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ndchildren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6초

손자녀 돌봄이 조부모의 노후부양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노후의 자녀동거 기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Providing Care to Grandchildren Effects on Grandparents' Perception on Old-Age Support: Focusing on Expectations for Residence with Adult Children)

  • 하석철;홍경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2호
    • /
    • pp.99-12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 돌봄의 행위와 그것이 지속되는 유형이 조부모의 노후부양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돌봄이 지속되는 유형을 미 돌봄, 일시 돌봄, 지속 돌봄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에 투입함으로써 그 논의의 심도를 더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가 그렇지 않은 조부모에 비해 노후에 자신의 성인 자녀와의 동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돌봄 지속 유형에 대한 결과에서도 두 시기 동안 한 번도 손자녀 돌봄을 수행하지 않은 조부모에 비해 한 시기의 일시 돌봄을 행한 조부모와 두 시기 모두 돌봄을 제공한 지속 돌봄의 조부모 모두 자녀와의 동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중 흥미로운 점은 지속 돌봄을 행한 조부모가 일시 돌봄을 수행한 조부모보다 자녀와의 동거를 더 선호한다는 것이다. 이는 손자녀 돌봄을 행하고 있는 조부모가 그들이 제공하는 돌봄 서비스를 이후 자신의 부양을 위한 보험적 성격의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공적 영역의 역할이 미흡한 한국 사회에서 가족이 그 구성원들의 욕구 충족을 위해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통해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가 조손가정 조부모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on Somatization of Grandparent Raising Grandchildren)

  • 김세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62-270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on somatization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92 elderly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was recruited. The study instrument for death anxiety was the 5-point 15 items scale designed by Templer and translated by Ko, Choi, & Lee and for meaning of life, the 7-point 10-items scale by Steger, Frazier, Oishi & Kaler and translated by Won, Kim & Kwon. For somatization, the 5-point 12 items scale designed by Derogatis and translated by Kim, Kim & Won was us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Average scores were 3.55 for death anxiety, 3.43 for meaning of life, and 2.74 for somatization. Death anxiety ha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matization. Meaning of lif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ath anxiety and somatization. Death anxiety and health status were shown to influence somatization but meaning of life was not shown to influence somatization.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death anxiety and health status influence somatization i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hese results als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importance of nursing interventions in which the variables influencing somatization i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re considered.

조부모-손자녀 유대관계가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 전북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Effect of Grandchildren's Solidarity with Their Grandparents on Caring Attitude for the Elderly)

  • 홍달아기;하근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7-121
    • /
    • 2002
  • The purpose of 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andchildren's solidarity with their grandparents on their caring attitude for the elderly. The participants were 311 college students in Chollabuk-Do province. Such statistical methods as factor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is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lidarity with grandpar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llege grade, birth order, mother's and grandparents' educational levels, economic status of grandpar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grandparents' age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grandchildren's caring attitude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college grade, occupational status of mother, relationship with parent, parents' educational levels, and family atmosphere.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grandchildren's caring attitude for the elderly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randchildren's affectional and contact solidarity with grandparents, relationship with parent, and grandparents' economic status.

  • PDF

손자녀가 지각한 조모와 손자녀와의 접촉과 조모의 역할수행 (Grandmothers and Grandchildren : Patterns of Contact and Grandmothers Role Performance)

  • 서동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7권2호
    • /
    • pp.45-60
    • /
    • 1989
  • The present study analyzed data from 417 grandchildren in the fif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with regard to patterns of contact and the content and the level of grandmothers role performanc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most frequent of association occuring between grandmothers and grandchildren was telephoning, next visiting and writing. The mothers, attitude and geographical proximity were consistently related to the level of the contact between grandmothers and grandchildren. 2) The family type, the attitude of the mothers and the health condition of grandmothers were related to the level of the grandmothers role performance. The role of the grandmothers consists with six dimensions of discipliner, surrogate parenting, interference, historical and sex role adviser, confidant and material provider.

  • PDF

가구유형이 경제복지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조부모와 손자녀가 동거하는 가구를 중심으로 - (Household Structure and Economic Well-Being - Focused on the coresident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in the U.S. -)

  • 김효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5-29
    • /
    • 2004
  • Since the 1990s there have been increasing concerns about coresident grand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the U.S. This study focused on the coresident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categorized into 6 household structures, and examined whether household structure with sociodemographic variables affected economic well-being. The data fr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Health and Retirement Study (HRS) were used, and frequencies, $x^2$ tests,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Window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yearly household income among the 6 household structures. In addition, household structure affected the economic well-being. Especially, grandchildren in grandmother only, some parents present families, and in grandmother only, no parent families were more likely to be poor than those in both grandparents.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건강정보요구 (Health Information Needs of Grandmothers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 오진아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3-54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scribe the health information needs of grandmothers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as 8 grandmothers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entering schoo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he interviews done from March 7 to 9 in 2005.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analyzed using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3 main categories emerged from 5 theme clusters and 17 themes. The categories were 'health of grandmother', 'health of grandchildren', and 'health of adult'. Conclusion: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grandmothers have the variable health management needs of family members. From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programs for information of health management of family members and health care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Ultimately, a good care environment for children will be good for the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 PDF

손자녀 양육에 참여하는 조모의 건강증진행위가 속박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Grandmothers Participating in Their Grandchildren's Nurture on Entrapment)

  • 서미애;박옥임;문희;김진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7-469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grandmothers participating in their infant grandchildren's nurture and provides data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e sample included 218 consenting subject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These subjects resided in three cities in Jeollanam-do, Korea, and were grandmothers entrusted by their adult children with a considerable amount of nurturing for their preschool-aged grandchildren under the age of six. First, the subjects scored an average of 3.05 for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2.42 for entrapment. Second, the entrapment measurement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higher level of entrapment for those with better health, a lower education level, no religion, male grandchildren to nurture, and unsatisfactory compensation. Third,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entrapment (r=-.304) were negatively correlated. Fourth, the analysis results for effects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grandmothers on entrapment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grandmothers as a control variable reveal a significant effect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on entrapment.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employment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the less likely the entrapment was to be perceived. Fifth, the results for effects of subcriteria for health-promoting behaviors on entrapment reveal a decrease in entrapment when the subjects engaged in an appropriate level of physical activity with a relaxed state of mi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grandmothers participating in their infant grandchildren's nurture are likely to influence entrapment and thus that grandmothers should make efforts to actively engage in health-promoting behaviors to reduce any maladaptive effects on nurturing. Social support and related programs should be fostered to enable grandmothers to better practice health-promoting behaviors while nurturing their grandchildren.

조모의 손자녀 양육에 관한 문화기술지: 다중의 경계 밖에 가족 만들기 (A Story of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in an Ethnography: Constituting a Family beyond the Multiple Boundaries)

  • 장혜경;손현미;임정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1호
    • /
    • pp.109-134
    • /
    • 2009
  • 사회경제적 조건의 변화에 따라 늘어나는 가족 해체의 대안으로 조손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현재 다시 짚어보아야 할 것은 조손가족이 갖는 사회문화적 가치이다. 조손가족에 대한 접근은 정책결정자나 전문가의 관점에서만 이루어져 왔으므로 조손가족구성원들의 당사자 시각은 결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반성에 기초하여, 조손가족 조모들의 양육 경험의 의미를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10명의 조손가족 조모들을 정보제공자로 하여 수집한 자료 분석 결과 조모들의 경험은 '다중의 경계 밖에 가족 만들기'라는 문화적 주제로 수렴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손가족이 하나의 가족 체계로서 갖는 가치를 수용하고 이 체계의 고유성을 강화하고 보존하며, 조모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양육 기능을 더욱 계발하고, 조모와 손자녀 중간세대와의 연결을 꾀하는 실천적, 정책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 PDF

가족돌봄 제공자의 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Family Care Providers' Capital on Life Satisfaction -centered on grandparents caring for grandchildren-)

  • 임안나;박영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97-103
    • /
    • 2024
  • 본 연구는 손자녀를 대상으로 가족돌봄을 제공하는 조부모의 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민노후보장패널 8차 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본의 영향력이 20.1%로 나타났다. 조부모의 자본 중 가계 총소득과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손자녀에게 가족돌봄을 제공하는 조부모의 가계 총소득이 많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돌봄시간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손자녀를 돌보는 시간이 길수록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 가능성이 증가하는 요즘에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의 영향 요인을 시사하며, 가계 총소득, 건강상태와 돌봄시간이 주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손가족 조모가 경험하는 손자녀 양육의 보상과 비용 (Caregiving Rewards and Costs of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 한경혜;주지현;이정화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147-1164
    • /
    • 2008
  • 본 연구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급증하고 있는 조손가족의 성격과 경험의 다양성을 탐색해보는 연구의 일환으로 조손가족 조모들이 손자녀를 양육하면서 겪는 어려움(비용)과 더불어 긍정적 측면(보상)을 함께 탐색해보았다. 이에 조모의 양육 보상 및 비용 지각의 수준 차이를 살펴보며, 조모 및 손자녀 특성, 가구 특성, 정부의 지원이 조모의 보상 및 비용 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또한 양육 보상-비용 지각의 유형화를 시도함과 아울러 각 유형집단이 가진 특성을 고찰하였다. 한명 이상의 18세 이하 손자녀와 동거하면서 주양육 책임을 지고 있는 조모 449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조손가족 조모는 양육에 대한 비용을 지각하는 것과 동시에 보상 또한 높은 수준에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 보상감을 종속변수로 한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 결과, 조모의 경제적 형편, 손자녀의 연령, 손자녀의 기질적 특성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친족지위, 정부의 도구적 지원 등도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비용을 종속변수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조모의 신체적 건강, 경제적 형편, 손자녀 수, 양육동기가 비용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보상-비용 지각 수준을 기준으로 유형화 작업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유형이 관찰되었으며 가장 많은 수의 응답자가 <보상고(高)-비용저(低)>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손가족의 부정적 측면, 즉 높은 비용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 시각을 재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으며, 조손가족 조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이 다양한 양상임을 시사한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