 처리한 그룹에서는 정상군과 대조군과 비교시 $33{\pm}4$$60{\pm}6$ (AFI: 인위적 형광강도)인데 반해, 약 $6782{\pm}67$ AFI (인위적 형광강도)으로 약 205배와 113배의 침투능력을 나타내었고 면적은 정상군과 대조군은 각각 약 $22{\pm}3$$44{\pm}6$ AFI인데 반해 모내기군은 약 $5602{\pm}45$ AFI였고 각각 255배와 127배 정도 침투면적의 확대되었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confocal LSM700으로 관찰한 결과 대조군은 진피층에 존재하는 collagen IV에서 아무런 녹색형광이 없는 반면 모내기군은 collagen IV이 함유한 진피층에서 강한 녹색형광이 관찰하였는데, 이는 모내기 주성분이 피부 진피층까지 도달한 것이라 사료되고 남자 15명과 여자 5명 중 20대 4명(20 %), 30대 10명(50 %), 그리고 40대 이상 6명(30 %)의 내원환자의 탈모의 털 직경과 표면, 탈모의 수, 그리고 발모의 수를 조사하여 본 결과 평균 약 75 % 개선효과를 나타내므로 모내기의 천연성분이 발모인자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모낭 성장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유도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