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tea powder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2초

산란계에 녹차 첨가 사료가 계란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Diet Containing Green Tea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ggs)

  • 조길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28-333
    • /
    • 2010
  • 녹차가 계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녹차 분말을 기존 산란계 사료(대조군)에 4%(A), 8%(B) 첨가하여 10주간 식이하게 한 후 생산된 계란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나타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Ca, K, P, Fe, Mg 등의 주요 무기질 함량은 계란의 부위(흰자, 노른자)에 관계없이 녹차 함량에 비려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무기질의 절대 양은 Mg 함량을 제외하면 흰자에서 보다는 노른자에 많았다. 무기질 원소의 증가 비가 가장 큰 원소는 흰자에서는 Ca이온으로 41.0 mg%에서 119.8 mg%로 2.9배 증가하였고, 노른자에서는 Fe이온으로 3.7 mg%에서 12.6 mg%로 3.4배 증가하였다. 계란의 평균 중량은 녹차 식이 양에 비례하여 감소(68.8 g에서 64.4 g)하는 경향이었고, 난황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1899.1 mg%∼2011.3 mg% 으로서 녹차 식이와는 유의 차이가 없었다. 흰자는 녹차 식이와 관계없이 떫은맛을 내고 옅은 회색을 나타내나, 노른자는 녹차 식이를 증가시킴에 따라서 약간 검붉은 색으로, 그리고 비린내가 적은 경향이었다. 계란의 수소이온농도 값은 녹차 식이 양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B 처리군의 흰자, 노른자 및 전체의 값은 각각 8.45, 5.96 및 7.66이었다. 계란 노른자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으로서 전체 지방산의 90% 이상을 차지하였고, 녹차 식이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포화지방산은 32.0%에서 27.4% 으로 감소하고, 불포화지방산은 68.0%에서 72.6% 으로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발효정도가 다양한 녹차의 첨가가 유과의 저장 중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 Powder with Different Fermentation Statu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during Storage)

  • 박재남;권석임;박진규;한인준;송범석;최종일;김재훈;변명우;김종군;이주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67-372
    • /
    • 2008
  • 본 연구는 발효정도가 다른 가루녹차 첨가가 유과의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불발효차(부초차, 옥로차), 반발효차(오룡차), 발효차(홍차)를 첨가하여 유과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유과샘플들은 수분, 조지방 함량 측정, 조직감 분석, TBA 측정, 관능평가에 사용하였다. 수분 및 조지방 함량에 있어 각각의 실험구들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조직감 역시 실험구들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또한 가루녹차가 첨가된 모든 실험구들에서 저장기간 동안 TBA 값의 증가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불발효차의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종합적인 관능적 수용도에 있어 불발효차가 반발효차와 발효차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불발효차 첨가가 유과 제조 시 품질 및 저장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s of Soil Selenium Supplementation Level on Selenium Contents of Green Tea Leaves and Milk Vetch

  • Kim, Dae-Jin;Chung Dae-Soo;Bai Sung-Chul C.;Kim, Hyeong-Soo;Lee, Yu-B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35-39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il selenium (Se) supplementation level on Se contents of green tea and milk vetch. Four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odium selenite ($Na_2SeO_3$) solutions (0.0, 3.3, 33.0 and 165.0${\mu}g/mL$) were prepared and one liter of each solution was well mixed with 10 kg of compost (cowpea soil) to give four different levels of Se-containing soil: $T_1$, 0; $T_2$, 33; $T_3$, 330; $T_4$, and 1,650${\mu}g$/100 g soil. Green tea plants and milk vetch were individually cultivated in those soils for 60 days. Se contents of freeze-dried green tea leaves were 6.87, 10.40, 12.04, and 20.19 ${\mu}g/g$, respectively; all of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from the others except for $T_2$ and $T_3$. The results showed that Se-contents of green tea leaves were increased 1.5$\sim$2.9 times as the Se level in the soil increased. Regression equation between Se contents in green tea (Y) and soil Se supplementation level (X) was: Y=0.007X+8.857. However, Se contents in the milk vetch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more with the same treatments $T_3$ (74 ${\mu}g/g$) and $T_4$ (187$\mu$g/g) in comparison to those at $T_1$ (5.0 ${\mu}g/g$) and $T_2$ (12.0$\mu$g/g). The increases ranged from approximately between 2.4 to 37.4 times that of the control group. Regression equation between Se contents in milk vetch (Y) and soil Se supplementation level (X) was: Y=0.1063X+15.989. The large difference of Se contents between green tea leaves and milk vetch would be attributed by the difference of protein contents between the 30% or higher protein-content of legumes and 15$\sim$20% protein of shrubs. The present study clearly indicates that green tea leaves and milk vetch can be enriched in selenium by supplementing the soil with Se. Therefore, Se-enriched green tea or milk vetch powder could be utilized as functional foods in Se-fortified green tea drinks or salads, or as food additives to enhance the daily intake of Se.

녹차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된 유과의 섭취가 마우스의 혈중지질 및 체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ukwa Containing Green Tea Powder on Lipid Composition and Body Weight Change in Mice)

  • 성낙윤;권석임;박재남;최종일;송범석;김재경;이주운;김재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7-182
    • /
    • 2011
  • 본 연구는 녹차가루가 포함된 유과의 섭취가 실험동물의 체중 및 혈중 지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원산지가 다른 총 5종의 녹차(부초차, 옥로차, 용정차, 우롱차, 홍차)를 첨가하여 유과를 제조한 후 사료와 혼합하여 마우스에 섭취시킨 결과 유과 단독 섭취군에 비하여 녹차가 첨가된 유과를 섭취한 실험동물에서 체중 및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간 조직 및 복부지방의 조직의 검경결과 간세포의 염증 억제, 복부 지방세포의 무게 및 크기 감소 등의 효과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유과의 제조 시 녹차가루의 첨가는 기존 유과가 지닌 단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DPPH 방법을 통한 녹차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Antioxidant Potency of Green Tea by DPPH Method)

  • 오중학;김은희;김정례;문영인;강영희;강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079-1084
    • /
    • 2004
  • 본 실험에서는 DPPH radical 소거능을 통하여 차잎의 수확시기 및 발효정도에 따른 항산화 활성에 있어서 변화를 비교하고 일상의 녹차 음용으로 섭취되는 항산화 물질을 EGCG 등의 함량으로 추정하고자 하였다. 우전과 같이 수확시기가 빠른 것이 다소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특히 볕가림 재배한 옥로가 일반 녹차에 비 해 적어도 비슷한 활성을 나타냈다. 중국의 반발효차에 있어서 발효정도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감소한데 비해 완전히 발효된 흥차의 경우 항산화 활성이 녹차의 수준으로 유지하였고, 이러한 홍차의 항산화 물질에 대해서는 보다 체계적 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분량 2그램의 녹차를3회 우려 마시는 경우 이로부터 섭취할 수 있는 항산화 물질은 EGCG 기준으로 109∼147 mg정도이고 비타민 C로는 142∼168 mg에 해당한다. 시판되고 있는 녹차티백은 제품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한 티백으로부터 52∼86 mg정도의 EGCG에 해당하는 항산화 활성을 보였는데 비타민 C로는 63∼96 mg에 해당한다. 증열과정이 긴 냉녹차나 차잎의 분량이 적은 현미 녹차가 낮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감잎차, 뽕잎차, 솔잎차에서도 적으나마 항산화 활성이 보인 반면 식 물의 뿌리 인 둥굴레 차는 항산화 활성 이 거의 없다. 전통적 인 방법으로 차를 3회 우려 마시는 경우 차잎 속에 포함된 항산화 물질의 절반정도가 용출되는 셈인데 가능한 분말차로 사용되는 것이 경제적일 수 있다. 세번째 우린 찻물에도 상당량의 항산화 물질이 함유된 반떤, 녹차 티백의 경우 3분이면 충분한 항산화 물질이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식품 속의 플라보노이드가 섭취되어 실제로 어느 정도 흡수되는가에 대해서 아직 이견이 있고 플라보노이드의 임상적인 효과에 대해 확실하지 않으나 역학적인 근거로는 긍정적이다. 천연의 항산화 물질을 자연스럽게 섭취하는 방법으로서 차의 음용을 생활화하는 것은 퇴행성 또는 노화관련 질환의 예방차원에서 바람직하리라 본다.

가루차용 차엽의 생육 및 성분 (Growth and Constituents of Tea Shoots for Powder Green Tea)

  • 박장현;임근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79-383
    • /
    • 2002
  • 차광한 차나무 잎의 엽위별 생육특성 및 차 품질 관련 주요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위엽으로 내려 갈수록 엽장, 엽폭, 백아중은 컸으나 엽수분은 감소하였다. 하위엽으로 내려갈수록 total nitrogen, caffeine, vitamin C, saponin 함량은 감소하였고, total amino acid, chlorophyll 함량은 4번 엽과 3번엽에서 각각 최대함량을 나타냈다. tannin은 $9.53{\sim}11.24%$로 1엽이 11.24%로 함량이 제일 많았고 4엽이 9.53%로 가장 적었다. fatty acid는 2엽에서 3,594mg/100g으로 함량이 가장 많았고, 5엽에서 2,782mg/100g으로 함량이 가장 적었다.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tic acid는 5엽에서 함량이 많았고, 불포화 지방산인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는 2엽에서 함량이 많았다. 이상 분석 결과로부터 15일간 차광한 후 채엽한 가루녹차 원료는 5엽까지 채취하여 제다해도 품질에 있어서 큰 문제가 없다고 생각된다.

고 콜레스테롤 식이 투여 흰쥐에 있어서 녹차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Green Tea in Cholesterol-Fed Rats)

  • 진현화;양정례;정종화;김양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7-51
    • /
    • 2004
  • 본 연구는 녹차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및 녹차 추출물인 catechin과 EGCG가 hypocholesterolemic 효과에 미치는 정도를 식이로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한 흰쥐에서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4주령의 수컷 SD계 흰쥐를 난괴법에 따라 각 군당 5마리씩 무녹차섭취군(대조군), 4% 녹차분말군(GTP), 1% 녹차 catechin군(Catechin),0.5% 녹차 EGCG군(EGCG)의 4군으로 7주간 사육을 하였다. 녹차 첨가군은 모두 0.5% EGCG를 함유하도록 녹차 첨가량을 결정하였으며 모든 식이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하기 위하여 1% cholesterol과 0.5% cholic acid를 첨가하였다. 식이섭취량은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청 총 및 LDL-콜레스테롤 수준은 Catechin군이 189.2 mg/dL, 166 mg/dL, EGCG군에서는 161.4 mg/dL, 138 mg/dL로 나타나 대조군(245 mg/dL, 222 mg/dL)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p<0.05), EGCG군에서 그 효과는 더욱 크게 나타났다. 혈청의 중성지방농도는 녹차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낮았으며 EGCG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HDL-콜레스테롤 수준은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녹차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HDL/LDL-콜레스테롤 비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녹차섭취군에서 증가하여 EGCG군에서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녹차의 섭취가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감소하고, HDL-콜레스테롤은 증가시킴으로써 동맥경화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다. 간에서의 CYP7Al활성과 유전자 발현정도는 Catechin군, EGCG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EGCG군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여 혈청에서의 지질수준 감소 경향과 일치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들은 녹차 섭취군에서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특히 EGCG군에서의 현저한 hypocholesterolemic 효과는 CYP7Al 유전자 발현 및 효소의 활성증가에 따른 콜레스테롤의 담즙산으로의 배설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마늘분말을 이용한 간편한 tea-bag형 침출차의 개발 (Development of Formulation of Ten-bag Type Garlic Tea)

  • 신진희;오남순;인만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279-283
    • /
    • 2003
  • 향신료로 널리 사용되는 마늘을 이용하여 마늘 특유의 맛과 향을 조절하여 쉽게 음용할 수 있는 tea-bag type침출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주재료인 마늘은 생마늘을 고온에서 구운 것보다 50℃에서 건조한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관능적으로 우수하였다. 단맛의 소재로 당전이 스테비아 감미료를 사용하여 마늘의 맛과 향을 masking할 수 있는 첨가물을 선발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녹차, 둥굴레, 칡이 선발되었으며, 이들을 2종류씩 혼합한 경우 masking 효과는 두 종류의 부재료를 동량으로 사용한 실험구가 우수하였다. 마늘의 농도는 건조분말로 20∼30%, 스테비아 감미료의 농도는 1%가 적당하였다. 총 3종류의 formulation을 확립하였으며 관능적으로도 큰 차이는 없었다. 시판중인 현미녹차와 품질(색도, 탁도, 고형분 농도)을 비교한 결과 색도는 현미녹차가, 탁도와 고형분 농도는 마늘차가 우수하였다.

  • PDF

갓김치의 녹차 및 늙은호박분말 첨가에 따른 발효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stard Leaf Kimchi Added Green Tea and Pumpkin Powder)

  • 한지숙;박민정;전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5-221
    • /
    • 2001
  • Mustard leaf kimchi added different ratios of pumpkin powder(P) and green tea powder(G)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changes of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during fermentation at 5℃. The pH and total acidity were changed slowly until 20 days, and then changed rapidly for 20∼40 days in all mustard leaf kimchi groups. The pH and acidity of mustard leaf kimchi added 0.5% G was the most slowly changed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Reducing sugar content was highest in mustard leaf kimchi added 0.5% P at early stage of fermentation, but the reduing sugar content of this mustard leaf kimchi group was decreased more rapidly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during fermentation. The number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otal bacteria were highest in 0.5% P added group and lowest in 0.5% G added group. The mustard leaf kimchi added 0.3% P and 0.2% G was relatively high in number of Leuconostoc sp., on the contrary low in Lactobacillus s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during fermentation. Changes of Hunter's color values, especially yellowness, and hardness were smaller in each mustard leaf kimchi added 0.5% G, and 0.3% P and 0.2% G than the other groups. Sensory scores of taste, odor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highest in mustard leaf kimchi added 0.3% P and 0.2% G.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mustard leaf kimchi added 0.3% P and 0.2% G was the best group among mustard leaf kimchi groups.

  • PDF

녹차로부터 EGCG(Epigallocatechin Gallate)의 추출 및 정제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from Green Tea)

  • 강지훈;박영광;정성택;노경호
    • KSBB Journal
    • /
    • 제14권5호
    • /
    • pp.517-522
    • /
    • 1999
  • 실험에 사용된 녹차는 전남 보성에서 재배된 것으로 국내시장에서 구입하였다. 녹차 5g을 순수한 물 5$0^{\circ}C$에서 추출한 후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배하였다. 추출액을 크로마토그래픽 컬럼 (4.6$\times$250 mm, 15$\mu\textrm{m}$, Lichrospher 100RP-18)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추출액으로부터 $\mu$-Bondapak $C_18$(3.9$\times$300mm, 10$\mu\textrm{m}$) 컬럼을 이용하여 녹차에 포함된 카테킨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EGC(Epigallocatechin, C(catechin), EC(Epicatechin),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and ECG(Epicatechin Gallate)의 순으로 용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는 목적물질인 EGCG를 분리하기 위해 이동상의 조성은 0.1%의 아세트산이 포함된 물/아세토나이트릴, 87/13 %(v/v)이었다. 유량은 1.0 $m\ell$/min, UV 검지기는 280nm로 고정하였다. 위의 실험조건으로 5g의 전남 보성산 녹차로부터 순도 98% 이상의 121.3mg EGCG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