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ing-finishing pig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175초

육성$\cdot$비육돈사 내에서 환기형태별 환경조사 연구 (Effects of Ventilation Systems on Interior Environment of the Growing-finishing Pig House in Korea)

  • 송준익;유용희;정종원;김태일;최희철;강희설;양창범;이영윤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3-100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건축되어져 있는 개방식 육성$\cdot$비육돈사나 무창식 육성$\cdot$비육돈사에 대한 효율 비교분석 연구가 없는 실정으로 개방식 육성$\cdot$비육돈사와 무창식 육성$\cdot$비육돈사의 환경효율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겨울철과 여름철로 나누어 실시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창식 육성 비육돈사는 외부의 기온 변화가 심하더라도 돈사내부의 온도는 외부기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여름철 $31.8\~33.8^{\circ}C$, 겨울철 $17.9\~19.5^{\circ}C$를 유지하였으나 개방식 육성$\cdot$비육돈사는 여름철 32.1$\~$32.9, 겨울철 $15.8\~16.7^{\circ}C$를 유지하여 온도효율이 낮았다. 2. G2, G4 육성$\cdot$비육돈사는 돼지생활 공간(하부) 지점에서의 공기유속은 겨울철 최소환기($5\%$) 수준으로 하였을 때 0.2$\~$0.3 m/s 였으며, 여름철 최대환기($95\%$) 수준에서는 0.5$\~$0.6 m/s로 분포되어 여름철 및 겨울철의 육성$\cdot$비육돈사내 공기유속이 G1, G3 육성$\cdot$비육돈사보다 양호하였다. 3.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한 바 G2, G4 육성$\cdot$비육돈사는 여름철 13.3$\~$16.6 ppm, 겨울철14.0$\~$~14.6 ppm으로 측정되었으며, G1, G3 육성$\cdot$비육돈사는 여름철 14.6$\~$20.3 ppm, 겨울철 20.3$\~$25 ppm을 유지하여 G1, G3 육성$\cdot$비육 돈사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 PDF

돼지의 품종 및 성장 단계에 따른 등심조직의 단백질 발현 양상 비교, 분석 (Protein Expression in Pig Species Longissimus dorsi Muscles among Different Breeds and Growth Stages)

  • 김병욱;김삼웅;홍연희;정미애;류연선;박화춘;정종현;권영민;최인순;이상석;김철욱;조광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13-722
    • /
    • 2012
  • Landrace와 Berkshire의 longissimus dorsi muscle으로부터 단백질 발현양상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2-DE실험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Landrace 에서 특이적으로 발현 양이 증가한 단백질들은 serum albumin precursor, troponin T (TnT; slow skeletal muscle), myoglobin였다. Berkshire에서 특이적으로 발현 양이 증가한 단백질들은 heat shock 27 kDa protein 1, troponin T (fast skeletal muscle), muscle creatine kinase, phosphoglucomutase 1, triosephosphate isomerase (Tpi 1), adenylate kinase isoenzyme 1 (AK1)였다. Landrace의 longissimus dorsi muscle에서는 slow skeletal muscle과 연관된 단백질들이 발현된 반면에 Berkshire에서는 fast skeletal muscle, 물질대사경로, 에너지 생산과 관련된 단백질들이 발현되었다. Berkshire를 이용하여 성장단계별로 단백질 발현을 분석해 본 결과 growing Berkshire에서 발현이 증가한 단백질은 aldehyde dehydrogenase 1 family, member L1 (ALDHL1)와 muscle creatine kinase이고 finishing Berkshire에서 발현이 증가한 단백질은 heat shock 27 kDa protein 1, TnT (slow skeletal muscle), TnT (fast skeletal muscle), serum albumin precursor, PGM 1, AK 1, Tpi 1였다. 이 결과는 Finishing Berkshire의 등심에서는 growing Berkshire에 비교하여 골격근육, 에너지물질대사, 세포골격 등이 보다 활성화된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ison of Bioavailability of Organic Selenium Sources in Finishing Pigs

  • Jang, Y.D.;Choi, H.B.;Durosoy, S.;Schlegel, P.;Choi, B.R.;Kim, Y.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7호
    • /
    • pp.931-936
    • /
    • 201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bioavailability of different organic selenium (Se) products in finishing pigs. A total of 48 growing pigs, average body weight $47.6kg{\pm}0.05$, were allotted to four different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 in three replicates with four pigs per pen. Three different organic Se products, Se-enriched yeast (treatments A and B) and Se-proteinate (treatment C), were used in conjunction with a basal diet with no added Se as a control treatment. In growing period, pigs were fed the same diet but finishing pigs were fed each treatment diet containing organic Se products for 6 week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feed intake and body weight were measured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to determine the Se concentration. At the end of this experiment, 3 pigs per treatment were killed and various tissues (loin, liver, kidney, pancreas and spleen)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Se concentration. The body weight,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were similar among treatments, but the average daily gain (ADG) was increased on Se-proteinate treatment (p<0.01) and gain-to-feed ratio (G/F ratio) was improved on Se yeast B or Se-proteinate treatment (p<0.01). The tissue Se content was also increased when pigs were fed organic Se sources, and Se was retained efficiently in loin (p<0.01) and kidney (p<0.05) when Se yeast B was provided. The serum S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when organic Se was provided and was higher when pigs were fed Se-proteinate (p<0.01); subsequently liver Se was also higher on Se-proteinate treatment than other treatments. The Se yeast A treatment did not show any increment of Se concentration both in serum and tissues. This result demonstrated that Se retention and bioavailability in finishing pigs were varied by Se products although organic sources were provided. Consequently, each organic Se product should be evaluated before it is used as a supplement in animal feed.

육성비육돈용 자동급이기 사료공급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Feeder for Growing-finishing Pigs)

  • 유용희;송준익;최희철;김재환;박규현;강희설;장동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1-250
    • /
    • 2009
  • 본 연구는 사료 급여량 자동조절 및 사료의 허실을 최소화하며 구조가 간단한 육성비 육돈용 자동급이기 개발을 위해 수행하였다. 개발 시작형 자동급이기의 주요 구성은 사료저장조, 사료이송장치, 사료이송제어장치, 사료진타장치, 프로그램머블 IC, 개인용 컴퓨터로 구성되었다. 개발 시작형 자동급이기의 가루사료의 초당 평균 이송량은 $9.83{\pm}0.4\;g$, 이었다. 개발 시작형 자동급이기를 이용 체중 43 kg 내외 육성돈(렌드레이셔)을 공시 6주 동안 콘크리트 돈방에서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개발 시작형 자동급이기는 사료공급 시간을 2초, 3, 4, 5, 6초로 설정, 검증시험을 수행 하였다. 개발 시작형 자동급이기 일일 급이기 방문 빈도는 사료이송 구동시간에 관계없이 05~11시와 11시부터 17시 사이에 집중적 이었다. 사료허실을 줄이기 위하여 개발 시작형 자동급이기 사료이송 시간은 2~4초 이내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 시작형 자동급이기의 사료이송 기준 6초를 제외하고, 개발 시작형 자동급이기가 관행 급이기보다 시험 전기간 평균 일당 종체량(0.8~0.9 kg)은 같거나 높고, 일일 사료섭취량과 (2.76~2.93 kg), 사료요구율 (3,10~3.66)은 같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결과를 일당증체,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사료 허실량 등을 종합 해보면 육성비육돈용으로 개발 시작형 자동급이기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자연환기식 육성.비육돈사의 악취탈취장치 적용효과 (Effects of the Odor Abatement System in a Naturally Ventilated Growing Finishing Pig House)

  • 이성현;윤남규;김경원;염성현;조용호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1-38
    • /
    • 2008
  • 자연환기식 육성 비육돈사의 내부 사육환경을 개선하고자 돈사내부에 악취탈취장치를 설치하였다. 악취탈취장치에서 탈취한 공기는 덕트를 이용하여 돈사내부에 분배되도록 하였다. 악취탈취장치의 가동에 따른 내부의 환경은 돈사의 측벽에 설치된 윈치커튼을 닫아 관리하기 때문에 내부의 환경이 열악해지는 겨울철에 실시하였다. 악취탈취장치를 가동하면서 분석한 돈사의 내부환경 개선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돈사내부에 설치한 악취탈취장치에서 탈취된 후 배출된 공기를 돈사내부에 재분배함으로써 악취탈취장치 가동전보다 돈사내부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약 33.3%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돈사의 암모니아 가스 저감효과는 돈사의 환기율이 $0.5m^3/m$ 두 이하인 경우에 나타났으며, 환기율이 많아지면 외부의 신선한 공기의 유입에 의해 희석되는 양이 악취탈취 장치에서 배출된 공기량보다 많아 악취탈취 장치 가동에 의한 내부 환경개선 효과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육성 비육돈사에 악취탈취장치를 가동하면서 돼지를 입식하여 출하 때까지 사육한 결과 악취탈취장치 설치전과 비교하여 돼지의 폐사율이 약 3.8% 줄어들었으며, 탈취장치 가동후 돈사내부에 관리를 위해 들어갈 때 눈 따가움, 부유먼지 등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감귤 부산물 첨가 사료를 장기간 급여한 교잡종 돼지고기의 성분 특성 (Effect of Feeding Dietary Tangerine Byproduct for a Long Time on Chemical Compositions of Loin for Crossbred Pig)

  • 양승주;강창홍;양종범;정인철;문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6-19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pork for crossbred pig (female, 198 days old $102{\sim}118kg$) that were fed with tangerine byproduct from pregnancy through the whole rearing period. The sample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the pork from give the number of control pigs not fed with tangerine byproduct($T_0$), and the pork from give the number of study pigs fed with 8% tangerine byproduct during the whole breeding period, from the early pregnancy through the young, growing and finishing periods ($T_1$). Backfat thickness of the crossbred pig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feeding tangerine byproduct (p<0.05). The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s, total amino acid, saturated fatty acid vs. unsaturated fatty acid and vitamin $B_2$ contents of loi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_0\;and\;T_1$, (p>0.05). Although thos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tangerine byproduct tended to increase the amount of vitamin $B_1$, and decrease the crude fat and cholesterol contents.

  • PDF

양돈 슬러리의 암모니아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Ammonia Emission Characteristic of Pig Slurry)

  • 이성현;윤남규;김경원;이인복;김태일;장진택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육성 비육돈 슬러리를 이용하여 슬러리의 환경조건에 따라 슬러리로 부터의 암모니아 발생 특성을 분석코자 하였다. 슬러리의 온도와 pH를 조절하여 슬러리로부터 발생하는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 분석한 결과 슬러리의 온도가 높을수록 슬러리로 부터 발생하는 암모니아 농도는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슬러리의 pH를 5, 6, 7, 8의 4수준으로 조절하여 각각의 온도에 따라 발생하는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한 결과 pH 5, 6에서는 암모니아 가스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pH 7, 8에서는 많은 양의 암모니아 가스가 검출되었고 양돈 슬러리의 pH가 높을수록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슬러리의 온도를 낮추어 주거나 슬러리의 pH를 낮춤으로써 슬러리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스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발효한 남은 음식물사료의 급여가 돼지의 성장 및 돈육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Food Wast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in Pigs)

  • 박용국;윤민성;주원석;용홍봉;박형용;김유용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361-374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ermented food waste (FFW) supplementation on growth, nutrient digestibility and pork quality of growing pigs. A total of 48 crossbred pigs were assigned to four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 Treatments were 1) Control (basal), 2) FFW 2% (basal+2%FFW), 3) FFW 4% (basal+4%FFW) and 4) FFW 6% (basal+6%FFW). Diets were formulated based on corn-soybean meal and the FFW products were provided to weaning, growing and finishing period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FFW treatment groups showed similar ADG, ADFI and G:F ratios (P>.10) compared to control group. However, In the finishing period, pigs fed 6% FFW tended to be lower ADG than other dietary treatments (P=0.13) resulting in lower final weight. All pigs showed inconsistent blood urea nitrogen (BUN) concentrations pattern. In metabolic trial, nutrient digestibility was not affected by the supplementation of FFW. The pork quality was affected by the supplementation of FFW based upon pork pH, lipid peroxidation (TBARS) and meat color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utilization of fermented food waste to growing pig's diet reduce production cost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 on pork quality when it was provided at low level.

감귤피를 급여한 교잡종 돼지 고기가 흰쥐의 지질대사, 단백질 농도 및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 with Meat for Crossbred Pig Fed with Tangerine Peel on lipid Metabolism, Protein Level and Enzyme Activities in Rats)

  • 문윤희;양승주;정인철;양양한;고진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8-63
    • /
    • 2006
  • 감귤피를 급여하지 않은 교잡종 돼지고기(대조구, $T_0$), 육성기와 비육기에 각각 3% 및 5% 급여한 돼지고기($T_1$), 그리고 6% 및 10%를 급여한 돼지고기($T_2$)등 3 종류를 각각 단백질로 환산하여 12% 되도록 흰쥐 식이에 첨가하였다. 이식이를 생후 17주령의 흰쥐에 4주간 급여하여 영양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조구($T_0$)와 감귤피 급여구($T_1$$T_2$)의 사이에 흰쥐의 증체량,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장기(간, 신장, 비장, 부고환 지방)무게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의 지질(총지질, 인지질,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혈당, 혈색소 함량 및 효소(${\gamma}-GTP$, ALT, AST, ALP) 활성은 모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흰쥐의 간에서 얻은 총지질 함량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대조구보다 감귤피 급여구가 낮은 값을 보여(p<0.05), 감귤피 첨가 사료로 사육한 교잡종 돼지고기가 흰쥐 간의 중성 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the plane of nutrition during the latter grower and entire finisher phases on grow-finish pig performance in summer

  • Yang, Seung Won;Kim, Myeong Hyeon;Choi, Jung-Seok;Jin, Sang-Keun;Park, Man-Jong;Song, Young-Min;Lee, Chul Yo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1권1호
    • /
    • pp.10-17
    • /
    • 2019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lane of nutrition (PN) for growing-finishing pigs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summer. One hundred and two barrows and 102 gilts weighing approximately 44 kg were placed on a high-, medium-, or low-plane grower diet (HPG, MPG, or LPG) with ME and lysine concentrations ranging from 3.33 to 3.40 Mcal/kg and 0.93% to 1.15%, respectively, for 29 days in 6 replicates (pens) in total. Pigs from each grower pen were divided into two finisher pens and provided with a high-plane finisher diet (HPF) containing 3.40 Mcal ME and 9.5 g lysine/kg and a low-plane finisher diet (LPF; 3.25 Mcal ME and 8 g lysine/kg), respectively, up to approximately 110 kg, and slaughtered. Growth performance of the pigs, including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nd gain:feed ratio, was not influenced by the grower-phase PN during any of the grower phase, a 31-d finisher phase I, and ensuing phase II. However, both the ADG and gain:feed ratio were greater (p < 0.05) for the HPF group than for the LPF group during the finisher phase I (748 vs. 653 g with SEM = 13 g and 0.333 vs. 0.299 with SEM = 0.008, respectively). The ADG, but not gain:feed ratio, was greater for the HPF group vs. LPF during the finisher phase II (673 vs. 623 g with SEM = 15 g for ADG and 0.322 vs. 0.323 with SEM = 0.005 for the gain:feed ratio). The carcass backfat thickness (BFT) was greater for the LPF group vs. HPF within the pigs which had been placed on LPG during the grower phase, but not within the pigs from the HPG or MPG group.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longissimus dorsi muscle (LM) and sensory quality attributes of fresh and cooked LM were not influenced by either the grower-phase or finisher-phase PN. In conclusion, high PN is necessary for finishing pigs during the hot season to minimize the reduced rate of weight gain and also to prevent the increase of BFT that could result from low P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