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characters

검색결과 650건 처리시간 0.036초

인삼 품종과 육성계통의 작물학적 특성 변이 (Variations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in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

  • 방경환;서아연;김영창;조익현;김장욱;김동휘;차선우;조용구;김홍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1-237
    • /
    • 2012
  •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Panax ginseng C. A. Mey.) and to identify the variations that can be utilized in ginseng breeding programs.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was used to clarify the genetic relationships among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and to classify them into distinct genetic groups. Angle of petiole and number of fibrous root showed a wide variation from $15.0{\sim}67.8^{\circ}$ and 0~5, respectively. The average plant length was 54.2cm with a range of 37.9~64.8cm and the average stem diameter was 5.6mm with a range of 4.0~7.5mm. The average stem length was 31.9cm with a range of 21.8~37.9cm and the average root weight was 38.1 g with a range of 23.0~52.0 g. The 24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ased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using the complete linkage cluster analysis. The I, II, III and IV groups included the 60.8%, 7.4%, 13.1% and 8.7% of the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respectively. The breeding lines in group I could be characterized as the group with the highest growth characters and yield components, such as plant length, stem diameter and root weight. The root weight, the yield component, had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tem diameter, plant length and stem length.

감귤 embryogenic callus 원형질체 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protoplasts-derived from embryogenic callus of Citrus)

  • 안현주;이동훈;이지현;최영훈;강병철;박효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81-86
    • /
    • 2008
  • 감귤에 있어서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체세포잡종체 생산을 위해서는 우선 캘러스 원형질체로부터의 식물체 재분화가 가능하여야 하기 때문에 온주밀감의 캘러스 원형질체로 부터 배형성과정을 통한 식물체 재분화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흥진조생의 어린 미성숙 배주의 주심조직으로부터 유기된 배형성 캘러스를 사용하여 건강한 원형질체를 분리하고 0.6 M $BH_3$ 배지를 배양배지로 사용하여 배양방법에 따른 plating efficiency를 비교해 본 결과 liquid over solid 배양시 원형질체로부터의 미소괴 형성율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적정 배형성 배지 선발에서는 1500 mg/L malt extract 첨가 배지에서 배형성율이 높았다. 자엽형 배로부터의 신초유기를 위한 배지비교에서는 1.0 mg/L GAB 첨가배지에서 발근과 함께 정상적으로 재분화된 신초를 얻을 수 있었다. 원형질체 배양으로부터 재분화된 식물체들은 순화과정을 거쳐 온실 육묘중에 있으며, 생장상이나 형태적인 특성에 있어서 모본 식물체와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으로 얻어진 원형질체 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체계를 바탕으로 이종속간 감귤의 원형질체 융합 기술을 이용하여 교배육종이 불가능한 품종들로부터 우수한 형질을 지닌 감귤 품종 및 대목용 품종 생산에 활용하고자 한다.

가토의 두개골에 이식한 진피 아교기질(AlloDerm®)이 골 재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Bone Regeneration of the Dermal Collagen Matrix(AlloDerm®) Graft in the Rabbit Calvarium)

  • 박상우;이경석;김준식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335-342
    • /
    • 200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possibility of the allogenic type I collagen inducing osteoinduction or osteoconduction at critical sized bone defect in the rabbit. Twenty Newzealand white rabbit, weighted from 2.8 kg to 3.5 kg, were used in this study. The skull was exposed and two bony defects were created with diameter of 10 mm. Group I(n=10), the bony defects was grafted from the other side bone. Group II(n=10), the bony defects was grafted by the allogenic type I collagen with bone morphogenic protein(BMP). Group III(n=10), the bony defects was grafted by the allogenic type I collagen only. Group IV(n=10), the bony defects was lefted with no grafts. The grafted bones and allogenic type I collagen were investigated with radiologic densitometry, histologic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stry after 12 weeks. No major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gross finding between Group I, II, III, but dura mater was exposed in bony defect,the Group IV. The radiologic study demonstrated more bony opacity in the Group I, but the other groups did not demonstrat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stologic study, grafted bone edge was completely consolidated with original bone in group I and new bone ingrew into the grafted allogenic type I collagen(group II, III),but there is no bone regeneration from the original bony edge in the group IV. The percent of the new bone formation by cross-sectional area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a p value of less than 0.05(p<0.05). In the immunohistochemistry study about BMP antibodies, the group IV demonstrated osteogenic activity in front of advancing original bone edge, in which the osteoblast stained strongly for BMP antibodies, but other group does not demonstrated any osteoblastic expression. There was no immunologic rejection. In conclusion, this results do not demonstrate that the allogenic type I collagen is useful for bone substitute, but the characters of the collagen, such as pliability, easy-handling, sponge-like structure, are useful in interpositional bone graft substitutes. The further evaluation of long term results about the resorption, immunologic tissue reaction, response of applied tissue growth factor to the allogenic collagen is needed.

부드러운 육질이 매력적인 중생종 배 '신화' (Early Autumn Maturing Pear Cultivar 'Sinhwa' with Fascinating Very Soft Flesh)

  • 강삼석;김윤경;황해성;조광식;신일섭;원경호;최장전;김기홍;조지형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512-516
    • /
    • 2013
  • '신화' 품종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에서 1995년에 '화산'의 뛰어난 맛과 부드러운 육질의 과실특성과 꽃눈의 분화 및 유지성이 좋은 '신고'의 재배적 특성을 가져 재배가 용이한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신고'에 '화산'을 교배하였다. 2004년에 1차 선발하고 2009년에 최종선발 하였다. '신화'의 수세는 강하고, 수자는 반개장성으로 수체특성은 종자친인 '신고'와 유사하다. 특히 꽃눈이 많고, 유지성도 좋아 수체관리가 용이하다. 화기 특성에 있어서 '신화'의 개화기는 4월 11일로 종자친인 '신고'와 비슷하다. 또한 꽃가루도 적어 수분수로 2가지 이상의 품종을 재배해야 한다. '신화'는 검은무늬병(Alternaria kikuchiana)에 포장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검은별무늬병(Venturia nashicola)에 비교적 강하다. 수확기는 나주에서 9월 15일 전후로 화산보다 10일 빨리 수확할 수 있다. 과형은 편원형이며 과피색은 수확기에 황갈색이다. 평균과중 627g이고, 당도는 $13.0^{\circ}Brix$이다. 육질은 부드럽고 과즙이 풍부하여 식미가 우수하다. 상온에서 30일 보관이 가능하다.

달성폐광산 산성광산배수의 발달특징과 슈베르트마나이트의 역할 (Characteristics of the Dalseong Acid Mine Drainage and the Role of Schwertmannite)

  • 추창오;정교철;이진국
    • 지질공학
    • /
    • 제17권2호
    • /
    • pp.187-196
    • /
    • 2007
  • 달성 광산의 산성광산배수의 특징과 슈베르트마나이트(schwertmannite)의 환경지질학적인 의미와 역할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폐광석의 변질양상, 수질과 하상침전물의 특징을 입도분석, 수질분석, XRD, SEM, 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달성광산의 폐수처리장과 하천의 산성광산배수는 하류로 가면서 pH와 전기전도도(EC)가 감소한다. 폐광석의 황철석이 용해된 부분에서 황은 자형의 등립질, 치밀한 집합체로, 침철석은 길게 신장된 입자가 달라붙어 십자가, 별모양, 불가사리형의 집합체를 이룬다. Eh-pH 다이아그램 상에서 수질은 슈베르트마나이트와 페리하이드라이트의 안정영역에 놓여 있다. 하상침전물은 적갈색인 경우 대체로 슈베르트마나이트, 황갈색내지 노랑갈색인 경우 침철석으로 구성된다. 하강 침전물의 입도는 $d(0.1)0.861{\mu}m{\sim}3.769{\mu}m,\;d(0.5)\;3.984{\mu}m{\sim}15.255{\mu}m,\;d(0.9)$$9.875{\mu}m{\sim}56.726{\mu}m$범위이다. 슈베르트마나이트의 결정형은 등립질의 구상체가 특징적이다. 슈베르트마나이트 구상체 표면에 발달하는 침상돌기체는 폭이 100 nm, 길이 $200{\sim}300nm$이며, 이들은 방사상으로 성장한다. 국내 여러 산성광산배수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적갈색, 황갈색의 침전물에는 슈베르트마나이트가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AMD의 중금속 저감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감정을 통하여 슈베르트마나이트의 존재여부와 상안정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大氣汚染地域 適應 樹種 選拔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Selection of Adaptable Tree in Air Pollution Area)

  • 朴晥澈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5-65
    • /
    • 1991
  • The study was performed to select a adaptable tree species under stressed field conditions where there are a industrial plants operating with a number of smoke stacks emitting pollutants, such as hydrogen fluoride and sulfur dioxide. As a result of the study, a tree species selected are due to construct a forest belt in a zones near industrial plants to reduce the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The concentrations of atmospheric hydrogen fluoride and sulfur dioxide were very higher at experimental sites near industrial plants (air-pollution sites) than at control site. The leaves of 7 tree species grown at air pollution sites contained more sulfur and, specially, fluorine than at those control site. Among the tested tree species, Ligustrum japonicum Thunb. and Euonymus japonica Thunb. grown at air pollution sites did not at all break out a foliar injury but appeared to be healthy, as well as those grown at control site. Acer pseudo-sieboldianum Kom., Pinus virginiana Mill., Larix leptolepis Gordon.,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Pinus strobus L., Picea abies Karst and Ligustrum obtusifolium Sieb. et Zucc., however, showed a severe fluoride-type foliar injury such as necrosis on tip or margin of leaves, etc. Fluorine found in leaves was proved to be correlated to sulfur found in leaves whereas index of foliar injury hadn't a good correlation to pollutants found in leaves. It appears that Euonymus japonica Thunb., Ligustrum japonica Thunb., Platanus acerifolia Willd, Chamaecyparis pisifera Endl.,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ee and Sophora japonica L. grown at both experimental sites had a high value of percent survival whereas Pinus virginiana Mill., Pinus koraiensis Sib. et Zucc.,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and Alnus hirsuta Rupr. had an extremely low value of that. In comparison with control site, the percent tree height increments in Chamaecyparis pisifera Endl., Ligustrum japonicum Thunb., Quercus acutissima Carruth.,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ee, Pinus thunbergii Parl and Euonymus japonica Thunb. and the percent upmost root diameters in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ee, Chamaecyparis pisifera Endl., Euonymus japonica Thunb., Ligustrum japonicum Thunb.,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 and Pinus thunbergii Parl. cultivated at air polluted sites showed very high value above 90%, respectively.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0.662) was recognized between the index of foliage injury and the percent collective character, which was the mean of tree characters such as percent survival, percent tree height increment and percent upmost root diameter increment which compared to those at air polluted site with those at control site. Based on the percent collective character Ligustrum japonicum Thunb., Euonymus japonica Thunb., Chamaecyparis pisifera Endl., Populus tomentiglandlosa T. Lee, Betula platyphyla var. japonica Hara and Platanus occidentalis L. have large value about 90%, respectively.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is tree species are adaptable species in air polluted reg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daptable tree species, furthur studies concerning the effects of various air pollutants on the tree growth are required.

  • PDF

경남지역 둥굴레속의 형태적 특성에 의한 분류와 형질간 상관 (Classification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Correlation of Polygonatum Species Collected from Gyeongnam Area)

  • 심재석;박정민;전병삼;강진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9
    • /
    • 2005
  • 경남지역의 자생 둥굴레속 47개 수집종의 유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수집종의 생장 몇 형태 관련 형질, 잎마름병 감염정도, 이들 형질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산둥굴레에서 가장 길었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짧았다. 한편 줄기의 생장형태는 직립형을 포함한 3개군으로, 줄기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하였다. 2. 염의 형태로는 타원형을 포함한 5개군으로, 엽병은 존재 유무로부터 2개군으로, 엽병의 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에 특이하게 피침 형태로 엽연이 자색인 1개종이 수집되었다. 3. 꽃은 화형이 항아리형, 통형, 조롱박형의 3개군으로, 화색은 흰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특별하게 조롱박형인 1개 수집종은 연녹색을 띄고 있었다. 화사는 실린더형과 편평형으로, 화경의 색깔은 자색을 포함한 4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포의 존재 유무와 형태에 따라 4개군으로 분류하였다. 4. 과실은 둥근형 등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백과중은 둥굴레에서 가장 무거웠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가벼웠다. 5. 둥굴레 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아주 강한 것은 2종, 이병율이 7% 이하인 것은 7개종으로 조사되어서 근경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저항성 유전자원이 자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제형질의 상관관계에서 근경수량과 관련된 근경중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엽폭, 지하경 직경과 정의상관을 보였으나 근경수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잎마름병 이병율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백립중, 근경중, 지하경 직경과 부의상관을 보였다.

적변삼으로부터 분리한 내생세균의 동정 및 적변 유발 (Identification of Endophytic Bacteria Isolated from Rusty-colored Root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and Its Induction)

  • 최재율;육진아;김진희;최춘환;천종식;김영준;이향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
    • /
    • 2005
  • 적변삼은 인삼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농가에 커다란 경제적 손실을 주지만, 아직까지 주원인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적변삼의 발생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적변삼과 내생 세균과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인삼의 내생 세균 밀도는 정상 인삼의 경우 $0.96{\sim}1.5{\times}10^2cfu/g\;fw$에 불과하였으나 적변이 심한 경우는 $0.37{\sim}5.1{\times}10^7\;cfu/g\;fw$로 정상 인삼에 비하여 밀도가 매우 높았다. 적변삼에서 분리한 31개 균주는 적변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적변을 유발하였다. 적변과 관련이 있는 세균은 대부분이 그람 음성균이었다. 적변을 유발하는 세균을 세균학적 특성과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동정한 결과 Agrobacterium tumefaciens, A. rhizogenes, Burkholderia phenazinium, Ensifer adharens, Lysobacter gummosus, Microbacterium Iuteolum, M. oxydans, Pseudomonas marginalis, P. veronii, Pseudomonas sp., Rhizobium leguminosarum, R. tropica, Rhodococcus erythropolis, Rh. globerulus, Variovorax paradoxus의 세균으로 동정되었다. 따라서 인삼적변의 발생은 내생세균의 침입 및 증식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식품 중 사용금지 원료인 Aphanizomenon flos-aquae 검출법 개발 및 응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etection Method for Aphanizomenon flos-aquae not Usable as a Food Materials in Korea)

  • 박용춘;신승정;이호연;김용상;김미라;이상재;이화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8-193
    • /
    • 2013
  • Aphanizomenon flos-aquae는 시아노박테리아 일종이며 anatoxin-a, saxitoxin, neosaxitoxin 등의 독소를 생산할 수 있어 국내에서는 식품원료로 사용이 금지되어있다. 전통적으로 시아노박테리아는 사상체 넓이, 세포 크기, 분열방법, 세포형태, 가스주머니의 존재유무 등의 형태학적 특징에 의한 분류가 가능하다. 그러나 가스주머니 혹은 무성포자와 같은 특징은 주변 환경 또는 생장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 소실되기도 한다. 따라서 PCR에 의한 Aph. flos-aquae를 함유하는 기능식품을 검출할 수 있는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프라이머를 설계하기 위하여 유전자은행(www.ncbi.nlm.nih.gov)에 등록되어있는 Aph. flos-aquae, 스피루리나의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하였으며, 비교 및 분석에는 BioEdit ver. 7.0.9.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클로렐라, 스피루리나, 녹차, 시금치로부터 Aph. flos-aquae를 검출할 수 있는 AFA-F1/AFA-R1(363 bp) 프라이머를 최종 선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프라이머는 Aph. flos-aquae가 각각 1% 함유 되도록 제조된 클로렐라, 스피루리나 제품에서 모두 혼입여부의 확인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두과작물 근류균에 대한 생리 및 생화학적 연구 -I. 근류균 균주의 특성과 접종시험-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studies on legunme nodule bacteria, Rhizobia -I. Some charateristics of isolated strains of Rhizobia and inoculation test on soy bean.)

  • 임선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1호
    • /
    • pp.51-57
    • /
    • 1970
  • 두과작물과 그 근류균은 특수한 상호관계에 있으며 복잡한 과정을 거쳐 분자질소의 고정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기주식물의 종류, 품종에 대한 근류균종 및 균주의 접종친화성은 특이하여 근류형성성과 질소고정력이 다르므로 유효균주를 선발하여 접종의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본 실험은 우리나라에 재배 또는 야생하는 두과작물 가운데 대두와 사료작물인 alfalfa, clover류, lespedeza, birdfoot trefil의 근류균을 수개지역의 여러품종(대두)에서 채집 분리하여 균의 형태, 배양 및 생리적인 성질등을 조사 비교하여 동정하고 대두 근류균을 대두에 접종하여 근류형성성을 조사 하였다. 분리한 균종과 균주는 형태와 배양특성 및 생리적인 성질로 분류되어 대두 근류균 56과 사료작물에서 11균주를 분리 선발하였다. 각 균주는 탄수화물의 이용성, 유기산생산성, hydrogenase 활성 및 indole 초산 생리력에 많은 정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성질을 근류균 활성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근류균의 생육에 끼치는 몇가지 질소화합물의 영향을 시험한 결과는 화합물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달리 나타났으며 asparagine과 glutamine이 가장 유효하였고 hydroxylamine, hydrazine, nitrite azide, thiourea등은 $1{\times}10^(-2)M/l$의 농도에서 균의 발육을 심히 저해하였다. 대두 품종 "장란백목"에 대한 25균주의 접종시험결과는 20균주가 상이한 정도로 근류를 형성하였고 5균주가 근류를 형성하지 않았으며 이 가운데 한 균주에 의하여는 뿌리의 발육이 억제 변형되어 있었다. 이로써 대두품종에 대한 근류균 균주의 근류 형성 친화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1969년도 문교부 연구조성비의 지원으로 수행하였으므로 이에 당국에 감사하며 또한 연구의 진행에 많은 격려와 고견을 베풀어주신 이춘영 교수, 시료채집에 적극 협조하여주신 김동암, 한상기 교수와 작물시험장 박근용 과장에게 감사의 뜻을 표합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