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retardant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초

22.9kV 트리억제형 전력케이블의 성능평가 (Efficiency appraisal of 22.9kV tree retardant power cable)

  • 김위영;윤대혁;박태곤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179-182
    • /
    • 2002
  • XLPE compound have used for insulation of 22.9(kV) power cable. But tree retardant power cable has developed and is going to br used commonly. TR XLPE compound retard production and growth of water tree. In this paper,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t break, degree of crosslinking, lightning impulse test, AC breakdown test, cyclic aging for 14days and accelerated water treeing test of TR XLPE insulated power cable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KEPCO buying spec. & AEIC CS 5-94 standards. before and after As the result,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t break and degree of crosslinking test results of TR XLPE insulation were higher than requirement values. After accelerated water treeing test for 120 days, 240 days and 360 days, AC breakdown voltages were not decreased for accelerated water treeing aging duration

  • PDF

질소추비와 생장조정제 Inabenfide 처리가 벼 도복 및 에틸렌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abenfide and Nitrogen Top-Dressing on Ethylene Evolution and Lodging in Rice)

  • Lee, Sang-Chul;Takeshi, Tanab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83-390
    • /
    • 1993
  • 본 실험은 1992년 일본 동경농업대학 온실에서 질소 추비와 생장억제제 처리가 벼의 생육과 도복형질에 미치는 형태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조사함과 동시에 내성 에틸렌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한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식물생장억제제인 Inabenfide는 초장은 감소시켰지만 수량구성요소, 엽록소 함량, $CO_2 동화량 및 분벽에는 변화가 없었다. 2. Inabenfide를 수잉기에 처리하였을 때 절간 신장을 감소시켰으나, 세 번째와 네 번째의 절간 직경과 줄기의 두께를 증가시켰다. 3. 질소추비는 대체로 초장과 $CO_2 동화률에는 뚜렷하게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4. 에틸렌 발생은 생장억제제에 대하여 많은 변화를 보여 주었으며 Inabenfide를 출수 15일 전에 처리하였을 때 에틸렌 발생은 무처리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5. 질소 추비량에 따른 에틸렌 발생은 추비량이 많을 때 발생량이 높았으며 질소 추비와 에틸렌발생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rowth retardants stimulate guggulsterone production in the presence of fungal elicitor in fed-batch cultures of Commiphora wightii

  • Suthar, Satish;Ramawat, K.G.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4권1호
    • /
    • pp.9-13
    • /
    • 2010
  • Guggulsterone, a hypolipidemic natural agent, is produced in resin canals of the plant Commiphora wightii. In this study, the stimulatory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ALAR (N,N-dimethylaminosuccinamic acid) and CCC (chlormequat chloride)] and fungal elicitor on guggulsterone accumulation in cell cultures of C. wightii are reported. CCC at $1\;mg\;l^{-1}$ enhanced guggulsterone content (${\sim}123\;{\mu}g\;l^{-1})$ when added on the fifth day after inoculation, while ALAR at $2.5\;{\mu}g\;l^{-1}$ increased guggulsterone content (${\sim}116\;{\mu}g\;l^{-1}$) when added on the tenth day. In a two-stage fed-batch process, combined treatment with fungal elicitor and growth retardant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sim}353\;{\mu}g\;l^{-1}$) in guggulsterone content in cell cultures after 17 days of growth. This represents an approximately fivefold increase over the guggulsterone contents in initial cultures of this plant.

Molecular Analysis of Freeze-Tolerance Enhanced by Treatment of Trinexapac-Ethyl in Kentucky Bluegrass

  • Hwang, Cheol 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76-179
    • /
    • 1999
  • Trinexapac-ethyl[ 4-(cyclopropyl- $\alpha$ -hydroxy-methylene)-3,5-dioxocyclohexane carboxylic acid ethylester] is a growth-retardant for plants by inhibiting a key step in biosynthesis of GA. A treatment of trinexapacethyl generally induces a reduction in vegetative growth and also inhibits heading. In addition, the trinexapacethyl was known to enhance the freeze-tolerance in annual bluegrass, however, the mechanism is not known yet. One possible reason for the enhanced freeze-tolerance may be the antifreeze protein known to be accumulated in intercellular space of the leaf during cold acclimation. In order to see the possible in-duction of the synthesis of antifreeze proteins by trinexacpacethyl, the apoplastic proteins extracted from Kentucky bluegrass treated with trinexapacethyl were analyzed by SDS-PAGE and the presence of the antifreeze protein was observed. In addition, western analysis showed the identity of the protein induced by both a cold acclimation and a trinexapacethyl treatment. It appears that an enhanced freeze-tolerance of the turf grass by trinexapacethyl is due to the synthesis and/or accumulation of the antifreeze protein similar to the enhanced freeze tolerance induced by cold acclimation.

  • PDF

첨가재에 의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내트리잉성 향상 (Improvement of the resistance to Treeing by additive in Low Density Polyethylene)

  • 김봉협;임기조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35권1호
    • /
    • pp.17-25
    • /
    • 1986
  • Discussions on this paper are related to the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to treeing phenomena of low density polyethylene. As additives, 11 kinds of organic compounds ar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respective features such as melting point, boiling point, electron affinity as well as molecular structure, and then the specimens of low density polyethylene are prepared by blending with 10wt% of the selected additives. For the comparison of effectiveness of treeing resistance and interpretation of the mechanism of compounds as treeing retardants, several investigations such as the tree acceleration test, the prestressed test and the measurement of internally occurred partial discharge are carried out. As the results, meta-Cresol is regard as the most effective retardant among those, and it is supposed that this aromatic compound to be comprised of radical having large electron affinity has strong capability to accept energetic electron to prevent or delay the growth of discharge streamer. Furthermore, by activating partial discharge at the wall of tree pit through the function of trapped electron at this material, the gas pressure in the pit is increased up to prevent the growth of streamer.

  • PDF

Uniconazole처리가 심비디움 Pine Clash 'Moon Venus'와 Green Sour 'A One'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iconazole Treatment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Cymbidium Pine Clash 'Moon Venus' and Cym. Green Sour 'A One')

  • 김홍열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1호
    • /
    • pp.40-41
    • /
    • 1998
  • 본 연구는 왜화제 uniconazole처리가 심비디움 Pine Clash 'Moon Venus'와 Green Sour 'A One' 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두 품종 모두 uniconazole의 처리량이 많아질수록 왜화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Moon Venus'보다 'A One'의 생장억제가 현저하였다. 화서장은 uniconazole 5g 처리에 의해서 'Moon Venus'의 경우 18.4%, 'A One'의 경우 15.3% 억제되었다. 개화시기, 화서수, 소화수, 하악편의 크기 등은 uniconazole 처리에 의해서 약간의 변화는 있었지만 무처리와 큰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uniconazole 처리는 심비디움의 영양생장기관인 잎의 생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왜화제이나 고농도(5g) 처리에서는 화서의 생장까지 억제하여 품질의 하락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적정 처리량은 1g 정도로 판단되었다.

  • PDF

Uniconazole 처리시기가 심비디움 Pine Clash 'Moon Venus'와 Green Sour 'A One'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iconazole Treatment Time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Cymbidium Pine Clash 'Moon Venus' and Cym. Green Sour 'A One')

  • 김홍열;정재동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3호
    • /
    • pp.344-345
    • /
    • 1999
  • 본 연구는 심비디움의 고랭지 이동재배의 대체기술개발을 위하여 생장억제제 uniconazole 처리시기가 심비디움 Pine Clash 'Moon Venus'와 Green Sour 'A One'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두 품종 모두 uniconazole의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왜화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Moon Venus' 보다 'A One'의 생장억제가 현저하였다. 'Moon Venus'의 경우 5월 7일과 27일 uniconazole 처리에 의해서 개화가 각각 5, 6일 촉진되었으며 또한 화서수, 소화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 One'의 경우 개화시기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uniconazole처리에 의해서 화서수와 소화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두 품종 모두 소화의 크기를 나타내는 하악편의 길이와 폭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분식(盆植) 제라니움의 생육(生育) 및 개화(開花)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濟)의 효과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Pot Pelargornium hortorum)

  • 정희;이승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2호
    • /
    • pp.244-246
    • /
    • 1998
  • 제라니움 'Pinto Scarlet'와 'Pinto Rose' 품종의 생육발달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분식 제라니움 'Pinto Rose'와 'Pinto Scarlet' 품종의 생육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제의 영향은 두 품종 모두 $GA_3$ 처리에 의하여 초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GA와 daminozide 처리는 의한 측지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개화소요일수는 'Pinto Scarlet'에서 $GA_3$와 daminozide의 혼용처리에 의해 지연되었고, 'Pinto Rose'는 $GA_3$ 단용, 혹은 $GA_3$와 daminozide의 혼용처리로 지연되었다. 제라니움에서 식물생장억제제에 따른 초장억제 효과는 'Pinto Scarlet' 품종이 'Pinto Rose' 품종보다 민감하게 나타났으며, 'Pinto Scarlet' 품종은 화경수 및 측지수 억제에 uniconazole이 효과적이었으나 'Pinto Rose' 품종에서는 식물생장억제제의 처리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화경장 및 식물체의 폭도 두품종 모두 uniconazole처리로 가장 많이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화소요일수는 식물생장억제제 처리에 의하여 두 품종 모두 증가되었다.

  • PDF

몇몇 허브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B-9과 Uniconazole 처리효과 (Effect of B-9 and Uniconazole on the Growth of Mentha piperita, Origanum vulgare L., and Thymus vulgaris L.)

  • 이정화;문윤자;박기배;허무룡;박중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2호
    • /
    • pp.131-133
    • /
    • 1999
  • 식물생장억제제 처리시 대조구에 비하여 초장이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uniconazole 처리가 B-9 처리보다 초장억제에 더욱 효과적이었으나 Thymus vulgaris 2,500mg/L B-9 처리시는 uniconazole 처리보다 초장이 짧은 결과를 보였다. 5,000mg/L B-9처리시 공시한 3종 모두의 삽수가 고사하였다. 신초수는 대조구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B-9 처리시는 uniconazole 처리에 비하여 신초발생이 많았다. 잎에 대한 생장억제제의 처리 효과는 공시식물 모두 유의차가 적었으며 절간장은 초장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Mentha piperita, Origanum vulgare와 Thymus vulgaris 지하부 생육은 B-9이나 uniconazole에 의해 현저하게 영향 받지 않았다.

  • PDF

($SO_2$처리시기(處理時期) 및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 전처리(前處理)가 수종(數種)의 조경수목(造景樹木)의 $SO_2$피해(被害)에 미치는 영향(影響) (($SO_2$ Injury in Several Ornamental Trees and Shrubs as Influenced by Season and Growth Retardant Pretreatment)

  • 이정명;박태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73
    • /
    • 1982
  • 수종(數種)의 조경수목(造景樹木)에서 $SO_2$피해(被害)는 7월(月) 처리(處理)에서 가장 심(甚)하게 나타났으며 8월(月) 및 9월(月)에는 현저(顯著)히 낮아졌다. Daminozide 전처리(前處理)는 공시수목류(供試樹木類)의 $SO_2$피해정도(被害程度)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MH전처리(前處理)는 무궁화에서의 $SO_2$피해엽수(被害葉數)를 증가(增加)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