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plot

검색결과 851건 처리시간 0.028초

Resistant h-Plot for a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 Park, Yo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24권2호
    • /
    • pp.407-417
    • /
    • 1995
  • The h-plot is a graphical technique for displaying the structure of one population's variance-covariance matrix. This follows the mathematical algorithem of the principle component biplot based on the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But it is known that the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is not resistant, i.e., it is very sensitive to small changes in the input data. In this article, since the mathematical algorithm of the h-plot is equivalent to that of principal component biplot of Choi and Huh (1994), we derive the resistant h-plot.

  • PDF

입지(立地)와 수형급(樹型級)에 따른 참나무임분(林分)의 생산력(生産力) 분석(分析) (I) (The Analysis of Productivity of Oak Stand following to Site Quality and Crown Class (I))

  • 김지문;권기원;송호경;문흥규;박홍준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9-21
    • /
    • 1983
  • 참나무 임분구조(林分構造)를 그 임분(林分)의 생산성(生産性)과 관련(關聯)시켜 분석(分析)하였다. 해발고(海拔高)에 따른 입지조건(立地條件)에 의(依)해 분류(分類)된 3개(個) 조사구(調査區)가 부여군(扶餘郡) 은산면(恩山面) 나령리(羅嶺里)에 위치(位置)한 참나무 임분(林分)에서 선정(選定)되었다. 임분(林分)의 입지조건(立地條件)은 몇가지 토양이화학적(土壤理化學的) 성질(性質)에 비추어 보통인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굴참나무가 조사(調査)된 임분(林分)의 식생구성(植生構成)에서 우점종(優占種)이었다. 임분(林分)의 소밀도(疎密度)는 plot I의 65.4%에서 plot III의 78.2%까지 변이(變異)를 보였으며 참나무가 차지한 몫들은 plot I의 44.4%에서 plot III의 65.9%까지 이었다. 소밀도(疎密度)와는 달리 참나무류(類)의 축적(蓄積)은 plot I의 $3.937m^3$ (plot 전체(全體)의 73.4%)에서 plot III의 $2.075m^3$ (plot전체(全體)의 84.3%) 까지 이었다. 수형급별(樹型級別)로 측정(測定)된 그 점유비(占有比)는 수관투영면적(樹冠投影面積)과 재적간(材積間)에 상이(相異)했고 또한 plot 별(別)로 다른 pattern을 나타냈다. 개체목(個體木)들의 수관투영면적(樹冠投影面積)과 재적간(材積間)에 plot 별(別)로는 높은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지만 수형급별(樹型級別)로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참나무의 수고(樹高), D.B.H.와 재적(材積)에 있어 누적생장량(累積生長量), 연년생장량(連年生長量), 총평균생장량(總平均生長量)은 plot 별(別), 수형급별(樹型級別)로 상이(相異)한 pattern을 보였다. 수고(樹高)의 연년생장(連年生長) 최대치(最大値)는 보통 D.B.H. 보다는 빨리 10~20년(年)내에 냐타났다. 수고(樹高), D.B.H. 재적(材積)의 총평균(總平均) 생장량(生長量)은 대략 10년(年) 이후(以後)부터 비슷한 수준(水準)을 유지(維持)하면서 불규칙(不規則)하게 변동(變動)했다. 간벌(間伐)에 따른 수관투영면적(樹冠投影面積)과 재적(材積)은 A 종(種)$90m^3$ 정도(程度)로 추정(推定)되었다.

  • PDF

갈대군락의 현존량과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nding Crops in Phragmitis communis Communities and their Environmental Factors)

  • 김철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8권3호
    • /
    • pp.129-134
    • /
    • 1975
  • It was studied of relation between biomass of reed communities (Phragmitis communis) and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concerned with such as chlor ine, pH, humus content in soil and depth of seawater submerged. Two sites where were the different geographical conditions were set up. One site had two plots: H plot, at theshallows of seawater, was not submerged except at full tide or at heavy rainfall, and M plot, at medium depth of seawater, submerged at every common tide at inside of a bank along the west seashore of Mu-An-peninsula. The other site also two plots: M' plot, at medium depth, submerged about 10 hours at each tide, and L plot, at deep seawater submerged every tims at tide at the outside of a bank along the eastside estuary of Youngsan river. Maximum standing crop of the reed community was shown on 25th of June: biomass at H M, M' and L plot were respectively 4.65, 3.60, 0.98, and 0.67 kg dry weight per $m^2$. Density of individual at H, M, M' and L plot was 67, 78, 244 and 333 plants per $m^2$. Net production of the terrestrial parts of rred community on the outside of the bank were lesser as much as a sixth than that on inside, but the density of the plant on outside of the bank was higher as much 4 or 5 times than that on inside. It was assumed that the growth of reed plant was inhibited by high chlorine, high pH, less humus in soil and submergence of seawater for long period.

  • PDF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몇 침엽수종(針葉樹種)의 종자발아(種子發芽)와 묘목생장(苗木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1) (Effects of Artificial Acid Rain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Several Conifers(1))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237-245
    • /
    • 1991
  • 인공산성우처리가 몇 침엽수종의 발아와 묘목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혼합토양을 채운 polt에 5 수종의 종자를 파종하고 황산을 지하수로 묽힌 pH 3.0, 4.0 및 5.0의 인공산성우와 지하수를 주 3회, 매회 5mm씩 1990년 4월 초순부터 10월 초순까지 처리하였으며, 발아율 및 생장을 측정하여 처리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낙엽송과 종비나무는 pH 5.0 처리구에서, 젓나무와 삼나무는 대조구에서, 구상나무 는 pH 3.0 처리구에서 각각 발아율 및 득묘율이 가장 높았다. 2. 묘고생장에 있어서 낙엽송에서는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다른 수종들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안정되지 않았다. 낙엽송, 구상나무 및 종비나무는 pH 4.0 처리구에서, 젓나무와 삼나무는 pH 5.0 처리구에서 각각 묘고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3. 개체당 건중량에서 낙엽송과 젓나무에서는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구상나무, 종비나무 및 삼나무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낙엽송과 구상나무는 pH 4.0 처리구에서, 젓나무와 삼나무는 pH 3.0 처리구에서, 종비나무는 대조구에서 각각 최대건중량을 보였다. 4. 처리산성우의 pH값이 작아질수로 피해가 나타난 침엽의 수 및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5. 토양산도는 모든 수종에서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 PDF

Aminolyses of Y-substituted Phenyl 2-Furoates and Cinnamates: Effect of Nonleaving Group Substituent on Reactivity and Mechanism

  • Um, Ik-Hwan;Akhtar, Kalsoom;Park, Youn-Min;Khan, Sher Bahadar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8호
    • /
    • pp.1353-1357
    • /
    • 2007
  • Second-order rate constants (kN) have been determined spectrophotometrically for reactions of Y-substituted phenyl 2-furoates (1a-h) with piperidine and morpholine in 80 mol % H2O/20 mol % DMSO at 25.0 ± 0.1 oC. The Brønsted-type plot exhibits a downward curvature for the reactions with strongly basic piperidine but is linear for the reactions with weakly basic morpholine. The slope of the curved Brønsted-type plot changes from -1.25 to ?0.28 as the pKa of the conjugate acid of the leaving aryloxides decreases. The pKa at the center of the Brønsted curvature, defined as pKa°, was determined to be 6.4. The aminolysis of 1a-h has been concluded to proceed through a stepwise mechanism on the basis of the curved Brønsted-type plot. The reactions of Ysubstituted phenyl cinnamates (2a-g) with piperidine resulted in a curved Brønsted-type plot with a pKa° values of 6.4. However, the curved Brønsted-type plot has been suggested to be not due to a change in the RDS but due to a normal Hammond effect of a concerted mechanism, since the Brønsted-type plot for the corresponding reactions with morpholine results in also a curved Brønsted-type plot with a pKa° values of 6.1. The furoates with a basic leaving group (i.e., 1b-g) are less reactive than the corresponding cinnamates (i.e., 2b-g). The k2/ k-1 ratios for the reactions of 1b-h are much smaller than unity, which has been suggested to be responsible for their low reactivity.

곁순 억제방법이 재래연초 향초의 생육 및 건조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cker Control Practices on Growth and Cured-leaves of Local Tobacco Variety Hyangcho)

  • 이철환;김용옥;이병철;조수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3-57
    • /
    • 1990
  • 재래종 연초재배시 곁순제거방법이 수량, 품질 및 내용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보다 효과적인 곁순제거방법을 구명코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적심후 수적아, MH살포구가 타처리에 비하여 수량 및 kg당 가격이 높았고 Fatty alcohol처리는 수량에서 다소 감소하였으며, MS향초, 곁순 방치, 무적심구는 수량 및 kg당 가격이 모두 낮았다. 2. 적심후 수적아, Fatty alcohol 처리구는 무적심 등 타처리에 비하여 회분함량이 낮았고, 환원당, 니코틴함량 및 pH가 높았으며, MH 처리구는 수적아 및 Fatty alcohol 처리에 비해 환원당이 높고, pH와 니코틴함량이 다소 낮았다. 3. 곁순 수제거에 비하여 MH 살포구는 부풀성 및 연소성이 저하되는 경향이였다.

  • PDF

논 방사오리에 의한 중경탁수가 관개수의 pH, 용존산소농도 및 토양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illage and Muddying by Free-Ranging Ducks on pH and Dissolved Oxygen of Stagnant Water,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Paddy field Soil)

  • 고병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62-266
    • /
    • 2003
  • 논 방사오리에 의한 중경탁수가 관개수의 pH, 용존산소농도 및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오리 방사논에서 벼 50포기를 완전무작위로 선발한 후, 각 1포기씩에 대해 원통형 철망을 둘러치는 방법에 의해 오리에 의한 중경탁수만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한 중경탁수구(이하, 탁수구)와 오리 무방사의 대조구로 구분하고, 관개수의 pH, 용존산소농도 및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오리 방사기간 중, 관개수의 pH는 대조구에 비해 탁수구에서 변동폭이 작고, pH7.4 전후의 높은 수준에서 추이하였다. 2. 용존산소농도는 오리 방사초기에 대조구보다 탁수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P<0.01), 그 이후는 두 시험구 모두 벼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급속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관개수의 부유물질농도 및 탁도는 대조구보다 탁수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P<0.01),오리 방사기간 중 큰 변화 없이 거의 일정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4. 관개수의 무기성분 함량에 있어서 $\textrm{P}_2\textrm{O}_5$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탁수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그 이외의 성분에서는 두 시험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5.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은 오리 방사기간 중 및 방사종료 후 모두 어느 성분에 있어서도 두 시험구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오리 방사기간 중 보다 방사종료 후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리에 의한 중경탁수는 관개수의 pH 변동폭을 줄이고, 용존산소농도 및 $\textrm{P}_2\textrm{O}_5$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Succession and Stand Dimension Attributes of Pinus thunbergii Coastal Forests after Damage from Diplodia Tip Blight around the Sakurajima Volcano, Southern Kyushu, Japan

  • Teramoto, Yukiyoshi;Shimokawa, Etsuro;Ezaki, Tsugio;Jang, Su-Jin;Kim, Suk-Woo;Lee, Youn-Tae;Chun, Kun-Wo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6호
    • /
    • pp.481-489
    • /
    • 2018
  • In this study, the succession and stand dimension attributes related to the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of Pinus thunbergii coastal forests were examined after damage from Diplodia tip blight. In 2015, 101 years after the Taisho eruption, field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on the vegetation, soil thickness, and pH of surface soil of P. thunbergii coastal forests in western Sakurajima (Hakamagoshi plot) and Taisho lava flows in southeastern Sakurajima (Seto plot). The Hakamagoshi plot had more woody plant species with larger basal areas than that in the Seto plot. The mean age and height, maximal age and height of plant species, and H/D ratio were all larger in the Hakamagoshi plot than in the Seto plot. These results may be explained by the relatively smaller effect of volcanic ash and gas on forests in the Hakamagoshi plot compared to the Seto plot, resulting in a more suitable environment for many plant species. Although P. thunbergii coastal forests in Sakurajima are currently recovering from damages owing to Diplodia tip blight, there has not yet been a sufficient recovery compared to the results from a 1997 study. Furthermore, the results of assessment based on the H/D ratio and abundance of trees in P. thunbergii forests indicate that both regions are not yet effective in disaster prevention.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inus trees, which can adjust to harsh environments like coastal areas and are resistant to volcanic ash and gas, to enhance the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of P. thunbergii coastal forests in volcanic regions. It may also be helpful to establish coastal forests with ectotrophic mycorrhizal fungi and organic matter coverage.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continuous maintenance of stand density and soil quality, and further develop efforts to prevent Diplodia tip blight and promote forest recovery.

석탄회 처리가 논 토양성분의 용탈과 수도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y Ash on Components in Percolated Water and Rice Growth)

  • 김용웅;윤정한;신방섭;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6-235
    • /
    • 1996
  • 논토양에 무연탄회와 유연탄회를 각각 0%, 15%, 30%씩 시용하고 수도를 유리온실 하에서 pot 재배하면서 투수중의 용탈 성분을 경시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용탈수중의 pH는 재배구에 비해 무재배구의 pH가 높으며 석탄회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pH가 높았고, 재배구에서는 재배에 따라 서서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침투수중 $NH{_4}^+-N$, $NO{_3}^--N$, K의 용탈은 7월 이후 급격히 감소되며 재배구에서는 거의 용탈되지 않는다. 인산의 용탈은 재배기간 동안 양이 아주 낮으며 규산의 용탈은 재배구에서는 6월이후 급격히 감소되었다. Na는 6월 중순에 가장 용탈량이 높고 그 이후는 서서히 감소되었다. 석회의 용탈량은 재배구가 무재배구보다 용탈량이 많으며 재배에 따라 용탈량이 감소되나 재배후기에도 비교적 높았다. Mg은 7월 중순 이후로 용탈량이 감소되나 재배후기에도 계속 용탈이 일어났다. 용탈수중의 EC는 6월 중순에 가장 높고 그 이후 감소되는 경향이며 석탄회 처리구의 EC가 대조구보다 높았다. 석탄회 처리로 침투수중의 용탈 성분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며 유연탄회와 무연탄회 사이의 차도 뚜렷하지 않았다. 석탄회 처리로 수도의 초기 신장과 분얼이 억제되었으나 후기에는 무효분얼의 억제효과가 기대된다. 석탄회 시용으로 토양의 pH가 상승되었으며 인산 성분이 축적되었다. 그러므로 산성토양의 교정효과는 기대되나 인산 시비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석탄회 처리는 이식 직전에 시용하는 것보다는 전년도 수확후에 시용하여 우수에 의하여 용탈을 유도한 후라면 크게 염려를 하지에 않아도 좋을 것이며, 용출수에 함유된 무기성분의 양이 무처리와 큰 차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석탄회의 토양시용은 수질오염에 꼭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논 토양성분(土壤成分)의 용탈(溶脫)에 관(関)한 연구(硏究) -I. 논 토양성분(土壤成分)의 용탈(容脫)에 미치는 가리염(加里塩)의 영향(影響) (Studies on the Leaching Constituent of Submerged Soil -I. Effects of Potassium Salts on Leaching of Minerals in Submerged Soil)

  • 김광식;김용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6-41
    • /
    • 1983
  • 가리염(加里塩)을 달리하여 투수조건하(透水条件下)에서 수도(水稻)를 재배(栽培)할때 논토양(土壤)에서 투수중(透水中)에 용탈(溶脫)되는 성분변화(成分変化)를 분석검토(分析検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침투수(浸透水)의 pH는 염화(塩化)칼리구(区)가 황산(黃酸)칼리구(区)보다 약간 높았다. 석회(石灰), 마그네시움, 칼리, 암모니움과 같은 양(陽)이온의 용탈(溶脫)은 염화(塩化)칼리구(区)가 황산(黃酸)칼리구(区)보다 용탈(溶脫)이 약간 높았다. 인산(燐酸)의 용탈(溶脫)은 반대(反対)로 황산(黃酸)칼리구(区)가 염화(塩化)칼리구(区)보다 약간 용탈(溶脫)이 많았다. 철(鉄)의 용탈(溶脫)은 재배구(栽培区)가 높고 규산(硅酸)의 용탈(溶脫)은 무재배구(無栽培区)가 높았으나, 철(鉄), 규산(硅酸)의 용탈(溶脫)에 미치는 칼리염(塩)의 영향(影響)은 뚜렷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