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likelihood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1초

A visualizing method for investigating individual frailties using frailtyHL R-package

  • Ha, Il Do;Noh, Mae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4호
    • /
    • pp.931-940
    • /
    • 2013
  • For analysis of clustered survival data, the inferences of parameters in semi-parametric frailty models have been widely studied. It is also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heterogeneity in event times among clusters (e.g. centers, patients). For purpose of this analysis, the interval estimation of frailty is useful.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sualizing method to present confidence intervals of individual frailties across clusters using the frailtyHL R-package, which is implemented from h-likelihood methods for frailty models. The proposed method is demonstrated using two practical examples.

결측치가 있는 자료에서의 변동모드분해법 (Variational Mode Decomposition with Missing Data)

  • 최규빈;오희석;이영조;김동호;유경상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2호
    • /
    • pp.159-174
    • /
    • 2015
  • 최근에 Dragomiretskiy와 Zosso (2014)는 경험적모드분해의 단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신호 분해방법인 변동모드분해법(Variational Mode Decomposition)을 고안하였다. 기본적으로 변동모드분해법은 경험적모드분해법에 비하여 주파수 탐색 및 분리(tone detection and tone separation)에 탁월한 성능을 보인다. 또한 고속퓨리에변환을 기반으로 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경험적모드분해법보다 잡음에 강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변동모드분해법은 결측 등으로 신호가 동일한 시간간격 혹은 공간적 간격으로 측정되지 않은 경우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변동모드분해법에 다단계우도함수를 조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에서 다단계우도함수는 변동모드분해법이 신호를 적절한 내재모드함수로 분해하기 전에 결측치를 대체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모의실험과 실제 자료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변동모드분해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더 효율적으로 신호를 분해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비균일 음속 다중경로 환경에서 ML 추정기법을 이용한 표적의 3차원 위치추정 (3-D Source Localization using Maximum Likelihood Estimate in Multi-path Environment with Inhomogeneous Sound Speed)

  • 최병웅;박도현;김정수;신창홍;이정훈;이균경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3권 1호
    • /
    • pp.155-160
    • /
    • 2004
  • 배열센서를 사용한 표적의 위치 추정은 레이다 및 소나에서 잘 알려진 문제이다. 최근에 Lee 등은 1 차원 수평 선배열 센서만을 사용하여 다중경로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로부터 표적의 3 차원 위치를 추정하였다. 그러나 이 알고리즘에서 수중에서의 음속은 수심에 관계없이 일정하다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음속이 수심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실제 수중환경에서는 그 추정성능이 현저히 저하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표적의 거리, 깊이, 방위각으로 구성되는 3 차원 위치 추정을 위해 비균일 음속환경에서의 음파전달모델(ray propagation model)을 이용한 ML 기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을 적용하였으며 일정한 음속을 가정한 Lee 기법의 추정치를 초기값으로 한 탐색을 통해 ML 기법의 연산량을 감소시켰다.

  • PDF

Co-Channel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Cellular OFDM Networks - PART I : Maximum-Likelihood Co-Channel Interference Cancellation with Power Control for Cellular OFDM Networks

  • Mohaisen, Manar;Chang, Kyung-Hi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5A호
    • /
    • pp.409-416
    • /
    • 2007
  • In cellula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networks, co-channel interference (CCI) leads to severe degradation in the BER performance. To solve this problem, maximum-likelihood estimation (MLE) CCI cancellation scheme has been proposed in the literature. MLE CCI cancellation scheme generates weighted replicas of the transmitted signals where weights represent the estimated channel transfer functions. The replica with the smallest Euclidean distance from the received signal is selected and data are detected. When the received power of the desired and interference signals are nearly the same, the BER performance is degrad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closed-loop power control (PC) scheme capable of detecting the equal received power situation at the mobile station (MS) receiver by using the newly introduced parameter power ratio (PR). When this situation is detected, the MS sends a feedback to the desired base station (BS) which boosts the transmission power in the next frame. At cell edge where signal to interferer ratio (SIR) is considered to have average value between -5 dB and 10 dB, computer simulations show that the proposed CCI cancellation scheme has a gain of 7 dB at 28 Km/h.

P300 뇌파를 이용한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한 연구 (Brain-Machine Interface Using P300 Brain Wave)

  • 차갑문;신현출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7권5호
    • /
    • pp.18-23
    • /
    • 2010
  • 본 논문은 유발전위(evoked potential) 뇌파인 P300에 기반한 뇌-기계 인터페이스의 실시간 구현을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P300 뇌파는 외부 시각 자극이 인간의 의지와 일치할 경우, 100-300ms 부근에서 negative pick를 갖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에 기초하여 P300 뇌파의 포텐셜(potential) 감소를 감지하여 인간의 의도를 역으로 추론할 수 있으며, 이를 뇌-기계 인터페이스에 활용할 수 있다. 연구에서 P300 뇌파는 인간의 두개골 외부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얻어졌으며, 시각적 자극으로는 2차원 알파벳 신호를 사용하였다. P300 뇌파의 포텐셜 감소 검출을 위하여 뇌파 포텐셜을 자극과 연계하여 확률적으로 모델링하였다. 확률적 모델은 피실험자가 의도하는 신호의 모델(target model)과 의도하지 않는 신호의 모델(non-target model)로 구성된다. 이러한 확률적 모델에 기반하여 피실험자의 의도를 추론하기 위해서 최우추정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을 사용하였다. 실험에는 신체 건강한 성인 남자 3명이 참가하였으며, 'A'와 'E' 실험에 대한 피실험자 k의 평균 성공률은 98%, 피실험자 j의 평균 성공률 90%, 그리고 피실험자 h의 성공률은 79.8%였다.

On Testing Multisample Sphericity in the Complex Case

  • Nagar, D.K.;Gupta, A.K.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13권2호
    • /
    • pp.73-80
    • /
    • 1984
  • In this paper, likelihood-ratio test has been derived for testing multisample sphericity in complex multivariate Gaussian populations. The $h^{th}$ moment of the test statistic is given and its exact distribution has been derived using inverse Mellin transform. Asymptotic distribution of the statistic is also given.

  • PDF

Testing Homogeneity for Random Effects in Linear Mixed Model

  • Ahn, Chul H.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7권2호
    • /
    • pp.403-414
    • /
    • 2000
  • A diagnostic tool for testing homogeneity for random effects is proposed in unbalanced linear mixed model based on score statistic. The finite sample behavior of the test statistic is examined using Monte Carlo experiments examine the chi-square approximation of the test statistic under the null hypothesis.

  • PDF

Testing Homogeneity of Errors in Unbalanced Random Effects Linear Model

  • Ahn, Chul H.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8권3호
    • /
    • pp.603-613
    • /
    • 2001
  • A test based on score statistic is derived for detecting homoscedasticity of errors in unbalanced random effects linear model. A small simulation study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inite sample behaviour of the test statistic which is known to have an asymptotic chi-square distribution under the null hypothesis.

  • PDF

CDMA 역방향 링크에서의 프리앰블 탐색을 위한 최대우도 동기획득 방식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Maximum-Likelihood Code Acquisition Technique for Preamble Search in CDMA Reverse Link)

  • 박형래;강법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61-174
    • /
    • 1996
  • CDMA 역방향 링크에서 슬롯 모드로 전송되는 프리엠블을 탐색하기 위한 최대우도 동기획득 방식의 성능을 분석한다. CDMA 복조기 출력의 통계적 특성에 기초하여 신호검출 성능을 주파수 선택성 레일라이 페이딩 채널에서 다중 $H_1$ 셀의 경우에 대해 이론적으로 분석한다. 복조기 출력으로 구성되는 판정 변수의 확률밀도 함수를 수신신호의 페이딩 특성을 고려하여 단일 및 이중 안테나 시스템의 경우에 대해 유도하고 후치 적분의 수. 페이딩 율 및 안테나 다이버시티에 따른 효과를 고려하여 성능을 분석한다.

  • PDF

High performance γ-ray imager using dual anti-mask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f high-energy nuclear materials

  • Lee, Taewoong;Lee, Wonh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7호
    • /
    • pp.2371-2376
    • /
    • 2021
  • As the γ-ray energy increases, a reconstructed image becomes noisy and blurred due to the penetration of the γ-ray through the coded mask.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coded mask was increased for high energy regions, resulting in severely decreased the performance of the detection efficiency due to self-collimation by the mask.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a modified uniformly redundant array γ-ray imaging system using dual anti-mask method was developed, and its performance was compared and evaluated in high-energy radiation region. In the dual anti-mask method, the two shadow images, including the subtraction of background events, can simultaneously contribute to the reconstructed image. Moreover, the reconstructed images using each shadow image were integrated using a hybrid update maximum likelihood expectation maximization (h-MLEM). Using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the performance of the dual anti-mask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developed collimation methods. As the shadow image which was subtracted the background events leads to a higher-quality reconstructed image, the reconstructed image of the dual anti-mask method showed high performance among the three collimation methods. Finally,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prove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dual anti-mask method was better than that of the previously reconstruction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