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er-Scour Characteristics of the Marine Bridge with Ship Impact Protection - Incheon Bridge Case -

선박충돌방지공이 설치된 해상교량의 교각 세굴 특성 분석 - 인천대교를 대상으로 -

  • Yeo, Woon-Kwang (Dept. of Civil & Environmental Eng., Myongji University) ;
  • Ji, Un (Dept. of Civil & Environmental Eng., Myongji University) ;
  • Kim, Chang-Sung (Dept. of Civil & Environmental Eng., Myongji University) ;
  • Lim, Jong-Chul (Dept. of Civil & Environmental Eng., Myongji University)
  • 여운광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지운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창성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임종철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More recently, the massive marine bridges in a ship passage have been constructed on the sea. Therefore, the ship impact protection for the bridge-piers are installe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vessel collision danger. Due to the ship impact protection, the pier-scour characteristics are changed in comparison with the condition without the ship impact protection (SIP). In this study, the physical modeling for the Incheon Sea-Crossing Bridge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pier-scour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the vessel collision protection. The rigid and movable bed tes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low pattern, scour depth, and scourhole with and without the ship impact protec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maximum scour depth is increased 0.24 m in W1 pier at the same location and 2.4 m in W2+3+4 piers due to the SIP installation. Especially, the maximum scour depth in W2+3+4 piers was occurred around the SIP.

최근 들어 선박의 항로에 위치하고 있는 대형 해상교량의 건설이 활발해짐에 따라 선박충돌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교각 주변에 충돌방지공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충돌방지공 설치로 인해 교각의 세굴특성은 충돌방지공 설치 전의 교각 주변의 세굴양상과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돌방지공의 설치 유무에 따른 세굴의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인천대교를 대상으로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충돌방지공 설치 전의 고정상, 이동상실험을 통해 유황과 세굴심 및 세굴공 범위를 파악하였으며 또한 충돌방지공 설치 후 실험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충돌방지공으로 인한 교각 세굴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충돌방지공이 설치됨으로 인해 최대세굴심이 W1교각의 경우 약 0.24 m, W2+3+4교각의 경우 2.4 m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대세굴심의 발생위치는 W1교각의 경우 충돌방지공 설치 전 후가 동일한 위치에서 발생하였으나 W2+3+4교각의 경우 설치 후 최대세굴심이 교각주변이 아닌 충돌방지공 주변에서 발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기석 (2002). S-SRICOS 방법: 점성토지반의 교각세굴깊이 예측,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18(2), 1-9
  2. 김창성, 곽문수, 여운광, 김정환 (2006). 조석환경에서의 교각 국부세굴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2290-2293
  3. 대한토목학회 (2004). 교량세굴의 예측과 대책: 수리/지반/구 조공학의 공동접근
  4. 삼성건설JV (2005a). 인천대교프로젝트 세굴조사보고서 (Package A), 18-88
  5. 삼성건설JV (2005b). 인천대교프로젝트 해양조사보고서, 29- 130
  6. 삼성건설JV (2007c). 인천대교프로젝트 세굴조사보고서 (Package B), 71-123
  7. 서석구, 이석용, 양병홍, 홍석주 (2007). 섬식 충돌보호공의계획과 설계, 대한토목학회지, 55(8), 39-49
  8. 여운광, 이종국 (1998). 실시간 해상 교량세굴 모니터링 시 스템의 운용,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 초록집, 51-55
  9. 여운광, 이훈, 김정환, 곽문수 (2006). 인천대교의 세굴심 산 정을 위한 다학제적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 문집, 562-566
  10. 우효섭 (2004). 하천수리학, 청문각
  11. 윤병만, 서정필, 노영신 (2001). 군말뚝 주변의 국부세굴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4(6), 641-649
  12. Briaud, J.L., Ting, F.C.K., Chen, H.C., Cao, Y., Han, S.W. and Kwak, K.W. (2001). Erosion Function Apparatus for Scour Rate Prediction,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127(2), 105-113 https://doi.org/10.1061/(ASCE)1090-0241(2001)127:2(105)
  13. Escarameia, M. (1998). Laboratory investigation of scour around large structures in tidal waters.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Hydro-Science and - Engineering, Cottbus, Germany, Vol III
  14. Jones, J.S. and Davis, S.R. (2007). Evaluating Scour for the Piers on the New Woodrow Wilson Bridge, Proceeding of the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Congress 2007, Tempa, Florida, U.S.A
  15. Richardson, E.V. and Davis, S.R. (2001). Evaluating scour at bridges. Report No. FHWA-IP-901-017, Hydraulic Engineering Circular No. 18(HEC-18), Third Edition, Office of Technology Applications, HTA-22,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U.S. Dept. of Transportation, Washington, D.C., U.S.A., November
  16. Yeo, W.K., Lee, H., Kim, C.S., Ji, U. and Lim, J.C. (2007). Hydraulic Physical Modeling for Marine Bridge Pier- Scour, Fif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Hydraulics,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