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vine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3초

국내 포도나무 혹병(Agrobacterium vitis) 균주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Agrobacterium vitis Strains in Korea)

  • 김종군;최재을;강희완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37-144
    • /
    • 2007
  • 거봉 포도나무에 혹병을 일으키는 A. vitis 균주간의 DNA 다양성 평가를 하기 위하여 12종류의 URP primer 적용 성을 조사한 결과 URP1F, URP2F, URP2R, URP4R, URP17R primer가 균주 간 DNA 다형성검정에 유용하였다. 국내외에서 분리한 59 A. vitis 균주를 URP-PCR 증폭하였던 바 균주간의 매우 다양한 PCR 다형성 밴드를 형성 하였으며 12 strain type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거봉포도로부터 분리된 A. vitis 균주는 4 strain type의 비교적 단순한 유전적 다양성으로 나타났으나, 거봉이외의 다른 포도 품종이나 국외에서 도입된 A. vitis 균주는 8 strain type의 많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여 거봉품종 유래 국내 균주와는 PCR 다형성 type에 있어 차이점을 보였다. URP-PCR 다형성 밴드를 집괴 분석하여 UPGMA dendrogram을 작성한 결과 7개의 대 Group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그룹 간에는 $62{\sim}100$%까지 다양한 유전적 유사성이 나타났다.

포도에 발생하는 장님노린재(노린재목, 장님노린재과)의 종류, 피해 및 기주식물 (Mirid Bugs (Heteroptera: Miridae) on Grapevine: Their Damages and Host Plants)

  • 이승환;이관석;고현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3-41
    • /
    • 2002
  • 포도의 장님노린재 피해조사 결과 전국 159개 조사포장 가운데 113개의 포장에서 피해가 확인되었으며(발생포장율 71%), 산간지 등 격리된 소규모 재배지보다는 김포, 안성, 나주, 김천. 부여. 대전, 예산 등 포도 집단재배지에서 피해가 심했고. 1999년의 경우 심한 포장의 피해순율이 나주에서 85%, 김포에서 65%에 달했다. 포도나무의 생육초기에 발생하는 장님노린재의 종류로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초록장님노린재, 명아주장님노린재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가 다른 종보다 채집개체수에서 월등히 많았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는 거의 전국적으로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기주식물로는 애무늬장님노린재의 경우 포도, 살구나무, 벚나무 등 10종이 확인되었으며, 초록장님노린재는 더위지기, 쑥 등 10종이 확인되었다.

PCR 특이검출에 의한 국내 포도나무 혹병(Agrobacterium vitis) 균주의 신속 분리 및 병원학적, 생화학적 특성 비교 (PCR based Rapid Isolation of Agrobacterium vitis Strains in Korea and Their Pathogen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 김종군;임선화;이대성;최재을;윤해근;박상헌;강성수;강희완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205-212
    • /
    • 2006
  • 2002년에서 2005년 동안 경북김천, 천안, 경기지역의 포도재배지로부터 채집한 300여점의 포도 혹병반으로부터 A. vitis의 PCR 특이검출 Phe A primer를 이용하여 포도혹병균의 대량분리를 실시하여 0.25kb의 PCR 특이밴드가 증폭된 51균주가 포도 혹병균으로 선발되었다. 이 균주들을 Ti-Plasmid 유래의 Vir A primer로 적용한 결과 40균주에서 0.5kb의 특이밴드가 검출되었다. 거봉포도와 당근절편에서 다양한 양상의 병원성을 보였으며 25균주가 거봉포도에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균주는 약하거나 비 병원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분리한 10개 균주를 대상으로한 세균의 이화학적 특성은 균주간에 약간은 달랐으나, 3-Ketolactose의 비생성, 2%NaC 첨가 배지에서의 성장, Melezitose로부터의 산을 생성하지 못하는 등 비교균주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PheA and Vir A primer를 이용하여 Agrobacterium vitis 균주를 대량 분리할 수 있으며 신속,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포도원에서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Apolygus spinolae(Meyer-Dur))방제체계 (Management Strategies for Apolygus spinolae(Hemiptera: Miridae) in Grapevine Yards)

  • 김동순;조명래;전흥용;임명순;최용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7-73
    • /
    • 2002
  • 포도에 피해를 주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에 대한 효과적인 방제약제를 선발하고 방제체계를 수립하기 위하여 몇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농가에서 살포한 약제들 중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Chlorpyrifos, Parathion, Fenvalerate, Esfenvalerate.Fenitrothion 등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포장실험에서 Fenitrothion과 Chlorpyrifos는 각각 94.8과 91.6%의 좋은 방제가를 보였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에 대한 약제처리 시기 및 방제횟수가 과실수량(평균 상품화 과방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잎 전개기 1회 방제구 466.0g, 꽃송이 분리기 1회 방제구 460.7, 잎 전개기 및 꽃송이 분리기 각 1치 방제구465g, 잎 전개기, 꽃송이 분리기, 그리고 착과기 각 1회 방제구 487.4g으로 무처리구 418.2g보다 높았다. 방제비용을 감안할 때 잎 전개기 1회 방제는 잎 전개기 및 꽃송이 분리기 각 1회 방제(2회 살포)보다 효과가 높았으며, 잎 전개기, 꽃송이 분리기, 그리고 착과기 각 1회 방제(3회 살포)와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포도원에서 잎 전개기(2~3엽기 =3~4엽이 보이는 시기)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적기방제는 경제적으로 타당성이 있었으며, 기타 관리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우리나라 포도나무 줄기혹병 병원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Bacteria of Grapevine Crown Gall in Korea)

  • 정광진;심재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7-201
    • /
    • 1996
  • 우리나라 포도재배 지역인 포천, 남양주 및 수원의 포도나무 줄기혹병에 이병된 포장으로부터 채집한 줄기혹(gall), 수액(sap) 및 근권토양으로부터 56균주의 유사 Agrobacterium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중 7균주가 포도나무 유묘의 줄기에 혹ㅇ르 형성시키는 병원성 Agrobacterium biovar의 선택배지에서의 생장, oxidase의 생성, Na L-tartrate로부터 알칼리의 성장, 2% NaCl 첨가 배지에서 생장, 3-ketolactose의 비생산, mesoerythritol과 ethanol로부터 산을 생성하지 못하는 등 Agrobacterium biovar 3인 A. vitis로 동정되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Grapevine leafroll-associated virus 3 Ampelovirus from Grapevines in Korea

  • Kim, Hyun-Ran;Lee, Sin-Ho;Lee, Bong-Choon;Kim, Yeong-Tae;Park, Jin-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127-130
    • /
    • 2004
  • Grapevine leaf roll-associated virus 3 (GLRaV-3)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iral diseases of grapevine in the world. In this study, GLRaV-3 Ampelovirus was identi-fied from grapevines in Korea by analyzing viral coat protein size, nucleotide, and amino acid sequences. The molecular weight of viral coat protein from virus-infected in vitro plantlets was determined by western blot using a commercial GLRaV-3 polyclonal antibody.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a coat protein of about 43 kDa. RT-PCR product of about 942 bp which encoded the coat protein (CP) gene was amplified with specific primers. When the viruses existed at low titers in the host plant, the dsRNA had very specific template in RT- PCR amplification of fruit tree viruses. Especially, small-scale dsRNA extraction method was very reliable and rapid. Sequenc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P of the GLRaV-3 Ko consisted of 942 bp nucleotide, which encoded 314 amino acid residues. The CP gene of GLRaV-3 Ko had 98.9% nucleotide sequence and 98.7% amino acid sequence identities with earlier reported GLRaV-3. This is the first report on molecular assay of GLRaV-3 Ampelovirus identified from Korea. The GLRaV-3 Ko CP clone would be very useful for breeding of virus resistant grapevines.

Vegetative Compatibility Grouping and Pathogenicity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s from Different Host Plants

  • Ahn, Il-Pyung;Kim, Soonok;Im, Kyung-Hwan;Lee, Yong-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6호
    • /
    • pp.269-273
    • /
    • 2003
  • A total of 57 isolate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were recovered from diseased tissues of Hall's crab apple (Malus haliana), 3 cultivars of edible apple (M. pumila var. dulcissima), red pepper (Capsicum annum), and grapevine (Vitis vinifera) fruits. All isolates showed strong virulence on their own host plants. Isolates from edible apple exhibited high level of cultivar specificity in pathogenicity tests. Ten isolates from apple cultivar 'Fuji' were virulent on 'Jonathan' and 'Rall's Genet'. However, 12 isolates from 'Jonathan' and 'Rall's Genet' were not virulent on 'Fuji'. Among the 24 isolates from red pepper, only seven and two isolates were infective on edible apple and grapevine fruits, respectively. All six isolates from grapevine were only virulent on their own host. These isolates were grouped into five vegetative compatibility groups (VCGs), A, B, C, D, and E, by demonstrating heterokaryosis through complementation using nitrate-nonutilizing (nit) mutants. Among them, isolates belong to VCG-A and VCG-D accounted for 24 and 17 isolates; those in VCG-A exhibited wide host range involving Hall's crab apple, all three edible apple cultivars, and red pepper. On the other hand, isolates of VCG-D and VCG-E showed limited host range specific to red pepper and grapevine, respectively. Taken together, the data suggest that among C. gloeosporioides isolates, the concepts of pathotype and/or forma specialis may exist, and that three is a relationship between host specificity and VCG grouping among C. gloeosporioides isolates.

포도나무 줄기 혹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grapevine crown gall)

  • 정광진;심재섭;정봉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7-101
    • /
    • 1998
  • 최근에 재배면적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포도에 난방제 병해인 줄기혹병의 길항세균을 선발하여 생물학적 방제의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포도 줄기혹병 이병포장으로부터 채취한 토양에서 길항균 strain 27를 선발하여 in vitro 및 in vivo bioassay결과 biovar 1 병원균인 A. tumefaciens C58과 Ach5, biovar 2 병원균인 A. rhizogenes 13264 및 biovar 3 병원균인 A. vitis 등을 모두 억제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Strain 27의 세균학적 특성은 pAgK84와 비슷한 크기(46 Kb)의 plasmid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Production of Polyclonal Antibody against Grapevine fanleaf virus Movement Protein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 Koolivand, Davoud;Bashir, Nemat Sokhandan;Behjatnia, Seyed Aliakbar;Joozani, Raziallah Jafar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5호
    • /
    • pp.452-459
    • /
    • 2016
  • The genomic region of Grapevine fanleaf virus (GFLV) encoding the movement protein (MP) was cloned into pET21a and transformed into Escherichia coli strain BL21 (DE3) to express the protein. Induction was made with a wide range of isopropyl-${\beta}$-D-thiogalactopyranoside (IPTG) concentrations (1, 1.5, and 2 mM) each for duration of 4, 6, or 16 h. However, the highest expression level was achieved with 1 mM IPTG for 4 h. Identity of the expressed protein was confirmed by sodium dodecyl sulph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followed by Western blotting. The expressed 41 kDa protein was purified under denaturing condition by affinity chromatography, reconfirmed by Western blotting and plate-trapped antige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PTA-ELISA) before being used as a recombinant antigen to raise polyclonal antibodies in rabbits. Purified anti-GFLV MP immunoglobulines (IgGs) and conjugated IgGs detected the expressed MP and GFLV virions in infected grapevines when used in PTA-ELISA, double antibody sandwich-ELISA, and Western blotting.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production of anti-GFLV MP polyclonal antibodies and application for the virus detection.

포도나무 갈색무늬병의 최근 발생 동향과 다발생에 의한 과실의 당도저하 (Occurrence Tendency and Decrease of Fruits Brix According to Increasing Grapevine Leaf Spot Disease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 박종한;한경숙;이중섭;서상태;장한익;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341-344
    • /
    • 2004
  • Pseudocercospora vitis에 의한 포도나무 갈색 무늬병은 우리나라 포도 재배지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병의 하나로 잎에 부정형 또는 원형의 갈색 무늬를 형성하며 병반의 크기는 2${\sim}$20mm 정도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하고 있는 캠벨얼리 포도는 특히 이 병에 감수성이며 방제 상황에 따라서는 95%까지 심하게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포도의 주요 병이다. 심하게 병에 걸린 나무는 조기낙엽과 동화산물의 이동에 영향을 미쳐 생육과 이듬해 꽃눈형성이 억제되기도 하며, 과실의 당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갈색무늬병의 피해해석을 구명하기 위해 포도나무의 발병엽률을 누적하여 "누적 발병엽률"을 산출하고, 이를 3개 집단으로 구분한 뒤 각 집단에 속하는 나무에서 수확한 포도의 당도를 측정한 결과 '상대적 당도'로 환산한 결과를 분석하여 Y = 0.0009$X^2$ - 0.371X + 116.45 ($R^2$ = 0.98)의 고도로 유의한 회귀식을 유도하였고, 이 방정식에 대입하여 병 발생이 심했던 집단의 나무에서 수확한 포도와 상대적으로 발생이 적었던 집단과는 약 20%의 당도차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