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 seed extract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47초

포도 추출물들의 자유 라디칼 소거 작용 마우스 대식세포주의 염증 발현 매개 인자들에 대한 생성 억제 효과 (Effects of Grape Extracts on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in Mouse Macrophage Cells)

  • 민혜영;박은정;이상국;조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2-137
    • /
    • 2003
  • 국내에서 생산된 거봉 및 캠벨 포도의 씨, 줄기 및 껍질 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 작용, 염증 관련 인자 생성에 미치는 활성 및 암세포 성장에 대한 영향 등을 resveratrol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포도 추출물 중 거봉줄기, 캠벨줄기, 캠벨씨 및 거봉씨 추출물들이 항산화 능력을 나타내었고 그 중 거봉씨 추출물은 vitamin C와 효력이 유사하게 나타나 항산화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을 이용하여 포도 추출물들의 LPS처리에 의한 $PGE_2$ 및 NO 생성을 저해 여부를 확인한 결과, 거봉줄기, 거봉씨, 및 캠벨씨 추출물이 $50\;{\mu}g/mL$에서 $PGE_2$ 및 NO 생성을 50% 가량 저해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사람 폐암 및 대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포도 추출물들이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였는데 거봉줄기 및 씨 추출물 $50\;{\mu}g/mL$에서 30% 정도의 암세포 성장 저해 작용을 나타내었다.

포도송이가지 추출물의 항염증 및 미백효능에 대한 연구 (Studies on Anti-Inflammatory and Anti-Melanogenic Effect of Grape Fruit Stem Extract)

  • 최안나;이현서;김장호;조병옥;신재영;정승일;장선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71-78
    • /
    • 2017
  • Objectives : The various grape extracts derived from grape pulp, seed and skin, containing various type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have been known to have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improve cardiovascular condition as well as sun's damaging effects. However, there have been rare reports of various beneficial effects of grape fruit stem extract (GFSE), one of the waste products of grapes. We investigated anti-inflammatory and melanogenesis inhibitory effects of GFSE. Methods : One-hundred gram of grape fruit stem was extracted with 80% ethanol at room temperature for 3 days. After filtration, the ethanol was removed using vacuum evaporator, then lyophilized to obtain the dry extract which was stored at $-20^{\circ}C$ until used. NO levels were measured by using Greiss reagent. Prostaglandin $E_2$ ($PGE_2$) production was measured by ELISA assay. The expression levels of iNOS, COX-2, TRP-1 and TRP-2 were evalu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 GFSE reduced the level of nitric oxide and prostaglandin $E_2$ ($PGE_2$)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to control. Expressions of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tein were also effectively inhibited by the GFSE. In a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GFSE significantly reduced the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content in a dose dependent manner, compared to control. GFSE also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and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known as a melanocyte-specific gene product involved in melanin synthesis. Conclusions :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FSE had powerful anti-inflammatory and anti-melanogenic effects.

포도종자 에텔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카테킨 화합물의 항산화 및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Antioxidant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Effects of Catechin Compounds Isolated from Ethyl Acetate Fraction of Grape Seed Ethanol Extract)

  • 김난영;박성진;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498-1502
    • /
    • 2005
  • 본 연구는 캠벨종 포도 종자 ethyl acetate 분획물로 부터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cdot$동정하고 분리물질의 생리활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캠벨종 종자 ethyl acetate분획물로부터 sephadex LP-20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활성물질을 단리하고 ${1}^H$${13}^C$) NMR 분석을 통하여 (+)-catechin과 (-)-epicatechin을 동정하였다. HPLC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한 결과, (+)-catechin은 45.7$\%$의, (-)-epicatechin은 $35.1\%$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화합물이 포도종자 중의 주요한 생리 활성물질로 사료된다. 이들 화합물의 단독 또는 병용 처리 시 항산화 활성,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살펴본 결과,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catechin과 (-)-epicatechin 모두가 $RC_{50}$= 11.1 ${\mu}g/mL$$RC_{50}$= 10.4 ${\mu}g/mL$으로 높은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지질 과산화 억제는 (+)-catechin이 나 (-)-epicatechin 단독처리보다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훨씬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머루종자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항산화활성물질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oxidant Substance from Ethanol Extract of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eed)

  • 김난영;최재호;김영국;장미영;문제학;박근형;오덕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09-113
    • /
    • 2006
  • 본 연구는 머루종자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 동정하고 분리 물질의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머루종자 7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수용액으로 순차 용매분획하여 그들의 항산화 활성 및 환원력을 비교한 결과, ethyl acetate층이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각 획분의 TLC-DPPH 분석에서도 ethyl acetate층에서 현저히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인 화합물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에 ethyl acetate층을 대상으로 ODS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를 이용하여 활성본체를 단리하고, 1H-NMR 분석을 통하여 (+)-catechin으로 동정하였다. 머루종자 중의 (+)-catechin 함량은 52.7 mg/100 g으로 확인되었으며, (+)-catechin이 머루종자 중의 주요한 항산화 물질로서 사료되었다. 한편, 같은 농도$(15\;{\mu}g/{\mu}L)$에서 (+)-catechin과 ethyl acetate 분획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약 80%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ethyl acetate 분획물에는 (+)-catechin이외의 미확인 물질들이 서로 상승작용을 하여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포도 추출물로부터 C/EBP 전사인자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Adipogenesis Activity by Several Grape Extracts)

  • 이시림;박철홍;권은영;루옌칭;김홍;김기찬;손형우;이현진;허진철;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9-123
    • /
    • 2011
  • In order to compare what kinds of transcription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inhibition of preadipocyte cell proliferation, we prepared several grape extracts and tested the expression patterns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s a result, 50% ethanol extract of Campbell early seed inhibited adipogenesis derived from the MDI solution. Extract of Campbell early seed was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droplet formation and expression of molecular factors C/EBP-alpha and delta in 3T3-L1 cells. It is suggested that grape extracts of fractions would be a good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skin fat modulator.

추출용매에 따른 포도씨 성분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for Grape Seed Components with Different Solvents)

  • 이은진;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6-222
    • /
    • 2006
  • 포도씨 유용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자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허용된 용매들(물, 에탄올, 아세톤)의 가열 특성을 확인하고 몇 가지 기능성분의 추출특성을 평가하였다. 이 때 추출조건의 설정을 위하여 microwave power(0, 50, 100, 150 W), 추출시간(1, 3, 5, 7, 9 min), 시료와 용매비(1:20, 1:10, 1:5, 1:2.5), 시료 입자크기(whole, 20, 40, 60 mesh) 별로 구분하여 추출하였으며, 추출물의 총 수율,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카테킨 함량, 전자공여능, 갈색도 등을 측정하여 추출효율을 알아보았다. 용매의 가열특성 확인에서 본 실험은 100 W에서 $2{\sim}6$분 범위의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웨이브 용량이 높아질수록 물과 에탄올은 총 수율 및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아세톤은 100W 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모든 용매에서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총 수율과 유효성분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5분 경과부터는 둔화되었다. 전반적인 추출효율과 용매회수 등을 고려한다면 포도씨 유용성분의 추출용매는 에탄올, 에너지 용량은 100 W 내외, 용매비는 1:10, 입자크기는 10 mesh 조건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MOLECULAR MECHANISMS OF CARDIOPROTECTION BY A NOVEL GRAPE SEED PROANTHOCYANIDIN EXTRACT

  • Bagchi, Debasis;Preuss, Harry G.;Das, Dipak K.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Dietary and Medicinal Antimutgens and Anticarcinogens
    • /
    • pp.20-21
    • /
    • 2001
  • Free radicals and oxidative stress playa crucial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a broad spectrum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cluding congestive heart failure, valvular heart disease, cardiomyopathy, hypertrophy, atherosclerosis and ischemic heart disease. We have demonstrated that IH 636 proanthocyanidin extract (GSPE) provides excellent protection against free radicals in both in vitro and in vivo models, and exhibits significantly better efficacy as compared to vitamins C, E and $\beta$-carotene.(omitted)

  • PDF

원적외선 처리가 포도씨의 기능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on Functional Components of Grape Seed)

  • 이지현;백지영;윤성란;권중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8권
    • /
    • pp.53-62
    • /
    • 2010
  • 원적외선 조사가 포도씨 기능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가열출력(0, 900, 1800 W) 및 가열시간(0, 20, 40 min)을 달리하여 원적외선 조사 후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포도씨 추출물을 제조하고 기능성분으로서 가용성 고형분, 기계적 색도, 카테킨,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각각 측정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백색도 및 적색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athechin류는 가열시간에 따라 catechin, procyanidin $B_2$, epicatechin 함량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총 catechin 함량은 총 카테킨 함량은 900 W 및 20분 처리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성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가열출력 900W 및 가열시간 20분 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가열출력 900 W 및 가열시간 20분 일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원적외선 처리에 의해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됨을 볼 수 있었으며, 특히 cathechin류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항산화능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도씨의 원적외선 가열처리 최적조건을 설정하고자 가열출력 및 가열시간을 달리하여 중심합성실험계획으로 반응표면분석한 결과 가열출력 621.82~818.18 W, 가열시간 16.3~19.83 min의 범위가 최적 가열조건범위로 설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