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tea powder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34초

당의 종류와 녹차가루 첨가량에 따른 육포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According to the Kinds of Saccharides and the Concentrations of Green Tea Powder)

  • 박금순;이선주;정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30-235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 전통적 인 육포제조법을 이용하여 일반화되지 않은 육포제조와 기호적인 제한점을 보완하고 건강, 기호식품인 녹차를 첨가하여 육포를 제조하여 품질특성과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육포의 수분함량은 당을 첨가한 육포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올리고당을 첨가한 육포군이 다른 당을 첨가한 군보다 수분 함량이 높았다. 또 녹차가루 함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증가되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아미노산의 함량은 필수아미노산에서는 leucine, isoleucine, lysine이, 비필수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순으로 높았다. 관능검사에서 색과 견고성은 녹차가루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촉촉함은 꿀 첨가군이 설탕, 올리고당을 첨가한 군보다 높았다. 색도 측정에서는 녹차가루 첨가량이 높을수록 명도값(L)은 낮았고 적색도(a), 황색도(b)은 높았으나 당의 종류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 기계적 측정에서 견고성은 녹차가루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았고 꿀 첨가군이 설탕, 올리고당을 첨가한 육포군보다 높았다. 점착성와 파쇄성은 녹차가루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되었으며 꿀, 설탕, 올리고당을 첨가한 육포군은 대조군보다 낮았다. 탄력성은 녹차가루함량이 증가할수록 낮았으나 녹차가루 3%군은 대조군보다 다소 높았다. 관능검사간의 상관관계에서 색은 향기, 연화성과 정의 관계이고 맛은 촉촉함, 전반적인 기호도와 정의 관계로 유의성이 있었다.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의 상관관계는 관능검사의 촉촉함은 기계적 검사의 명도값(L), 응집성 , 탄력성과 정의 관계를, 견고성, 점착성과는 부의 관계를 보였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설탕과 녹차가루 3%를 첨가하여 제조한 육포군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가루녹차가 요구르트 균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Growth of Lactic Culture)

  • 정다와;남은숙;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5-333
    • /
    • 2005
  • 가루녹차를 첨가한 기능성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가루녹차의 농도별 첨가가 요구르트 균주의 증식 및 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루녹차를 첨가한 skim milk 배지에 Streptococcus tho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를 단독 균주 및 혼합 균주로 접종하여 배양하면서 생 균수와 pH 및 적정산도를 측정하였다. 단독균주의 경우 가루녹차의 첨가 농도($0.5\%,\;1.0\%,\;1.5\%,\;2.0\%\;and\;2.5\%$)를 달리하였을 때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casei는 가루녹차 첨가에 의해 증식 효과는 아주 미비하였으나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Lactobacillus acidophilus는 배양 9시간부터 가루녹차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균수를 보이며 약간의 생육 촉진 효과를 보였고, 배양 12시간부터 pH가 하락하였고 적정산도는 상승하였다. 그러나 가루녹차의 첨가량에 따른 생육과 산 생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혼합 균주의 경우, 단독균주로 배양하였을 때보다 가루녹차에 의한 유산균의 증식이 촉진되었다.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acidophilus는 가루녹차 $0.5\%$$1.0\%$ 첨가시, 배양 15시간 후에 각각 $1.5\times10^9$ CFU/mL, 또한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casei는 가루녹차 $0.5\%$ 첨가시 배양 12시간 후 $1.4\times10^9$ CFU/mL, $1.0\%$ 첨가시에는 배양 15시간 후에 $1.5\times10^9$ CFU/mL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pH 저하와 적정산도 상승이 뚜렷하였다. 따라서 가루녹차 첨가 기능성 요구르트 제조시 가루녹차를 $0.5\~l.0\%$ 첨가하여 유산균을 혼합균주로 사용하는 것이 이들 유산균의 증식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 조건을 달리한 감잎과 녹차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이 노령쥐의 지방대사와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and Green Tea Different Conditions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12-month-old Rats)

  • 김성경;이혜진;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5호
    • /
    • pp.499-512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dried leaf powders, water, 75% and 95%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and green tea on lipid metabolism,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in 12-month-old rats. Fifty-four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542$\pm$4.5g were blocked into groups according to their body weight and were raised for four weeks with the diets containing 5%(w/w) dried leaf powders of persimmon(Diospyros kaki Thunb) and green tea(Camellia Sinensis O. Ktze), water or 75% and 95% ethanol extracts from same amount of each dried tea powder. Food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but weight gain of green tea powder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Plasma and liver lipid levels of all the tea diet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Especially, 75% ethanol extract of persimmon leaf decreased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in plasma and 95% ethanol extract of persimmon leaf decreased liver total lipid level.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75% ethanol extracts groups and 95% ethanol extracts groups in lipid metabolism. Superoxide dismutase(SOD) and catalase activities in erythrocyte were remarkably increased by all the green tea diets. 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in liver were increased by the feeding of ethanol extracts from green tea and persimmon leaf powder. Liver xanthine oxidase activity was not different among all groups. Plasma Thiobarbirut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concentrations of all the green tea diet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 It was thought that high flavonoids in green tea inhibited plasma lipid peroxidation by promoting SOD, catalase activities in erythrocyte. 95% ethanol extract of persimmon leaf also inhibited plasma lipid peroxidation by high vitamin E and beta-carotene. Persimmon leaf powder decreased liver TBARS concentration by vitamin E, betacarotene and vitamin C and by increasing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with flavonoids. In conclusion, dried leaf powders, water, 75% and 95%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and green tea were effective in lowering lipid levels and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in 12-month-old rats. Above all,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decreased plasma and liver lipid levels and persimmon leaf powder effectively inhibited liver lipid peroxidation. Extracts of green tea leaf inhibited plasma lipid peroxidation. In lowering lipid levels and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ethanol extracts were more effective than water extrac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75% ethanol extracts and 95% ethanol extracts in lipid metabolism. (Korean J Nutrition 34(5) : 499~512, 2001)

  • PDF

가루녹차를 첨가한 설기떡이 저장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Sulgiduk Added Green Tea Powder during storage)

  • 이순재;홍희진;최정화;최경호;최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064-1068
    • /
    • 1999
  • This study was quality changes of sulgiduk added green tea powder during storage. Sulgiduk prepa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green tea powder; 0%(control group), 0.5%(GT 0.5 group), 1%(GT 1.0 group), 1.5%(GT 1.5 group), 2%(GT 2.0 group), and the changes of its quality during 7 days of storage were investigated. Total microbe numbers, the acidity and pH in sulgiduk during storage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added amounts of a green tea powder, and especially those of GT 1.0 and GT 1.5 groups had relatively the lower than other groups. The "L" value(lightness) of the control group was the highest among five groups, and its value was decreased throughout storage, and especially GT 0.5 groups had the lowest brightness. The "a" value(reddness) of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other four groups, and increased GT 2.0>GT 1.5>GT 1.0>GT 0.5 groups, in that order. The "b" value(yel lowness) was increased in the order; GT 2.0>GT 1.5>GT 1.0>GT 0.5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T 1.0 group showed the best quality than other groups of sulgiduk during storage. of sulgiduk during storage.

  • PDF

화개지역 녹차분말의 성분 분석 및 품질특성 (Compon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wdered Green Tea Cultivated in Hwagae Area)

  • 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6-42
    • /
    • 2005
  • 화개지역 4곳의 농가에서 재배한 재래종 녹차를 제다회사에서 녹차분말로 제다하여 일반성분, 비타민 C함량, 무기질 성분을 분석하였다. 녹차의 품질은 색차계로 녹차의 색도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녹차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은 $9.2\%\~l1.8\%$, 조회분은 $4.9\~6.1\%$, 조지방 함량은 $5.2\~6.3\%$, 단백질 함량은 $22.5\~26.43\%$, 탄수화물은 $50.4\~55.1\%$를 차지하였다. 녹차분말의 총 비타민 C함량은 $312\~392mg/100g$이었으며 산화형이 $155\~224mg/100g$로서 비타민 C함량의 $48\~55\%$를 차지하였다. 녹차의 무기질 함량은 나트륨$(340\~580mg/100g)$, 마그네슘$(242\~320mg/100g)$, 칼륨$(223\~278mg/100g)$, 칼슘$(145.7\~238.7mg/100g)$의 순서로 함량이 높았다. 녹차의 폴리페놀 함량은 $7.8\%\~9.3\%$로서 녹차A가 가장 높고, B가 $7.8\%$로 가장 낮았고, C와 D는 각각 $8.5\%,\;8.8\%$로 큰 차이가 없었다. 녹차의 색상은 명도(L) $52.3\~69.6$, 황색도(b)는 $14.23\~23.34$, 적색도(a)는 A가 $0.11\~-5.61$로서 녹차 C와 D가 녹차 A와 B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우수한 색상을 나타내었다. (p<0.05). 녹차분말의 관능검사 결과, 맛을 제외한 색, 향, 뒷맛, 총괄평가에서 녹차 D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p<0.05) 다음으로는 녹차 C가 색, 향, 총괄평가에서 녹차 A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5). 전체적으로 단백질과 비타민 C함량이 높은 녹차분말 C와 D가 색상과 관능검사에서도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녹차 건분이나 항산화 비타민 보충이 9개월령과 12개월령 흰쥐의 부위별 뇌조직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r Antioxidant Vitamin Supplementation on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9 Month- and 12 Month-old Rat Brain Regions)

  • 장남수;최지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4호
    • /
    • pp.431-43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녹차 건분 식이나 항산화 비타민 보충식이가 뇌 조직의 항산화능 증진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보고자, 생후 9개월령과 12개월령 Sprague-Dawley종 실험동물에게 3% 녹차 건분식이와 항산화 비타민 보충식이를 3주간 공급하였다 희생 후 뇌 조직을 대뇌, 소뇌, 선조체, 해마로 나누어 malondialdehyde (MDA)의 함량과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SOD) , glutathione peroxidase (GSH-Px)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3% 녹차 건분 식이의 공급은 선조체 내 SOD활성과 대뇌 내 GSH-Px활성을 12개월령에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녹차군과 항산화 비타민군의 항산화능에는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가령에 따라 부위별 뇌조직의 MDA 함량은 증가하였고, GSH-Px 활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3% 녹차 건분 식이의 항산화능 증진효과가 녹차 건분에 함유된 항산화 비타민에 기인한 것일 수 있으며 , 가령에 따라 항산화 효소 활성의 변화가 효소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상대습도 및 저장 온도가 분말녹차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lative Humidity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Green Tea Powder)

  • 이정민;임상욱;조성환;최성길;허호진;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3-88
    • /
    • 2009
  • 분말 녹차를 상대습도(23, 69, 81%)와 온도(-20, 4, $20^{\circ}C$)를 달리하여 3달간 저장한 후, 1.5 g에 100 mL을 첨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여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바놀 함량, 아스코르브산 함량, 카테킨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상대습도 23%, $4^{\circ}C$의 조건에 저장한 경우에서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바놀 함량, 아스코르브산 함량이 가장 높았는데 각각 287.1mg/g, 44.9 mg/g, 36.9 mg/g의 값을 보였다. 이는 저장 초기의 각각의 측정값인 267.5 mg/g, 49.4 mg/g, 24.2 mg/g에 비해 총 페놀과 아스코르브산은 증가하였고, 총 플라바놀 함량은 감소하였다. 카테킨류의 경우에도 상대습도 23%, $4^{\circ}C$에 저장하였을 때 가장 높았는데 주된 카테킨인 EGC와 EGCG는 초기의 16.9와 27.3 mg/g에서 3달 후에는 각각 24.3과 36.5 mg/g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카페인도 같은 조건에서 초기의 20.7 mg/g에서 3달 후에는 30.7 mg/g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상대습도가 높고 온도가 $-20^{\circ}C$$20^{\circ}C$에 저장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각 성분들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분말 녹차의 상대습도와 저장 온도가 녹차의 품질 보존에 매우 중요하며, 낮은 습도에서 냉장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 녹차의 품질 유지에 유리함을 의미한다.

녹차 건분이 고지방식이 급여에 의한 흰쥐의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ied Green Tea Leaf Powder of Serum on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High Fat)

  • 김덕희;한성희;신미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6-234
    • /
    • 2003
  • The effects of dried green tea leaf powders on serum lipid concentrations were evaluated in rats. Sixty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00{\pm}10g$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nd fed high fat diets for six weeks. Experimental groups were administered with following diets; Normal fat diet and normal and high fat diets with 1% dried green tealeaf powders. Tissue weights of liver, lung, stomach, heart, kidney and spleen of high fat diet exposed rats were reduced by dried green tea leaf powders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riglyceride in rats fed the dried green tea leaf powders were lower than those in other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in green tea leaf powders the were lower than those in high fat diet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HDL-cholesterol in serum of the dried leaf powders green te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 levels of LDL-cholesterol in serum of the dried green tea leaf powders groups were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GPT and GOT were decreased in dried green tea leaf powders groups and than in the high fat group. LDHase was lower in the dried green tea leaf powders groups than in the high fat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dried leaf powders green tea groups may reduce elevated levels of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high fat diets.

녹차 건분이 급성 알코올 투여받은 9개월령 흰쥐의 뇌 부위별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tive Effects of Green Tea Powder Diet Against Ethanol-Induced Oxidative Damage in 9 Month Old Rat Brain Regions)

  • 류선미;장남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1호
    • /
    • pp.24-2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녹차 건분 식이가 뇌 조직에서 알코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감소효과를 나타내는 지를 규명하고 자, 생후 9개월령 Sprague-Dawley에게 1% 녹차 건분식이를 4주간 공급하고 희생 12시간 전메 급성으로 알코올을 투여한 후 뇌 조직을 cortex, cerebellum, striatum, hippocampus로 나누어 malondialdehyde(MDA)의 함량과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GSH-Px)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1%녹차 건분 식이의 공급은 striatum과 hippocampus 내 MDA 함량을 유의적으로 낮추고 알코올에 따른 hippocampus 내 catalase 활성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곁과는 녹차 건분의 공급이 알코올로 산화적 stress를 가한 동물에서 일부 뇌 조직의 지질 산화를 감소시키고 알코올에 의한 뇌 조직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녹차를 이용하여 재배한 팽이버섯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Cultivated with Green Tea)

  • 이란숙;차환수;박종대;장대자;김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90-194
    • /
    • 2008
  • 팽이버섯 배지에 녹차 분말 또는 녹차 조카테킨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팽이버섯 자실체를 형성시킨 후 자실체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버섯의 수확량은 무첨가구에서 최고의 수량을 보였으며 녹차분말 10% 첨가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낸 반면, 경도는 무첨가구에서 가장 낮았고 녹차 분말 5% 및 10% 첨가구와 녹차 조카테킨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카테킨 및 카페인 함량 분석은 팽이버섯 추출물을 용매분획한 후 HPLC로 정량한 결과, 모든 시험구에서 카테킨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 또한 각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카테킨 등 폴리페놀성 물질의 팽이버섯으로의 이행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카페인은 팽이버섯으로 이행되어 녹차 분말 무첨가구는 $2.12\;{\mu}g/g$, 녹차분말 10% 첨가구는 $196.23\;{\mu}g/g$이 검출되었다.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패턴 분석 결과는 녹차 첨가에 의해 머무름 시간 3초와 6초 사이에 새로운 peak가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녹차 10% 첨가구에서는 뚜렷한 향기의 변화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팽이버섯 배지에 녹차분말 또는 녹차 조카테킨 추출물 첨가에 의해 버섯의 경도가 증가되었으며 녹차 성분 중 카페인이 이행되어 새로운 기능성 버섯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