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p pile scou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군말뚝 주변의 세굴 3차원 수치모의 (Three-Dimensional Computational Modeling of Scour around Pile Groups)

  • 김형석;박문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10호
    • /
    • pp.907-919
    • /
    • 2014
  • 본 연구는 LES와 유사이동 모형을 이용하여 군말뚝 주변 세굴과정 및 특성의 수치모의에 관한 내용이다. 군말뚝 주변에서 세굴 및 퇴적은 말뚝간격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무차원 말뚝간격이 3.75보다 작은 경우에는 군말뚝 주변 국부세굴 뿐만 아니라 단면축소세굴이 발생하였다. 반면 무차원 말뚝간격이 3.75 이상이면 단면축소세굴은 사라지고 각각의 말뚝에서 국부세굴만발생하였다. 상류에 위치한 말뚝에서 세굴 심변화는 단일 말뚝의 경우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지만 하류에 위치한 말뚝근처에서 세굴심은 상류말뚝 존재 때문에 세굴심이 낮게 나타났고 경향성도 상당히 다름을 보였다. 군말뚝 주변의 무차원 최대 세굴심은 말뚝간격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군말뚝 주변의 국부세굴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Local Scour Around Group Pile Foundation)

  • 윤병만;서정필;노영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641-64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군말뚝 교각 주위에서의 세굴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실험은 4개, 9개, 15개, 35개의 파일로 구성된 군말뚝에 대해 수행하여 파일수, 유속, 접근각에 따른 세굴형상, 최대세굴심의 깊이 및 위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4개 및 9개로 구성된 군말뚝의 경우 유속비와 상관없이 단일교각의 최대세굴심과 흡사하였고, 15개와 35개로 구성된 군말뚝의 경우 유속비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세굴심도 급격히 증가하여 단일교각 세굴심 의 약 2.2배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굴형태는 말뚝간격이 조밀해질수록 원형의 세굴공이 중첩되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75개의 파일로 구성된 군말뚝에 대한 접근각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세굴심은 접근각이 35$^{\circ}$에서 최대가 되었으며 이때의 세굴공은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일련연속교각, 다중연속교각, 말뚝군의 세굴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cour of Succession Row Piers, Multiple Row Piers and Pile Group)

  • 최한규;김인호;최용묵
    • 산업기술연구
    • /
    • 제20권A호
    • /
    • pp.123-129
    • /
    • 2000
  • As materials on the river bed have been changing through erosion, transportation and accumulation, so does the waterway's section. So many bridges have nowadays been constructed to the same direction as water flows. However further researches are still needed on the scours of succession row piers and multiple row piers. Analyzing them through hydraulic stimulation experiments, this study deals with the scour character with the change of diameters in row piers which have been built in the identical direction of water flow and also the part-scour character change in multiple row piers.

  • PDF

교각세굴을 고려한 말뚝기초의 해석 (Analysis of Piled Piers Considering Riverbed Scouring)

  • Jeong, Sang-Seom;Suh, Jung-Ju;Won, Jin-Oh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43-5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지반말뚝, 말뚝-말뚝캡, 그리고 말뚝-유체간의 상호작용 해석을 수행하여 교각세굴을 고려한 말뚝기초의 거동을 해석하였다. 지반-말뚝의 상호작용은 비선형 하중전이곡선(p-y, t-z, 그리고 q-z 곡선)을, 말뚝-말뚝캡의 상호작용에서는 군말뚝의 배열과 말뚝-말뚝캡 사이의 구속조건을 고려하였다. 말뚝유체의 상호작용은 세굴에 의한 지반의 강성 저하를 고려하여 지반-말뚝의 상호작용에 포함하여 해석하였다. 그 결과 세굴심이 깊어질수록 말뚝에 발생하는 최대 휨모멘트의 값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세굴에 따른 군말뚝의 안정성 평가에서는 지반-말뚝 및 말뚝-말뚝캡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해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선박충돌방지공이 설치된 해상교량의 교각 세굴 특성 분석 - 인천대교를 대상으로 - (Pier-Scour Characteristics of the Marine Bridge with Ship Impact Protection - Incheon Bridge Case -)

  • 여운광;지운;김창성;임종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03-211
    • /
    • 2008
  • 최근 들어 선박의 항로에 위치하고 있는 대형 해상교량의 건설이 활발해짐에 따라 선박충돌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교각 주변에 충돌방지공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충돌방지공 설치로 인해 교각의 세굴특성은 충돌방지공 설치 전의 교각 주변의 세굴양상과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돌방지공의 설치 유무에 따른 세굴의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인천대교를 대상으로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충돌방지공 설치 전의 고정상, 이동상실험을 통해 유황과 세굴심 및 세굴공 범위를 파악하였으며 또한 충돌방지공 설치 후 실험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충돌방지공으로 인한 교각 세굴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충돌방지공이 설치됨으로 인해 최대세굴심이 W1교각의 경우 약 0.24 m, W2+3+4교각의 경우 2.4 m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대세굴심의 발생위치는 W1교각의 경우 충돌방지공 설치 전 후가 동일한 위치에서 발생하였으나 W2+3+4교각의 경우 설치 후 최대세굴심이 교각주변이 아닌 충돌방지공 주변에서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