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stimulating agent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6초

방사선 피부염 치료법에 대한 문헌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Management on Radiodermatitis)

  • 권미혜;윤지현;김은혜;이지영;윤성우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24
    • /
    • 2020
  • Objective : Radiodermatitis is a common sequelae in 95% of patients receiving radiation therapy, which is important to be well managed as it can affect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as well as the cancer treatment schedul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summarize the interventions available for the treatment of acute radiodermatitis, includ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to propose treatment algorithms for clinicians. Methods : To collect studies about managements for radiodermatitis, domestic and foreign database were used such as Korean journal of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KTKP),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national discovery or science leaders (NDSL), and oriental medicine advance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Pubmed, Google scholar and Scopus. Results : Thirty-two studies were selected. There were nine studies on usual care and dressing, eleven studies on chemical agents, two studies on biological preparations, and ten studies on herbal medicines. Conclusion : Hygienic options and dressings have proved to be useful in the management of radiodermatitis. Chemical agents such as corticosteroid, statin, and topical antibiotic agent have proved to alleviate symptoms and severity, regenerate damaged skin, and prevent secondary infection. In biological preparations, EGF (epidermal growth factor) and GM-CS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could be used to protect skin and prevent radiodermatitis. For herbal medicines, Calendula, catechin, β-sitosterol, and Jaungo (紫雲膏) may be effective for symptoms including pain, itching, and burning sensation induced by radiation therapy. Because of some research with conflicting resul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propose an algorithm for more optimal treatments.

소목의 부탄올 추출물에 의한 Melan-a 세포의 멜라닌생성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Butyl Alcohol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L. on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 황상구;이진선;백승화;전병훈;우원홍;천현자
    • 생약학회지
    • /
    • 제33권2호통권129호
    • /
    • pp.130-136
    • /
    • 2002
  • Melanogenesis is a physiological process resulting in the synthesis of melanin pigments, which play a crucial protective role against skin photocarcinogenesis. The heart wood of Caesalpinia sappan L.(C. sappan) has long been commonly used in Oriental folk medicines to promote blood circulation, and as an emmenagogue, analgesic or anti-inflammatory agent as well as a remedy for thrombosis. From the heartwood, many constituents have been purified and among them, brazilin and hematoxylin are two of the most abundant. This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butanol extract from C. sappan on proliferation and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After 48 h treatment of these cells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butanol extract, the cells showed a dose-dependent inhibition in their proliferation without apoptotic cell death. Therefore, the growth retardation by the extract may be due to the cell arrest or cell differentiation. We also estimated total melanin content as a final product and activity of tyrosinase, a key enzyme, of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The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were deσeased in extract-treated cells in a dose dependent manner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butanol extract also resulted in a decrease of melanin content in ${\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MSH)-induced melanogenesis, indicating that butanol extract of C. sappan could be developed as skin whitening components of cosmetics.

감궁탕이 갑상선세포의 증식과 cAMP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gung-tang on Proliferation and cAMP Accumulation of Thyroid Cells)

  • 김미경;손윤희;남경수;손옥례;김철호;전병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23-627
    • /
    • 2005
  • Abnormal thyroid cell proliferation has a very important role in hypothyroidism.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stimulates proliferation and maintains differentiated function in thyroid follicular cells. A functioning rat thyroid cell line (FRTL) was used to study the effect of Gamgung-tang (GGT, Glycyrrhizae Radix, black beans, Angelicae Radix and Cnidii Rhizoma) on proliferation and cAMP accumulation of thyrocytes. Proliferation of cell was assessed by DNA synthesis and incorporation of $[^3H]thymidine$ into DNA. The concentration of cAMP was measured simultaneously with growth assessment. Extract of GGT ($0.15{\sim}0.9\;mg/ml$ increased DNA synthe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GGT at 0.6 (p<0.05) and 0.9 mg/ml (p<0.01) significantly increased $[^3H]thymidine$ incorporation. A comparable effect was observed with TSH. GGT also enhanced cAMP accumul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GT increases the proliferation of thyrocytes and may be considered a promising agent for the treatment of autoimmune thyroid disease.

오징어내장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암세포 성장억제 및 quinone reductase유도 활성 증가 효과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ng Effects of Internal Organs of Todarodes pacificus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 신미옥;배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251-125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오징어내장을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uinone reductase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알아보았다. 간암 세포인 HepG2, 유방암 세포주인 MCF-7 그리고 대장암 세포주인 HT-29를 이용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모든 세포주에서 TPMH층에서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TPMM층에서도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HepG2, MCF-7 및 HT-29 세포주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인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간암 세포주인 HepG2에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어 특히 간암에 대한 예방효과가 기대되어진다. 또한 암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종의 암세포 중 유일하게 quinone reductase를 가지고 있는 인체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이용하여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결과,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의 결과에서와는 달리 TPMM층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TPMH층에서도 높은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 결과에서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는 오징어내장의 hexane 분획층인 TPMH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QR 유도 활성 효과는 methanol 분획층인 TPMM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들 분획층에 유효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 추정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오징어 부산물인 내장을 이용한 항암 관련 기능성 식품의 개발 가능성이 보이며, 이를 위한 TPMH 분획층과 TPMM 분획층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군소내장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암세포 성장억제 및 quinone reductase 유도 활성 증가 효과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ng Effects of Internal Organs of Aplysia kurodai Fractions on Cancer Cell Lines In vitro)

  • 신미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77-88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군소내장을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uinone reductase (QR) 유도 활성증가 효과를 알아보았다. 간암 세포인 HepG2, 유방암 세포주인 MCF-7, 대장암 세포주인 HT-29 그리고 피부암 세포주인 B16-F10 를 이용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모든 세포주에서 AKMM층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다음으로 AKMB층, AKMH층 및 AKMA층의 순이었다. 그리고 4종의 암세포주 중에서 B16-F10 세포주가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특히 피부암에 대한 예방효과가 기대되어진다. 또한 암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종의 암세포 중 유일하게 quinone reductase를 가지고 있는 인체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이용하여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결과,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에 있어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낸 AKMM층에서 가장 높은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다른 분획층에서는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거의 볼 수 없었다. 이상으로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R 유도 활성 효과에서 모두 methanol 분획층인 AKMM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 분획층에 유효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추정되어진다. 따라서 폐기되어지는 군소부산물인 내장을 이용한 암 예방 관련 기능성 식품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되어지며, 이를 위한 AKMM분획층에 대한 더욱더 심도 높은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막걸리 분획물에 의한 암세포 성장 억제 및 Quinone Reductase 활성 증가 효과 (Effect of Growth Inhibition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on of Makgeoly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 신미옥;강대연;김미향;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88-293
    • /
    • 2008
  • 막걸리의 암 예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막걸리 농축물을 핵산, 메탄올, 부탄올 및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각 분획별로 암세포에 대한 성장 억제효과와 암 예방 지표인 QR활성 증가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메탄올 분획물의 경우 낮은 농도의 시료첨가에도 불구하고 괄목할 만한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4종의 모든 암세포주 HepG2, B16-F10, HT29 및 MCF-7에서 농도 의존적인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epG2에서 측정한 QR활성 증가 효과에 있어서도 메탄올 분획물이 가장 높은 QR활성 증가 효과를 보여 암에 대한 예방효과가 기대된다. 따라서 앞으로 막걸리를 이용하여 항암관련 기능성식품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이며, 이를 위하여 특히 메탄올 분획물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Phellinus linteus의 균사체 액상배양에서 단백다당체(β-D-glucan)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균주 개량과 배양형태 조절의 중요성 (Importance of Strain Improvement and Control of Fungal cells Morphology for Enhanced Production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s(β-D-glucan) in Suspended Cultures of Phellinus linteus Mycelia)

  • 신우식;권영중;정용섭;전계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2호
    • /
    • pp.220-22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Phellinus linteus 균사체의 액상배양을 통한 면역증강 생리활성 효능의 단백다당체 생산공정을 개발하기 위한 시도로서, 우선 생산균체의 원형질체 형성을 통한 고생산성 균주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발효기 액상배양 시 최적 배양형태의 유도를 통해 균사체와 단백다당체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실에서 채취한 생산 균주를 ITS rDNA sequencing 방법과 blast search 방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다양한 Phellinus linteus 종들과 99.67% 이상의 유사성 확인되어, 이 균주를 Phellinus linteus라고 최종적으로 동정할 수 있었다. 이 동정된 균주로부터 균주 개량을 시도하기 위해 Phellinus linteus 균사체로부터 대량의 원형질체 형성 및 재생에 의한 단일 콜로니 획득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균주를 신속하게 개량할 수 있었다. Sorbitol을 이용한 banding filtr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원형질체를 회수한 결과 $10^5{\sim}10^6\;protoplasts/ml$를 얻을 수 있었으며, 원형질체 재생률은 $10^{-2}{\sim}10^{-3}$로 나타났다. 균주개량을 위해 원형질체 재생배지와 고체배양배지에서 고성장성 및 고안정성을 보이는 균주들을 지속적으로 대량 선별하여, 액상 생산배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균사체량은 13~15 g/L로 대부분 비슷하게 자랐으며, 조단백다당체의 함량 또한 5.8~6.4%로 거의 비슷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고체배양배지에서 빠른 성장속도를 보여주는 균주들이 대부분 액상 생산배양에서도 고생산성 및 고안정성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Phellinus linteus 균사체의 경우 조단백다당체의 함량이 세포 무게당 거의 일정한 양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조단백다당체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최종 생산배양에서의 균체량 증가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어, 균사형성 고등균류의 균사체 배양 시 균체량 증가에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인 생산균주의 배양형태적 특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 균주개량 실험을 통해 고생산성 균주로 최종 결정된 AR147 균주를 이용해서 다양한 배양조건에서 발효조 배양을 수행한 결과, 최종 생산발효조로의 접종원이 고농도의 균사모양인 경우에 생산균주의 배양형태가 매우 작은 compact한 펠렛 모양(대부분 직경 0.5 mm 이하)을 유지하는, 이상적인 균사체 액상배양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생산 발효조배양에서 직경 0.5 mm 이하의 compact한 펠렛 모양의 배양형태가 유도되었을 경우, lag phase 시간의 획기적 감소와 1.5배 이상의 높은 세포비성장속도로 인해, 최종 균사체생산성이 다른 배양형태를 유도한 경우에 비해 약 3.3배 더 높은 주목할 만한 배양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로부터 균사 형성 Phellinus linteus의 산업용 발효조 배양 시, 각 배양단계에서의 생산균체의 배양형태가 최종 균체생산성, 궁극적으로는 최종 단백다당체의 생산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환자에서 Filgrastim 사용이 PET/CT 영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A Study of Influence of Filgrastim on PET/CT In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 남궁혁;박훈희;반영각;강신창;김상규;임한상;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3권3호
    • /
    • pp.17-23
    • /
    • 2009
  • 많은 암 환자들 중 특히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환자의 추적 검사에서 PET/CT 검사는 기타 다른 검사들과 견주어 볼 때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이들 환자의 치료는 대부분 환자의 장기 한 곳에 국한된 경우가 없으므로, 방사선 치료나 항암 화학 요법 치료로 시행한다. 이러한 항암 화학 요법 치료는 골수의 활동을 억제하는 치료이기 때문에 환자에게서 호중구감소증과 같은 백혈구의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과립구 자극요소(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인 Filgrastim 성분의 골수촉진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 약제가 투여된 환자에게서 단기간에 PET/CT 검사를 진행하게 되면, 검사에 사용되는 $^{18}F$-FDG의 섭취가 조혈 세포가 모여 있는 골수의 활성화로 그 곳에 섭취가 가중되어 정확한 영상의 정보를 얻는데 한계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Filgrastim의 약제 투여 1일 후의 영상과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 영상의 SUV를 각각 비교하여 수치화하고, 대략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후에 정확한 영상의 정보를 줄 수 있는 $^{18}F$-FDG의 섭취가 일어나는지를 유추해 보고자 한다. 환자대상은 2007년 1월~2009년 1월까지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을 진단받고 추적 검사 중인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4명, 여자 6명이고, 평균나이는 53.8세 평균 체중은 57.3 kg이다. PET/CT (Discovery STe; GE Healthcare, Milwaukee, WI, USA) 검사를 위해 환자에게 $^{18}F$-FDG 정맥주사 후 1시간 가량 안정시키고, PET/CT 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 분석은 ROI ($12\;mm^2$)를 $C_6$ (6 번 경추), $L_4$ (4 번 요추), 간, 비장, 폐에 각각 그린 후 표준화 섭취 계수(SUV)를 측정하였다. 같은 환자를 골수촉진제 주사 1일 후 영상과 5~7일 후 영상을 각각 분석하였으며, 통계 프로그램으로는 SPSS version 12.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사용하여 두 집단 간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검사를 시행한 10명의 환자의 SUV를 분석한 결과, 골수촉진제를 투여하고 1일 후의 SUV가 5~7일 후에 비해 $C_6$ (6 번경추), L4 (4 번 요추), 비장에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고, 간과 폐에서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SUV의 차이와 더불어, 5~7일 후의 영상에서는 뼈의 섭취가 거의 없어진 정상 섭취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위의 연구에서도 보여진 것과 같이 과립구 자극요소 약제투여 후 1일째 환자의 영상과 5~7일 후의 영상에서 SUV의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약제를 투여한 환자의 영상에 뼈의 $^{18}F$-FDG 섭취가 집중되었으며, 평균 5~7일 후에 검사에서는 뼈의 섭취가 현저하게 줄어든 정상적이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SUV를 측정하고, 통계분석 함으로서 기존의 사실을 수치화 하였으며, 정상 섭취가 가능한 기간을 유추 할 수 있었다. 추후에 과립구 자극요소인 Filgrastim 이 외에 Pegfilgrastim, Lenograstim등 기타약제와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한 유사 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국제프랜차이징 연구요소 및 연구방향 (Research Framework for International Franchising)

  • 김주영;임영균;심재덕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61-118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외 프랜차이즈의 해외진출에 대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국제프랜차이징연구의 전체적인 연구체계를 세워보고, 연구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연구요인들을 확인하여 각 연구요소별로 이루어지는 연구주제와 내용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주제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주요한 연구요소들은 국제프랜차이징의 동기 및 환경 요소과 진출의사결정, 국제프랜차이징의 진입양식 및 발전전략, 국제프랜차이징의 운영전략 및 국제프랜차이징의 성과이다. 이외에도 국제프랜차이징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대리인이론, 자원기반이론, 거래비용이론, 조직학습이론 및 해외진출이론들을 설명하였다. 또한 국제프랜차이징연구에서 보다 중점적으로 개발해야 할 질적, 양적 방법론을 소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국내연구의 동향을 정리하여 추후의 연구방향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