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손가족 조모가 경험하는 손자녀 양육의 보상과 비용

Caregiving Rewards and Costs of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 한경혜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 주지현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이정화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투고 : 2008.08.31
  • 심사 : 2008.11.08
  • 발행 : 2008.11.30

초록

본 연구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급증하고 있는 조손가족의 성격과 경험의 다양성을 탐색해보는 연구의 일환으로 조손가족 조모들이 손자녀를 양육하면서 겪는 어려움(비용)과 더불어 긍정적 측면(보상)을 함께 탐색해보았다. 이에 조모의 양육 보상 및 비용 지각의 수준 차이를 살펴보며, 조모 및 손자녀 특성, 가구 특성, 정부의 지원이 조모의 보상 및 비용 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또한 양육 보상-비용 지각의 유형화를 시도함과 아울러 각 유형집단이 가진 특성을 고찰하였다. 한명 이상의 18세 이하 손자녀와 동거하면서 주양육 책임을 지고 있는 조모 449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조손가족 조모는 양육에 대한 비용을 지각하는 것과 동시에 보상 또한 높은 수준에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 보상감을 종속변수로 한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 결과, 조모의 경제적 형편, 손자녀의 연령, 손자녀의 기질적 특성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친족지위, 정부의 도구적 지원 등도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비용을 종속변수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조모의 신체적 건강, 경제적 형편, 손자녀 수, 양육동기가 비용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보상-비용 지각 수준을 기준으로 유형화 작업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유형이 관찰되었으며 가장 많은 수의 응답자가 <보상고(高)-비용저(低)>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손가족의 부정적 측면, 즉 높은 비용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 시각을 재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으며, 조손가족 조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이 다양한 양상임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There has been a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complexity of the experiences of the custodial grandparenting. Most of the studies mainly examined burden/cost and have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positive aspects of custodial grandparenting.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of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aims 1) to examine not only the costs but also the rewards of custodial grandparenting and to explore related factors, 2) to develop the typology based on relative rewards-burden perception of grandmothers about custodial grandparenting and explore the group differences. The data were gathered from 449 grandmother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as a primary caregiver,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ANOVA, with SPSS WIN 12.0 program.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ustodial grandmothers report not only care-giving burden such as physical burnout and economic burden but also various rewards such as joy of watching their grandchildren grow and feeling good about themselves to be a help with their adult children, i.e. grandchildren's father or mother. Second, factors related to the level of perceived cost of grandparenting are different from the factors affecting the positive aspects of grandparenting. Third, results of the two by two cross-tab analysis based on the level of rewards and burden show that about 32 percent of the grandparents belong to Type II group(high rewards-low cost). This result is quite contrary to the assumption of previous research focusing mostly on cost and burden of custodial grandparenting. Fourth, four groups were different in terms of grandmother & grandchildren's characteristic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키워드